•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effectiveness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5초

인쇄 광고에서 타이포그래피의 활용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that Practical Use of Typography gets i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in Printing Advertising)

  • 이광숙;곽보선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0
    • /
    • 2011
  •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type of typography influence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among print advertisement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and MANOVA were utilized to analyze those gathered data. The result is the type of typography, affects on building advertising attitude in the mind of audience. However,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are not signigicant. It means that type of typography does not influence on building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Emoji advertising in social media and its effects on consumer behavior: Assessing purchase intentions and brand metaphorical warmth

  • Chen, Mingyuan;Hu, Jiayu;Yoo, Se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129-139
    • /
    • 2024
  • In digital marketing, the strategic use of emojis in social media advertising, particularly on the Xiaohongshu app, significantly influences consumer acceptance and purchase behavior.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moji-laden advertisements and the role of brand metaphorical warmth on consumer perceptions. Employing a tailored questionnaire, the research explores how emojis affect brand advertisement reception, filling a gap in empirical research on emoji advertising effectiveness. Findings indicate that emojis, when used judiciously, enhance consumer acceptance and contribute to a positive brand perception. However, excessive use may undermine trust. Brand metaphorical warmth emerges as a crucial factor, suggesting that emojis can effectively convey warmth, fostering a deeper emotional connection with consumers. These insights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fining social media marketing strategies, advocating for a balanced approach to emoji usage in advertisements to optimize engagement and influence consumer behavior.

모바일 광고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Russia)

  • 김승권;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83-192
    • /
    • 2014
  • 휴대폰 보급의 활성화와 모바일 광고의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광고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다국적 소비자들의 태도나 행동의지를 이해하는 작업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모바일 광고의 특정 영역은 여전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모바일 광고에 대한 고객의 태도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특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국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이나 광고 실무자들이 관심을 가져야할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모바일 의류광고유형 및 소비자 관여에 따른 광고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Related to Mobile Fashion Advertising and Involvement)

  • 박재옥;이경훈;이애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14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differences in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related to type of mobile fashion advertising and level of apparel and advertising involvement groups. This study surveyed consumers who have an experience of receiving mobile fashion advertis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en and women aged 10-20 years of ag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judgments sampling was employ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480 questionnaire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modified and made up by researcher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ame fiel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1. Major statistical methods were Cronbach's ${\alpha}$,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effectiveness of fashion ads in both images ad and text messages ad were shown in this study. Respondents preferred images ad to left messages ad only. Also purchase intentions were more preferred by images ad. Second,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were shown according to level of apparel and advertising involvement groups. The high apparel and ad involvement group was more likely to have a preferable attitude to the ads than the low apparel and ad involvement group. Thir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were influenced by consumer's advertising attitude on two type's ad. The conclusion is that images ad will have great potential for fashion ads by mobile phones in the future. Also consumer attitude between other mobile advertising types must be studied in order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fashion advertising by mobile phone.

광고 채널로서 틱톡(TikTok) 사용, 동기, 반응에 대한 연구 (Use, Motivations, and Responses of TikTok as an Advertising Channel)

  • 마뤼야오;김소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07-519
    • /
    • 2021
  •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틱톡의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 틱톡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태도를 고찰함으로써 틱톡 광고 효과에 주요한 광고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20-30대 틱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주요 틱톡 이용 동기로는 정보성과 오락성이 도출되었으며 틱톡 특성으로 짧은 동영상, 다양한 콘텐츠 내용, 형식의 참신성이 언급되었다. 또한, 유용성, 오락성, 광고 회피를 위한 조작용이성, 친근감, 상호작용이 주요 틱톡 광고 특성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틱톡 광고 참여행위는 대체적으로 '좋아요' 클릭, 댓글쓰기, 공유, 구매 링크/광고주 홈페이지 클릭, 광고 제작 참여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소셜미디어 광고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틱톡 광고 전략 수립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다.

치킨프랜차이즈 TV광고의 비인적 속성에 따른 광고효과: 최근 K치킨의 광고 효과를 중심으로 (Advertising effects of non-human attributes of chicken franchise TV advertisement: Focusing on the recent advertisement of K chicken)

  • 조희영;조경섭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9권1호
    • /
    • pp.17-25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vertising attributes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effect of TV commercials of chicken franchise brand,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food service brand in recent yea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aims to see the effect of advertising attribute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equity. A total of 200 questionaire was collected, 15 respondents were discarded due to missing information. Therefore, a total of 18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ree-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 Result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brand attitude on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brand equity on advertising effe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attitude of the ad and the brand equity mediates partly between the ad property and the advertisement effect.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informativeness and notableness affect the consumers among the advertisement attributes, so that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convey the accurate information more clearly to the consumers when composing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advertisement of the chicken franchise brand corporation, it will be an effective advertisement campaign if it continuously transmits the correct advertisement message to the consumers in association with the brand.

광고전략적 측면에서 본 구매시점 광고 (The Study of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 신승훈
    • 디자인학연구
    • /
    • 18호
    • /
    • pp.189-197
    • /
    • 1996
  • POP광고에서 대한 접근은 여러 학자와 실무자들에 의해 행해져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POP물에 대한 시각적, 디자인 적 측면이 과도하게 강조되어 왔거나 전체적 광고전략의 일부라는 시각보다 POP광고 자체만으로 파악하려는 태도가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POP광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하여 POP광고도 커다란 마케팅 전략 중 광고전략의 일부로서 인식될 때 비로소 그 효용성 및 기능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POP광고가 최대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적절한 상황이 무엇이며, 어떤 상품 군에 좀 더 효과적일 수 있을지, 나아가 이러한 POP물은 충동구매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밝혀보는 것이 하나의 접근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고 느껴진다. 본론에 들어가기 전에 기존 POP물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분류를 약술하고 비약적인 현대기술문명과 결합된 사례들도 찾아보았다. 본론은 충동구매에 대한 연구에 대부분이 할애되었다. 마지막으로 결론과 사례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선례 중에 그 일부를 임의로 선택하였다.

  • PDF

한국과 중국 모바일광고 수용자의 광고회피에 관한 국가 및 연령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Ad Avoidance of Korean and Chinese Mobile Advertising Audiences based on Country and Age)

  • 사광이;이보희;김병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81-290
    • /
    • 2020
  • 모바일광고 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소비자가 느끼는 광고 오락성, 정보성, 관련성, 신뢰성,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광고 특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와 40대의 한국과 중국의 일반인 254명을 대상으로 모바일광고에 대한 회피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분석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광고 오락성, 관련성이 높을수록 광고회피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지각된 침입성이 높을수록 광고회피가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광고 오락성, 정보성, 관련성, 신뢰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별 차이가 있었으나, 지각된 침입성이 광고회피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 및 연령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광고회피를 유발하는 예측 요인이 무엇인지 국가 및 연령별로 비교하여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회피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들 수 있다.

광고 콘텐츠의 창의성이 인지종결 지연욕구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 비유창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vertising Content Creativity on Desire to Postpone Cognitive Closure and Ad Attitud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isfluency)

  • 박현정;유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39-356
    • /
    • 2017
  • 지금까지 창의적 광고 콘텐츠의 광고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는 있었지만 소비자의 인지과정에서 왜 창의적 광고 콘텐츠가 효과적인지 그 이유를 설명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고 콘텐츠의 창의성이 인지 종결 지연욕구와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서 본 연구는 창의적 광고 콘텐츠의 광고 효과 유발 원인을 비유창성으로 설정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검증했다. 연구 결과 창의적 광고의 비유창성이 인지종결 지연욕구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의 비유창성이 창의적 광고의 광고효과를 높이는 중요 인지변인임을 의미한다. 창의적 광고의 광고효과를 소비자의 인지변인들과 연결해 검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 의미를 지닌다.

웹 페이지내의 텍스트 키워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인터넷광고기법 개발 (Development of New Internet Advertising Method based on Text Keyword in Web Page)

  • 진교홍;이혜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202-1209
    • /
    • 2003
  • 인터넷 사용자의 급격한 성장과 더불어 전자상거래 시장의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은 새로운 광고 매체로 각광받게 되었으며 여러가지 광고기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대표적인 인터넷광고기법인 배너광고는 현재 아주 낮은 클릭율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외면으로 인해 저조한 광고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의 기사 글 중에서 광고를 삽입하고자 하는 문구를 위한 광고 이미지를 만들어 두고, 사용자가 해당 문구를 클릭하고자 할 때 웹 브라우저의 배경화면에 광고 이미지가 노출되는 새로운 인터넷광고 기법을 제안하였다. 인터넷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읽다가 관심이 있는 문구에 대해서는 클릭을 하고자 할 것이며, 이때 광고 이미지가 배경화면에 나타나므로 높은 광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의 효과를 보다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해당 문구를 클릭하게 되면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배경화면에 광고이미지가 나타나도록 하였다. 제안된 광고기법은 배너광고와는 달 리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으며, 웹 페이지 전체를 광고 노출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