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attachment style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보육교사의 감정표현불능증, 소진, 성인애착이 유아훈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exithymia, Burnout-, and Adult Attachment on Child Disciplinary Style of Childcare Teachers)

  • 차지연;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33-45
    • /
    • 2013
  • Thise study i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age, education, career history and marital Status), alexithymia, burnout, and adult attachment on child disciplinary styles;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young children were studi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sirable disciplinary styles of a childcare teacher in order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childcare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ge, education, career history and marital status of a teacher produced good results statistically irrelevant to the their child disciplinary style. Second, a high level of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alexithymia, burnout, adult attachment and the child disciplinary style of a childcare teacher. In other words, if a teacher shows a high level of alexithymia, burnout, and adult attachment, it is likely that the teacher's child disciplinary style is coercive and neglect, and the teacher tends to give an illogical explanation. Third, in contrast to the other variables, burnout and adult attachment have a greater effect on child disciplinary style than alexithymia.

성인 애착유형과 미혼남녀의 사랑유형 및 이성교제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types, love styles and dating of single people)

  • 노유진;박정윤;김양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31-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 parental bonding, attachment styles, love styles and satisfaction in dating and their effects on other variabl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The stronger the relationship with one's parents in infancy, the higher the possibility to forge secure attachment. 2)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love styles. 3)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styles and dating satisfaction. 4)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on dating satisfaction and duration among different love types.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of forging secure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found related variables that can affect dating satisfaction and duration. However, the study results were based on a limited group of people, which limits the generalizability of the results to the general public. Follow-up studies that cover a wide range of age groups and related variables are necessary.

대학생의 성인애착유형 및 부모양육방식에 따른 분노 (The Relation of Self-reported Adult Attachment Style,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 and Anger in Undergraduate Students)

  • 박영주;박은숙;장성옥;최명숙;송준아;문소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04-311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elation of self-reported adult attachment style, perceived parental rearing styles and anger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 The six hundred and fift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design study were conveniently sampled from K University and S College located in Seoul, Korea. The instruments were Spielberger's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 Korean version(Chon, Han, Lee & Spielberger, 1997),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attachment styles by Hazen and Shaver (1987), and Hong's instrument for measuring parental rearing style(2001).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X^2-test$, ANOVA, and cluster analysis using pc-SAS(version 8.0e)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for trait anger and anger-in were highe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insecure and ambivalent attachment style compared to stude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The mean score for anger-control was highest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The parental rearing styles by cluster analysis were grouped as Neglect, Permissive, Democratic, and Protective-control. The mean scores for trait anger, anger-in, and anger-out were higher in undergraduate students with 'Neglect' parental rearing style than in those with 'Democratic' and 'Protective-control' rearing styles. Conclusion: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might be related to an attachment style and/or a parental rearing style.

  • PDF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According to Parental Adult Attachment Style

  • Kim, Do Hoon;Kang, Na Ri;Kwack, Young So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1호
    • /
    • pp.17-25
    • /
    • 2019
  • Objectives: We ai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between different adult attachment styles. Methods: Forty-four parents who completed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y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and Symptom Checklist-90-Revised. Results: The avoidant attachment sco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The anxious attachment scor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pathology, but a negative association with a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e secure attachment group exhibited a more autonomous, affectionate parenting style and a less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less parenting stress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ismissing-avoidant attachment par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arenting stress scores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Preoccupied and fearful-avoidant attachment parents displayed a more hostile parenting styl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Dismissing-avoidant and preoccupied parents reported a less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than secure attachment parents.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enting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 mental health depending on the adult attachment style. More specific education and interventions based on parental attachment type are necessary for parents.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 김동욱;이경화;조성진;조인희;고승희;이유진;김종훈;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16권1호
    • /
    • pp.28-35
    • /
    • 2009
  • 배 경:인간에 있어서 애착은 각종 정신생리적 증상과 관계가 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인기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177명(남자 74명, 여자 103명, 평균연령 $41.23{\pm}8.44$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 유형(안정형, 거부형, 의존형, 두려움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대인관계 유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불면증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한달간 불면증의 존재, 형태, 빈도, 기간에 대한 설문도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t=2.87, p=0.005), 이러한 상승은 모든 유형의 불면증에서 나타났다(초기 불면, t=2.33, p=0.021;중기 불면, t=2.92, p=0.004;후기불면, t=2.89, p=0.004). 또한, 주 3회 이상의 잦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불면증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반면,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일과성 불면증에 비해 의존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결 론: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유무에 따라 애착 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불면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상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의 임상 양상과 서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미혼 성인의 애착,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he Desire to Have Children, Adult Attachment Style, and Belief in a Just World)

  • 진경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79-499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 미혼 무자녀 성인을 대상으로 향후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이 개인의 애착 그리고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60명의 2-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을 종속변인으로, 성별, 애착(회피애착, 양가애착),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분배공정성에 대한 개인적 믿음, 절차공정성에 대한 개인적 믿음, 분배공정성에 대한 일반적 믿음, 절차공정성에 대한 일반적 믿음)을 예측 변인으로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을 통제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회피애착은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변인은 유의한 증분 설명량을 보였으며, 특히 절차공정성에 대한 일반적 믿음은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개인이 친밀한 관계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기대, 그리고 나아가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공정함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믿음이 자녀를 가지고자 하는 희망을 일정 부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 of the Elderly)

  • 정여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869-893
    • /
    • 2012
  • 본 연구는 자녀와의 애착유형에 따라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인과적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0세 이상의 노인 509명이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경로계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정형은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다소 낮았으며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자녀, 손자녀와의 관계 모두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몰두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부형은 배우자 및 손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손자녀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려움형은 성공적 노화에 대하여 배우자 및 자녀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와의 관계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와의 관계는 손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녀와의 관계는 배우자와의 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유형별 연구모형은 각 유형별 차이뿐만 아니라 전체집단 모형과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 노화에 관한 가족관계 변인을 연구함에 있어 노인의 애착을 고려하는 것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