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성인 애착유형과 불면증

  • Kim, Dong-Wook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Lee, Kyung-Hwa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Cho, Seong-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Cho, In-Hee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Koh, Seung-Hee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Lee, Yu-Ji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Kim, Jong-Hoon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 Kim, Seog-Ju (Department of Psychiatry, Gachon Medical School)
  • 김동욱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이경화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조성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조인희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고승희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이유진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김종훈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 김석주 (가천의과학대학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Introduction: Human attachment is known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psychophysiological phenomenon. However,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of the attachment with sleep, especially with insomnia.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styles and insomnia in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Methods: One hundred seventy seven community-dwelling adults (74 males and 103 females;mean age $41.23{\pm}8.44$)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o assess the attachment styles (secure, dismissing, preoccupied and fearful), self-reporting Relationship Style Questionnaires (RSQ) were completed by the participants. Presence, type, frequency and duration of insomnia in the last month were also investigated. Results: Compared to subjects without insomnia, subjects with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2.87, p=0.005).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 were found in all subtypes of insomnia (sleep-onset insomnia, t=2.33, p=0.021;maintenance insomnia, t=2.92, p=0.004;terminal insomnia, t=2.89, p=0.004). Subjects with frequent (${\ge}3$ per week) insomnia had higher fearful attachment scores than subjects with infrequent (${\le}2$ per week) insomnia (t=2.57, p=0.012). In addition, subjects with chronic insomnia (${\ge}6$ months) had higher preoccupied attachment scores relative to subjects with transient insomnia (<6 months), (t=2.57, p=0.012). Conclusion: In the current study, attachment sty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insomnia. The fearful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insomnia, while the preoccupied attachment was associated with the chronicity of insomn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may be som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attachment styles and the clinical features of insomnia.

배 경:인간에 있어서 애착은 각종 정신생리적 증상과 관계가 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인기 애착 유형과 수면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구성원을 대상으로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 법: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성인177명(남자 74명, 여자 103명, 평균연령 $41.23{\pm}8.44$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 유형(안정형, 거부형, 의존형, 두려움형)을 평가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대인관계 유형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또한, 불면증의 임상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 한달간 불면증의 존재, 형태, 빈도, 기간에 대한 설문도 작성하게 하였다. 결 과:불면증이 있는 경우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높았으며(t=2.87, p=0.005), 이러한 상승은 모든 유형의 불면증에서 나타났다(초기 불면, t=2.33, p=0.021;중기 불면, t=2.92, p=0.004;후기불면, t=2.89, p=0.004). 또한, 주 3회 이상의 잦은 불면증이 있는 경우 간헐적인 불면증에 비해 두려움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반면, 6개월 이상 지속된 만성 불면증이 있는 경우 일과성 불면증에 비해 의존형 애착 점수가 더 높았다(t=2.57, p=0.012). 결 론:본 연구에서는 불면증 유무에 따라 애착 유형의 차이가 있었다. 두려움형 애착 유형은 다양한 형태의 불면증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존형 애착은 불면증상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었다. 이는 성인기 애착 유형과 불면증의 임상 양상과 서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