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brand

검색결과 487건 처리시간 0.029초

인터넷사이트 이용자 특성에 따른 광고영상 비교를 통한 광고효과 연구 (A Study on Advertising Effects of Commercial Fil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users)

  • 편석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69-7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내용은 같고 형식이 다른 2개의 사이트를 대상으로 이용자의 특성차이나 광고효과 비교를 검증해 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전용 사이트와 온오프라인 동시 사이트의 사용자간에 존재하는 기술적, 인구학적, 심리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광고의 효과 또한 비교해 보았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을 이용하였고, 주로 $x^2$와 t-test 분석을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필포스트 닷컴은 222부를 회수하였고 카드코리아 닷컴은 210부를 회수하여 총 432부를 회수하였다. 조사과정에서 양 사이트가 가지는 이용대상의 연령 요인을 배재하기 위하여 20대만을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분석에서는 이렇게 선택된 308부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양 사이트 이용자가 비슷한 라이프스타일을 보여줬고 가치관과 사회의식에서는 양 사이트 이용자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 광고효과 에서는 먼저 광고의 유용성에 있어서는 필포스트가 높은 점수를 얻었고, 반대로 신제품에 대한 적극적 수용여부에 있어서는 카드코리아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광고와 제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필포스트가 카드코리아 보다 광고 선호도와 브랜드 선호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 PDF

국제광고의 메시지 인식 비교를 통한 표현전략 연구 : 한국·중국·미국 현지 대학생 소비자를 대상으로 (A Study of Creative Strategy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International Advertising Message Recognitions: Intended for Local Consumers in Korea, China, and United-States)

  • 이상훈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5-222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미국의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각 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동일한 글로벌 브랜드 광고 캠페인의 메시지의 인식의 정도를 조사하여 향후 글로벌 광고 캠페인 메시지 제작에 활용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글로벌 브랜드 국제광고의 동일한 의미를 지닌 메시지 적용에 대한 한·중·미 3개국 소비자가 인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Hofstede와 Trompenaar 등이 제시한 문화차원 중에서 한·중·미 3개국 소비자의 동일한 메시지의 인식과 의미체계의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에 대해 현지의 소비자가 인식하는 적합성의 정도는 어떠한가? 현지화와 표준화 전략 중 국제광고의 동일한 의미를 지닌 메시지에 대한 한·중·미 소비자의 인식과 의미체계의 차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의 적합성에 있어서 현지 소비자의 인식은 국가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등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는 한국과 중국 미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해당 국가에서 시행된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애니콜 광고물을 함께 제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세 나라의 문화와 시장의 배경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브랜드가 제시하는 메시지의 인식의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의 소비자는 애니콜(삼성)의 광고 메시지는 한국과 중국, 그리고 미국, 3국의 시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문화와 관련된 부분의 반영이 미흡하다고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것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현지 문화의 특성과 메시지 적헙성 여부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광고 메시지에 감성중심의 메시지 표현이나 논리적인 메시지 전개 부분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이가 미미하지만 표준화 전략보다는 현지화 전략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소비자는 애니콜(삼성)에 대한 메시지의 일관성과 메시지 내용의 현실성 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메시지 노출의 현저성이나 메시지에 대한 호감, 메시지의 친숙성 면에서는 중국이 지닌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견이 개진되었다. 아울러 메시지의 관계 돈독의 목적성이 현지의 문화적 특성과 적합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소비자도 마찬가지로 표준화보다는 현지화 전략이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비자는 광고 메시지에 대한 인식이 한국이나 중국의 소비자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애니콜(삼성)의 광고 캠페인에 글로벌화 전략이 반영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메시지의 친숙성 정도가 낮게 평가됐다는 부분 역시 미국 현지 시장에 대한 전략에 보완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미국의 소비자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의 견해보다 월등한 수준에서 현지화 전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 메시지의 관계 돈독의 목적성과 메시지의 독특성과 관련된 영역에서도 상호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의 국제광고 캠페인이 지니는 위상과 이를 수용하는 소비자의 관점에서 형성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의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문화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전개시 표준화 전략 보다는 보다 현지의 문화와 시장 상황이 반영된 현지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SNS 마케팅 활동이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팬페이지 애널리틱스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e SNS Marketing on User Behavior: Focusing on Facebook Fan Page Analytics)

  • 전형준;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6권1호
    • /
    • pp.75-95
    • /
    • 2020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SNS가 등장했다. 상호작용성, 정보 교류,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이용 동기를 바탕으로 SNS 이용자 또한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중 페이스북은 대표하는 SNS 채널로서 기업에서도 페이스북 페이지를 활용해 홍보 채널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를 위해 운영 초기, 기업은 팬 수 확보에 나섰고 그 결과 최근 기업 페이스북 팬 수는 많게는 수백만에 이를 정도로 늘어났다. 기업의 목표는 팬 수 확보를 넘어 콘텐츠를 통해 고객에게 기업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하고, 나아가 소통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를 평가하는 주요 수치가 바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페이스북의 '좋아요', '댓글', '공유', '클릭 수' 등이다. 해당 수치 달성을 위해 콘텐츠 제작에 대한 고민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 제작 고려 사항을 3가지로 나눠 독립변수를 구성하였다. 콘텐츠 소재, 콘텐츠 구조, 메시지 스타일 등이 페이스북의 이용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콘텐츠상에 모든 이용자의 행동 '전체 클릭 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 변수를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 정의하고,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전체 클릭 수'의 경우, '자사연관', '실생활 관여도', '격식 x 관여도'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콘텐츠 목적에 따른 최적화된 콘텐츠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업 페이스북 운영자와 콘텐츠 제작자의 운영, 제작 전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편의점 PB식품군 구매행동 및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Influence of Consumption Patterns and Satisfaction for Convenience Store Private Brand Foods)

  • 김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29-637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편의점 PB식품이 대표적인 효자상품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소비자들의 편의점 PB식품군에 대한 구매행동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구매행동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편의점 PB식품을 구매하는 이유로 기존 제품 대비 가격이 저렴하다는 이유가 높은 것(46.7%)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의점 이용빈도와 PB식품 구매빈도에 소비자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편의점 이용빈도에 연령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B식품 구매빈도에는 성별과 연령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의점 이용빈도는 PB식품 구매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PB식품군 6개 군(과자/스낵, 음료, 유제품, 간편식, 라면/면류, 빵/튀김/핫바) 모두에서 선호하는 편의점 브랜드와 PB식품의 선호브랜드간 상관분석결과 Cramer V계수가 0.2~0.4로 모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들은 PB식품의 만족도를 속성별로 평가한 결과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으며 식품군 다양성과 제품군 맛 다양성 측면의 만족도가 3.57로 가장 높았고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3.49). 마지막으로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속성별 만족도를 다중회귀로 분석한 결과 맛, 디자인/포장 속성의 만족도가 전반적 만족도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선호하는 편의점 브랜드와 PB식품의 선호브랜드가 일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PB식품에 대한 적극적인 광고를 한다면 역으로 편의점을 선호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편의점 이용빈도와 PB식품 구매빈도는 낮아졌기 때문에 PB식품은 가격과 품질 모두 신뢰할 수 있도록 제품 개선 및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PB식품의 전반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맛 또는 디자인/포장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국 남성복 광고(韓國 男性服 廣告)의 내용분석(內容分析) - 1962년(年)부터 1998년(年)까지의 잡지(雜誌)와 화보(畵報)를 중심(中心)으로 - (The Content Analysis of Advertising in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of Korean Men's Wear - From the 1962 to the 1998 -)

  • 권혜숙;권혜욱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6-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men's wear advertisement from the 1960s to the 1990s by reviewing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types and their units of measurement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Seco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quantitative change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total 857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from Shin Dong-A, Joongang Magazine, and Bokjangwolbo from 1972 to 1998. For analyze the result,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were us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pre-tests, 6 units of measurement were identified. They were product type(formal wear, casual wear, sports wear, dress shirts, accessory, inner wear, fabric and the others), brand type(national brand, licensed brand, imported brand, others), appeal type(image, product, others), representation type(photograph, illustration, others), medium type(man, product, others), and color type of advertisement(black & white picture, color picture). Second, for the types of advertisements, formal wear, national brand, image appeal, figure medium, photograph for presentation and color picture are the most frequently shown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Third, for product, more accessory advertisements were found than the clothing in the 60s and the 70s, and casu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80s and form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90s were dominated. National brand type was dominant through all four period. Product appeal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image appeal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For medium, product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figure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dominated. Black & white picture in the 60s and the 70s and color pictur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Lastly, photograp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presentation type through all periods.

설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을 통한 브랜드 각인효과에 관한 연구 -20~3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랙티브 마케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rand-imprinting Effects of Utilizing Interactive Media Installation -Focusing on interactive marketing targeted at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 문하나;최종훈;박승호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1
    • /
    • 2015
  • 디지털 시대가 도래됨에 따라 미디어 환경이 변화하면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받던 방식에서 이제는 소비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했다.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행태 변화는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을 등장시켰다. 이는 브랜드 각인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전략으로 인터랙티브 마케팅이 지속적으로 화두되고 있는 것을 일컫는다. 이에 본 연구는 설치형 인터랙티브 마케팅의 브랜드 각인효과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그 활용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국내외 다양한 인터랙티브 마케팅 사례분석을 통해 체험방식과 접근방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인터랙티브 마케팅이 브랜드 각인효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소비자들의 잠재된 니즈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브랜드 각인효과를 위한 설치형 인터랙티브 미디어 활용 전략 방안을 도출했다. 첫째, 소비자와 광고 미디어가 만나는 소통 매개체로써의 공간활용 전략, 둘째, 소비자가 처한 정황 중심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전략, 셋째, 정황과 컨텍스트에 합당한 인터랙션 전략을 제안한다.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캐릭터 콘텐츠 비교 연구 (Research Consisting of Comparison of Character Contents through Collaboration)

  • 임리나;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49-454
    • /
    • 2016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캐릭터와 브랜드 이미지 활성화와 홍보를 위하여 경쟁력 있는 시장에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콜라보레이션으로 가장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카카오와 라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정의 및 서비스 특징에 대한 문헌적인 조사를 통해 서비스의 개념과 유형을 분석하였고, 캐릭터의 개념을 통해 캐릭터 사업에 관한 진행사항을 살펴보았다.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허니콤(honeycomb)의 원칙을 재구성하여 사용자 경험을 위한 척도의 기준을 설정하고 현재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심층면접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카카오와 라인의 특화한 캐릭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선호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 기법과 효과를 창출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제주물을 이용한 기능성 및 혼합음료의 개발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he Functional and Mixed Drinks using the Jeju Water)

  • 고성보;현창석;강경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133-2141
    • /
    • 2011
  • 세계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주변 환경은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다. 2012년 세계기능성 음료시장은 269억달러 규모, 아태지역 시장은 136억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먹는 샘물 시장은 2008년 4,400억원 규모를 형성하고 있고, 제주삼다수의 매출액은 891억원이다. 그러나 "제주삼다수"라는 브랜드는 한계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제주물의 품질 우수성을 알리는 포괄적인 광고가 필요하며, 제주 물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혼합음료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제주워터(Jeju Water)라는 글로벌 통합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기능성 및 혼합음료 제품개발시 제주지역의 농산물의 기능성을 적극 활용해 물산업과 제주의 1차산업을 연계해 농산물의 과잉생산 처리와 고부가가치화를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

티셔츠 상품에 활용된 원 포인트 그래픽의 시각이미지 분석 (The Analysis of Visual Image of One-Point Graphic Appeared on T-shirt)

  • 이미연
    • 복식
    • /
    • 제55권8호
    • /
    • pp.15-29
    • /
    • 2005
  • In these days, T-shirt is not only the simple wearing goods but also the suggestive communication, which is not showed outward as well as being intended. Also, it indicates expression of contemporary sensitive living, expression of substantial oneself, and the effective commercial promotion fer advertising fashion brand and promoting the object's sale. Following the above concep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utstanding tendency of ' The T-shirt one-point graphic's functions and visual image ', which is appeared after 2001 in the fashion industry's commercial aspects. The visual image's applicative rate of the T-shirt one point graphic is the following; The best applicative rate on T-shirt one- point graphic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mix & match technique shown 42.8 percent applicative rate. The second one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typography shown 38.7 percent. The third one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animals and plants shown 8.5 percent. The fourth one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person's character shown 3.8 percent. The fifth one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geometry shown 2.4 percent. The least one is the visual image using the cartoon character shown 1.6 percent. On the other hand, another important function of t-shirt one-point graphic is the following; 1, The essential function as t-shirt design factor. 2, The promotional function as brand image marketing and brand advertisement. 3. The communicative function as discriminative strategy of object. 4. The achievable function as value added goods.

스마트폰 구매의 영향요인과 소비자 인식과의 관련성 연구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Consumer Awareness)

  • 김형준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11-224
    • /
    • 2014
  • This study is aimed at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and consumer awaren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influential factors in Smartphone purchase as advertising effect, brand effect and usability effect and corporate image effect, and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fluential factors and consumer awareness empirically.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3 parts: First, the four factors suggested as the influential factor in Smartphone purchase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nd thus, it is thought that the bigger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the mor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ll increase. Second, among the factors suggested as influential factors in Smartphone purchase, the biggest factor in influencing customer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Usability Effect' while the biggest factor in influencing customer loyalty was revealed to be 'Brand Effect.'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learn that it's necessary that 'Usability Effect' should be considered more preferentially than other factors in order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while 'Brand Effect' should be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orderto raise customer loyalty. Third, it can be judg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bigger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 higher the customer loyalty. It is hoped that such research results could be applied as useful materials in time of establishing the marketing strategy. Nevertheless, this paper makes it clear that due to the constraints in the number of sample areas and samples, there is a limit in objectifying the research results into all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