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검색결과 894건 처리시간 0.031초

LED 도로전광표지 시스템에 대한 시인성 분석 및 성능 인자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Index and visibility for LED Variable Message Sign)

  • 최숙양;김면중;조한익;문학룡;변상철;류승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86-128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교통체계인 첨단교통 시스템(ITS)에서 차량 운전자 및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및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도로전광표지(Variable Message Sign : VMS)의 시인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장 중요한 기초 변수인 휘도와 색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치를 통하여 VMS의 휘도와 색도가 시인성을 판별할 수 있는 성능 인자로써 가능한지를 검토하고, 향후 VMS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 기술에 실무요령의 활용 여부를 검토한다.

  • PDF

Assessment of Advanced Joining Technologies for Metal Pip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김창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81-89
    • /
    • 2004
  • Pipe joining is one of the most critical aspects of most industrial projects, but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efficient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advanced joining technology to the use of metal pip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is paper begins with a review of current practices with respect to metal join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pipe joining is examined. Needs for, and benefits of, advanced joining technology are identified, and a tool for evaluating the applicability of various methods to construction is presented. Joining technologies, including mechanical joining, adhesive bonding, welding, and welding automation, are then introduced, and their applicability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assessed by means of this evaluation tool.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significant benefits for improvement of piping proc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the use of advanced joining technologies.

건설 산업에서의 첨단융합기술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A Trend Analysis of Advanced Fusion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손효주;김태우;김창완;김형관;한승헌;김상범;김문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7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8-192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current perspective on advanced fusion research trend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reflected in th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which has focused on advanced fusion technology in last decades. The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a 7-year analysis of papers between 2000 and 2006. The analysis focused on such data as research topics of the proceedings. The paper summarizes the data extracted from the paper and uses it to analyze advanced fusion research trends.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 top research topics in advanced fusion research areas are construction robots and automation and intelligent construction management. The research also found that research related to advanced fusion technology is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and topics are changing as current needs change.

  • PDF

건설신기술 개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development of the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 온성원;박현용;이영환;우성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0-493
    • /
    • 2004
  • 국내 건설산업은 인력관리나 제도의 개선보다는 기술 개발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을 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건설 시장에서도 기술력 향상을 통하여 경쟁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 정부는 기술 수준의 향상을 위하여 건설신기술지정제도를 제정 $\cdot$ 운영하고 있으나 그 사용실적 또한 처음 기대했던 것만큼의 효과를 보지 못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정된 신기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문건설업체를 중심으로 건설신기술지정 현황을 파악한 후 타 관련 제도와의 비교, 문헌조사 및 설문조사를 동하여 신기술 지정제도의 개선전과 이를 통한 건설신기술 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 PDF

건설신기술에 대한 토픽 모델링 및 토픽 변화추이 분석 (Topic modeling and topic change trend analysis for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ies)

  • 정성윤;김남곤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4호
    • /
    • pp.102-110
    • /
    • 2021
  • 현재 국내 건설기술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신기술 지정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를 통해 지정된 건설신기술과 관련하여 중요도가 높은 출현 어휘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건설신기술에 내재된 암묵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918건의 건설신기술정보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건설신기술의 고시연도와 요약 내용을 기초로 하여 건설신기술별로 출현어휘의 중요도를 측정하였다. LDA 모형을 기반으로 한 4개의 토픽별로 연관된 어휘들 간의 영향정도를 평가하였다. 기술적용분야에 따른 토픽을 분석하였다. 1990년부터 2021년까지의 토픽별로 영향력이 높은 어휘들의 변화 추이를 유추하였다. 향후 환경·기계·설비 토픽과 구조물의 보수 보강 토픽의 영향정도 변화와 이에 관련한 적용기술 분야를 예측하였다. 토픽의 개발방향을 예측하였다.

지능형 도로정보체계의 유지관리 지식기반 구축을 위한 온라인 고장검출 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Fault Detection System to construct the knowledge based Maintenance System of Intelligent Highway Information System)

  • 류승기;최도혁;최대순;문학룡;김영춘;홍규장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677-679
    • /
    • 1999
  • This paper introduces a implementation of fault detection for national highway line 3. Fault detection system was installed and operated on national highway line 3, environmental elements caused by abnormal status or faults has often happened. Therefore, the function of fault detection system is to speedy notify fault site, cause as well as scale of fault to manager. Though the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system has been imported in the field of process of water and electric power, it is just beginning step in the field of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n general, Maintenance system is performed the online/offline process of detection, diagnosis and measure. This paper is studied online detection process, which is realtime remote detection.

  • PDF

도로 시공 자동화를 위한 스마트 모터 그레이더의 구성 기술 소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Core Technologies of Smart Motor-Graders for Automated Road Construction)

  • 박현준;이상민;송창헌;조정우;오주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2권5호
    • /
    • pp.298-311
    • /
    • 2022
  • 건설현장에서 근로자의 고령화, 저출산으로 인한 신규 인력감소와 숙련된 작업자 부족 등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건설기술을 첨단 디지털 기술로 대체하여 생산성, 안전성, 및 품질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건설 기술 연구가 최근 정부 주도로 개발되고 있다. 특히, 도로 건설 장비 중에서 노면 평탄화를 주로 수행하는 모터 그레이더는 선형적이고 반복적인 공사로 자동화 기술의 적용이 반드시 요구되는 건설 기계이다. 시공 자동화를 통해 사람이 작업하기 힘든 험지나 야지 등과 같은 위험한 환경에서도 손쉽게 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기술과 효율적인 작업 경로와 작업 조건에 따라 장비를 운영하는 경로 추종 및 자동화 작업 기술 등을 적용하여 기존의 운전자가 작업하는 것보다 공사 기간을 단축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자동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스마트 모터 그레이더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기술을 소개하고 기존 그레이더의 토공 작업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스마트 모터 그레이더의 경로 패턴 및 블레이드 제어 방식 등에 대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블레이드 제어 성능과 작업 시나리오에 따른 경로점 기반의 경로 추종 성능을 시험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초고층 구조물을 위한 특수 콘크리트 (Advanced concrete for Skyscraper)

  • 조윤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6-11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 세계적인 추세인 초고층 구조물의 건설에 필수적인 특수 콘크리트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한다. 초고층 구조물에 사용되는 특수 콘크리트를 크게 초고강도 콘크리트, 저발열 콘크리트, 내화 콘크리트 그리고 방폭 콘크리트로 나누고 각각의 필요성, 원리, 적용사례 등을 기술하였다. 본문 뒷부분에서는 현대건설에서 개발하고 있는 특수 콘크리트 기술에 대하여 정리하고 특수 콘크리트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 PDF

양생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온도균열 제어 (Control of Thermal Crack in Mass Concrete Using Automated Curing System)

  • 하주형;조윤구;현태양;임창근;서태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5-200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화열저감 공법에서 문제가 되었던 시공성, 공기, 공사비용 등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 발생 저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매스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온도균열을 제어하기 위해서 타설 예정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 중심부와 표면부에 온도센서를 매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온도제어시스템을 통해 내 외부 온도차이가 균열제어 기준 온도를 초과하면 온도차를 그 이하가 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구조체 표면에 적정온도의 양생수를 공급하여 온도균열 발생을 제어하는 양생 자동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mock-up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이 시스템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llasting plan optimization for operation of a 2D floating dry dock

  • Yoon, Kyungho;Kim, Hyo-Jin;Yeo, Seungkyun;Hong, Younghwa;Cha, Jihye;Chung, Hyu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4권4호
    • /
    • pp.521-532
    • /
    • 2020
  • A floating dry dock is an advanced structure that can provide a solution for dry dock space shortages. The critical point in floating dock operation is compensating the deflection caused by a heavy payload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in the ballast system. An appropriate ballasting plan warrants safe and precise construction on a floating dock.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2D floating dock, ballasting plan evaluation is crucial due to complex deformation mode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 to calculate the optimal ballasting plan for accurate and precise construction on a 2D floating dock. The finite element method was used for considering the flexibility of the floating dock as well as the construction blocks. Through a gradient-based optimization algorithm, the optimal ballasting plan for the given load condition was calculated in semi-real time (5 min). The present method was successfully used for the actual construc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on the 2D floating d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