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learner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9초

성인학습자의 자기인식을 위한 코어 다이내믹 측정도구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Core Dynamic Scale for Adult Learner)

  • 정폴진우;박현숙;김재현;김희동;강창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99-110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easible and reliable tool to diagnose human's core dynamic. For this, 40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interviews and through Delphi survey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an investigation tool comprised of 30 questions in 8 areas were developed finally. The investig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measuring the obstacles and negativity that obstruct changes in individuals and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be useful in discovering obstacles that obstruct the development of members in actual organizations and resolving them. Moreover, this investigation tool can also be utilized in coaching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mentoring and consultation.

초급 상 수준을 위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 전략 (Strategies of Storytelling Based Teaching of English Speaking for Novice High Learners)

  • 고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72-3179
    • /
    • 2015
  • 본 연구는 성인 영어 학습자의 말하기 숙련도 향상을 위한 영어교수법을 제안하고 있다. 패턴 위주의 문장암기나 문법 규칙 중심의 대화식 영어회화 교육 방법을 탈피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영어 말하기 교수 방법론을 소개하고 있다.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말하기 교수법의 이론적 타당도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말하기의 목적 즉, 자신의 생각을 적절히 설득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의견을 나눌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풍부한 담화량의 확보가 관건이다. 이를 위하여 이야기 구성요소 중심의 말하기 전략 12가지를 소개하고, 말하기 학습에 적용해 보고 있다. 다음으로, 수사학적 차원에서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전략을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적인 말하기를 위한 수사학적 5대 영역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기법의 말하기와의 관련성을 찾아본다. 끝으로, 교육 현장에서 스토리텔링 중심의 영어 교수법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외국어 학습자로서의 언어 숙련도가 모국어 수준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위와 같은 스토리텔링 기법의 영어 말하기 교수가 교육 현장에서 실현될 수 있을까에 관한 의문에 학습자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실현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기대한다.

여성리더십교육: 교육적 경험, 그 특성에 관한 탐색 - 부산지역 P기관의 여성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 (The Women Leadership Education: Educational Experience, Exploration about their Characteristics - On the women learner at the P center in Busan)

  • 오경희;박신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355-367
    • /
    • 2012
  • This paper focuses on understanding what kind of experience the women leadership education can provide for adult learners and how the learners grasp a characteristic of a women leader. For this, the research interviewed learner who complete the women leadership course at the P center in Busan. To this end, it is discussed in two sides. One side is about educational experience, the other side is about leadership. In the aspect of former approach, the leadership education shows the characteristic which is much closer to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itself rather than that of leadership. It not only put much emphasize on the recovery to the self but also shows the relation-oriented characteristic like building up social net-work. In the aspect of the latter, by connecting the woman and leader, women expects they wish to be a 'trustful leader'. For them, 'trustful leader' is the true leader. In addition it also means 'charismatic leader', 'servant leader', 'the leader with member to growth' and 'the leader with a rational and reasonable'. Although women acknowledge that women leader's authority and power is important for the realization of the real equality of wome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worry about the possibility that this leader become a kind of a 'power-oriented leader' which causes conflict and suppress the weaker. This study argues that we need to concentrate more on the new perspective which focuses on the sharing and bordering occurred in inner gender rather than the former approach which focuses on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SWP for Adult Learners

  • Cho, Woo-H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SWP강화를 위한 교과목 개선 및 적용을 통해 학습자 특성에 맞는 수업방법을 적용하고 현장실무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동기유발 적용 방안으로 현장의 실무자 초청 토론 진행, 사회복지현장의 유형별 사업 진행 모습 시청 등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 참여 방안으로 우수 프로포절 분석, 복지현장에서 진행하는 행사 참여, 현장의 다양한 딜레마 사례들을 제시, 딜레마 극복 사례 공유를 통해 윤리적 딜레마 극복 노력, 사회복지 현장실습에서 요구되는 실천기술 목록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상호작용 적용 방안으로 전화, e-campus, 카카오톡, 줌(Zoom), 사례관리 과정에서 진행되는 상담기법들을 적용, 복지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이슈에 대한 토론 등 적용 방안이 필요하다.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안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38-450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Survey Study on the Learner's Recognition about the Descending Life Lines for the Fire Emergency Escaping Purpose)

  • 이원주;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73-81
    • /
    • 2018
  • 본 논문은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소방용 완강기 설치현황에 대한 인지, 교육경험, 사용방법의 이해 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그리고 세종특별자치시라는 지역 범위를 설정하고, 해당지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72.64%는 소방안전교육을 받았지만, 이 중 39.46%는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내용이 없는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소방안전교육의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도 대부분 이론 중심의 강의교육을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79.26%).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사용경험은 연구대상자의 81.43%가 사용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방법의 이해는 평균 $3.50{\pm}1.04/5.00$를 보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소방안전교육에서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교육내용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소방용 완강기에 대한 체험식 교육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분석 및 학업성취도에 대한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의 영향 탐색 (An analysis of the mobile learning usages of adult learners and the effects of their perceptions of mobile learning to their learning achievements in a cyber-university)

  • 이의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5-74
    • /
    • 2014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모바일러닝 시스템 활용실태를 분석하고 이들의 모바일러닝 관련 인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2013학년도 1학기 국내 한 사이버대학에 등록한 재학생중 1,1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정보, 모바일러닝 활용실태 및 이에 대한 인식수준(모바일 자기효능감, 용이성, 유용성, 만족도), 학업성취도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때 최신 모바일기기를 활용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모바일러닝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보조자료의 제공, 동영상강의에 대한 확충 등이 보완사항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연령이 높은 연구대상자들의 모바일러닝에 대한 전반적 인식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 상황에서 모바일러닝 관련 변인이 학업성취도에 기여하는 정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모바일러닝의 유용성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고려할 때 모바일러닝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고학력 성인학습자 교육동기의 현상학적 이해 (A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otives of Higher-Educated Adult Learners)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82-191
    • /
    • 2020
  • 본 연구는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교육동기에 관한 것으로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 현상을 이해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는 사전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이 진술하는 진솔하고도 생생한 언어적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교육 참여 본질을 파악하여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고학력 성인학습자에 대한 교육동기의 분석은 나아가 고학력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과도 연결이 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동기를 살펴본 결과, 사례1과 사례2 모두 목표지향형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의 본질을 살펴본 결과, 사례1은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 세부적인 교육의 본질 및 의미를 파악하고 있었다. 사례2의 경우, 교육의 동기에서 제시한 목표와 달리 학습지향형의 특징이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교육을 학습한 후 사회복지에 대한 의미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례1은 다양한 사회복지에 대한 영역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고, 사회복지사로서 전문적인 자원봉사활동가로 사회에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 것을 알수 있었다. 사례2는 열악한 사회복지현장을 설명할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었다. 넷째, 온라인대학은 오프라인대학에 비해 공간적, 시간적 유연성이 있다는 장점이 있고, 자기주도 학습을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혼합학습형태의 『활동과휴식』 통합교과목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Activity and Rest' Integrated Course)

  • 오의금;황선영;이재은;송은경;김민정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4-633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integrated undergraduate course including a PBL based on a blended learning strategy, and evaluate learners' responses. Methods: The learning contents of cardiovascular, respiratory, and musculoskeletal medical systems, and nursing diagnoses of 'activity and rest' domain (NANADA's classification II, 2005) were analyzed. Six clinical scenarios with the clients in different life cycles were developed for PBL. Classical lecture and group presentation with on-line self learning were implemented in addition to PBL. The developed course was implemented on 84 junior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for 7 weeks with 5 hours per day, two days per week.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ing problem 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nursing diagnosis differentiation abilities. Results: Learner's evaluation was positive in problem solving skills and in the differentiation ability of nursing diagnoses relevant to an 'activity and rest' functional health pattern. Conclusi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ourses based on a blended learning method need to be continued to enhance students'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Supporting strategies for individual learners should be added for successful blended learning such as individual on-line feedback and consideration of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 PDF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으로서의 상호작용과 몰입 (Interaction and Flow as the Antecedents of e-Learner Satisfaction)

  • 문철우;김재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3-72
    • /
    • 2011
  • 사이버 공간에서 학업을 병행하는 직장인 학생에게 강의만족은 매우 역동적이고 다차원적인 과정으로 개개인의 학업 니즈와 능력을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 경영대학원에 재학 중인 직장인 학생을 대상으로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 학생 상호간 상호작용, 몰입, 콘텐츠의 질과 구조화, 실시간 Q&A와 사이버 강의를 보완하는 수단으로서의 오프라인 보충강의 등이 만족도에 미칠 직 간접적 영향 정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과관계 검증에 집중하기 보다는 수강생 입장에서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과 어렵다고 판단된 과목을 중심으로 인과관계의 강약 정도를 그룹 별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어렵다고 인지된 과목을 중심으로 답한 그룹의 경우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만족도, 콘텐츠품질에서 몰입, Q&A에서 교수 학생 간 상호작용 그리고 Q&A에서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이어지는 경로계수값이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을 택한 그룹의 경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학생 간 상호작용에서 만족도와 콘텐츠 구조에서 몰입으로 이어지는 경로계수값은 흥미롭다고 인지된 과목을 택한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이러닝 설계상의 시사점도 간략히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