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renocorticotropic hormon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18초

Panax ginseng exerts antidepressant-like effects by suppressing neuroinflammatory response and upregulating nuclear factor erythroid 2 related factor 2 signaling in the amygdala

  • Choi, Jong Hee;Lee, Min Jung;Jang, Minhee;Kim, Hak-Jae;Lee, Sanghyun;Lee, Sang Won;Kim, Young Ock;Cho, Ik-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107-115
    • /
    • 2018
  • Background: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commonly diagnosed neuropsychiatric diseases, but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medicine are not well-known. Although Panax ginseng has been reported to exert protective effects in various neurological studies,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its antidepressant effects. Methods: Here, we examined the antidepressant effect and underlying mechanism of P. ginseng extract (PGE) in a chronic restraint stress (CRS)-induced depression model in mice.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PGE for 14 d decreased immobility (depression-like behaviors) time in forced swim and tail suspended tests after CRS induction, which corresponded with attenuation of the levels of serum adrenocorticotropic hormone and corticosterone, as well as attenuated c-Fos expression in the amygdala. PGE enhanced messenger RNA expression level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ut ameliorated microglial activation and neuroinflammation (the level of messenger 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cyclooxygenase-2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 the amygdala of mice after CRS induction. Interestingly, 14-d treatment with celecoxib, a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 and $N_{\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a selectiv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attenuated depression-like behaviors after CRS induction. Additionally, PGE inhibited the upregulation of the nuclear factor erythroid 2 related factor 2 and heme oxygenase-1 pathways. Conclusion: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PGE exerts antidepressant-like effect of CRS-induced depression by antineuroinflammatory and antioxidant (nuclear factor erythroid 2 related factor 2/heme oxygenase-1 activation) activities by inhibiting the hypothalamo-pituitary-adrenal axis mechanism.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components of P. ginseng as an alternative treatment of depression, including clinical trial evaluation.

말티즈 개에서 인슐린종의 장기간 관리 증례 (A Case of Long-Term Management of Insulinoma in a Maltese Dog)

  • 박소영;강병택;강지훈;장동우;양만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63-365
    • /
    • 2013
  • 15살, 중성화 암컷 2.80 kg의 말티즈 개가 불명의 경련 및 허탈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혈청화학적검사에서 심한 저혈당이 나타났으나 전해질검사, 전혈구검사, 뇨분석 및 방사선과 복부초음파에서는 특이적인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인슐린 수치는 정상이었으며, 프락토스아민은 정상범위보다 약간 낮았다. 저혈당의 교정을 위해 프레드니솔론이 처방되었고, 임상증상은 개선되었다. 처음 내원한지 45주 후에, 저혈당성 경련의 재발로 다시 내원하였고, 이때 낮은 혈당치와 매우 높은 인슐린농도가 측정되었다. 복부 초음파 상에서, 췌장은 실질이 전반적으로 증가된 균질하지 않은 에코를 보였으며, 실질 내에 저에코성의 병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을 근거로, 이 개는 인슐린종으로 임상적 진단되었다. 더 높은 용량의 프레드니솔론을 하루에 2회씩 투여하였고, 경련 등의 임상증상은 개선되었다. 처음 내원한지 688일 후, 환자는 인슐린종으로 인한 저혈당성 경련의 재발 없이 아직 생존해있다. 이 사례는 말티즈 개에서 인슐린종의 진단과 프레드니솔론 단독으로 인슐린종의 장기간 관리에 대한 좋은 예를 보여준다.

색소 과다 침착만으로 조기 발견한 소아 부신백질이영양증 1례

  • 박선형;홍용희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95-199
    • /
    • 2014
  • X 연관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X-ALD)는 성염색체 Xq28에 위치한 ABCD1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매우 긴 사슬 지방산(saturated very long chain fatty acids, VLCFA) 운반의 장애로 뇌와 척수의 백질과 부신 피질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 VLCFA가 쌓이게 되어 중추와 말초 신경 조직 내에 탈수초(demyelination)가 진행되고, 부신 피질의 기능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X-ALD의 임상적 증상은 매우 다양하나, 크게 3가지 표현형으로 나누어 대뇌 부신백질형성 장애(cerebral ALD), 부신 척수 신경병증(adrenomyeloneuropathy), 부신 피질 기능 저하 즉 애디슨병(Addison's disease only ALD)으로 나눌 수 있다2). 부신 피질 기능 저하 증세만을 보이는 Addison's disease only ALD의 경우 주로 2세에서 7.5세에 발생하며, 증세는 구토, 위약, 혼수, ACTH 분비 증가에 따른 색소 과다 침착(hyperpigmentation)으로 나타나고 발생 당시에는 신경학적 증세가 동반되지 않는다. 저자들은 구역, 구토, 탈수, 저혈당 및 저혈압 등의 증상 없이 색소 과다 침착이 부신 피질 기능 저하의 유일한 증세였던 환아를 혈장 VLCFA 검사를 통해 X-ALD로 진단하였고, ABCD1 유전자 분석 검사에서 c.1992-2A>G 변이를 확인하였다. 국내에서 색소 과다 침착만을 보이는 환아가 X-ALD로 진단받은 보고는 찾을 수 없었으며,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은 돌연변이로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X-ALD 환아의 장기적인 예후 예측과 자세한 상담을 위해서 유전자형과 표현형의 상관관계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전자형에 따른 증상과 예후에 대한 자료가 공유되어야 할 것이다.

17α-Hydroxylase 결핍에 인한 남성가성반음양 1례 (A Case of Male Pseudohermaphroditism due to 17α-Hydroxylase Deficiency)

  • 박경아;정연경;이정렬;최영민;이경훈;김희승;지병철;구승엽;서창석;김석현;김정구;문신용;김성연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3권2호
    • /
    • pp.133-138
    • /
    • 2006
  • 46,XY 핵형인 남성에게서 $17{\alpha}$-hydroxylase의 결핍이 있을 경우 성호르몬의 생성장애로 인해 남성가성반음양에 의한 여성 표현형을 보이게 된다. 코티졸이 결핍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증가 및 이로 인한 광불무신피질호르몬의 합성이 증가되어 저레닌성 고혈압, 저칼륨혈증이 발생한다. 41세 된 여자 환자가 원발성 무월경과 고혈압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46,XY 핵형을 보였으며, 호르몬 검사상, 혈중 에스트라디올, 테스토스테론, 레닌, 코티졸이 감소되어 있으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및 deoxycorticosterone이 증가되어 있어 $17{\alpha}$-hydroxylase 결핍에 의한 남성가성반음양으로 진단되었다. 이 질환의 치료로 복강경을 이용한 양측 고환적출술을 시행하였고, 부신피질호르몬과 항고혈압 재제, 에스트로젠을 투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 증례에 대하여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NCB로 유도된 NC/Nga 아토피피부염마우스에서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활성에 따른 모발세포의 초기세포사멸 연구 (Acceleration of DNCB-induced Early-apoptosis via Activation of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in the Hair Root of NC/Nga Mice)

  • 박건혁;장은영;김성배;한은영;김용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1-287
    • /
    • 2017
  • 피부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헤어조절 및 사이클에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모근세포는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피질관련호르몬과 세포손상 및 사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실험적으로 입증된 사실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보고에 의하면,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가 증가되면 모근세포의 마이토콘드리아 활성을 저해하여 초기단계의 세포사멸을 가져올 수 있다고 임상학적으로 보고된바가 있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와 부신피질관련 호르몬의 양을 증가시키며, 이는 모발의 outer epithelial sheath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의 변화는 마이토콘드리아 손상을 초래하여 초기단계세포손상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토피피부염스트레스가 피부의 모근세포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우리는 NC/Nga 마우스에 2,4-dinitrochlorobenzene (DNCB)로 아토피피부염을 유발 후, 피부 스트레스 생성에 의한 초기단계 세포손상을 스트레스관련 인자, 부신피질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그 관련 인자, annexin V 및 마이토콘드리아 반응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토피피부염에 의한 스트레스는 체내의 부신피질 자극호르몬방출인자 및 관련인자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모근세포에 영향을 주어 초기단계세포사멸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토피피부염관련 헤어손상을 일으킨다는 중요한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 조절관련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보조적 요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쿠싱병에 대한 경접형동접근법의 내분비학적 결과 (Endocrinological Results of the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for Cushing's Disease)

  • 김준수;김창진;하상수;김정훈;이정교;권병덕;홍성관;이기업;이봉재;김용재;최충곤;이호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5호
    • /
    • pp.611-621
    • /
    • 2001
  • Objective :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endocrinological results of the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for ACTH secreting pituitary adenomas. Marerials and Methods : From October 1995 to August 2000, 18 patients underwent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for Cushing's disease. We analyzed the surgical results of 17 patients, one patient who was previously operated from other hospital was excluded. Age of the patients were 18 to 61 years old(mean 37.7), male to female ratio was 1 : 3.3, and follow-up period was 3 to 50 months(mean 20.3). The selection of candidates for transsphenoidal exploration was based on endocrinologic criter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the preferred radiologic test. Selective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 of adrenocorticotropic hormone futher refined the diagnosis when endocrinologic and radiologic procedures were not definitive. Results : Results of the preoperative endocrinological test were : level of serum ACTH 29.4 to $225{\mu}g/dL$(mean $93.88{\mu}g/dL$) ; serum cortisol 11.9 to $47.5{\mu}g/dL$(mean $27.49{\mu}g/dL$) ; 24-hour urine free cortisol 235 to $1019{\mu}g/day$(mean $571.0{\mu}g/day$).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 for ACTH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and all were confirmed by Cushing's disease and we could predict the laterality of the tumor in 9 of 11 patients. We performed transsphenoidal selective adenomectomy in 5 patients, adenomectomy and subtotal hypophysectomy in 2 patients, adenomectomy and partial hypophysectomy in 9 patients, and in the remaining one patient, hemihypophysectomy followed by total hypophysectomy due to remission failure. Fifteen of 17 patients(88.2%) showed endocrinological remission. Glucocorticoid replacement therapy was performed in all the patients who showed remission for 1 to 24 months(mean 5.9 months), and 6 patients received steroid over 6 months.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direct demonstration of a tumor in the pituitary gland by MRI is the most important and definitive diagnostic tool and the location of a mass should be confirmed with increased level of ACTH by the inferior petrosal sinus sampling.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is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Cushing's disease and the immediate postoperative evaluation of the surgical resection of the tumor is very important. The patients should show hypocortisolism, decreased, subnormal serum ACTH and cortisol levels and 24-hours urine free cortisol. We performed 18 transsphenoidal microsurgery for Cushing's disease in 17 patients and 15 patients(88.2%) showed endocrinological remi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