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s self-esteem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8초

자폐증 환자의 형제 및 자매의 정서적 특성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 홍성도;김지혜;심세훈;오창근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1호
    • /
    • pp.75-81
    • /
    • 2004
  • 연구목적:본 연구는 자폐증 아동과 정상인 아동의 형제 자매간의 정서적/행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 되어졌다. 연구방법:DSM-IV에 의거하여 소아정신과 전문의의 진단, 종합적인 심리평가, 부모와의 면담을 통해 진단받은 만 $10{\sim}16$세 연령범위의 자폐증 환자의 형제군 17명과 정상대조군 17명, 총 34명에게 한국형 소아우울척도, 한국형 소아불안척도, 자기개념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시행하였으며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를 부모가 작성한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결 과:자폐증 형제의 사회성, 총사회능력이 정상군 형제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나 내현화, 외현화 증상, 우울, 불안, 자기개념 및 자아존중감에서는 두 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자폐증 환자의 형제나 자매에게 가정 내 자폐증의 존재는 형제나 자매의 사회성, 총사회능력이 낮추었으나 우울, 불안, 자기개념, 자아존중감 등에는 별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친구집단 성태도와 성허용성 (Self-esteem,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 장수현;이성희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5-40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exual permissivenes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380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 about self-esteem, parents-adolescent communication,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Results: The sexual permissive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variable: grade (F=0.51, p=.002), gender (t=7.28, p<.001), age (F=14.72, p<.001), religion (t=4.97, p<.001), residence type (F=4.75, p=.009), number of call with parents (F=3.56, p=.030), number of viewing pornographic video (F=36.05, p<.001), number of viewing pornographic magazine (F= 47.90, p<.001), status of dating (t=3.62, p<.001), number of sexual intercourse (F=14.51, p<.001), an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13.00, p<.001).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iend's sexual attitude and sexual permissiveness (r=.64, p<.001). The variables such as friend's sexual attitude,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the number of watching pornographic video, educational system, religion, and the number of calls with parent explained 52% of the variance in sexual permissive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exual education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ir level of sexual permissiveness and their friend's sexual attitude.

중고등학생의 마음챙김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happi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gratitude and self-esteem)

  • 김덕형;신은미;이창식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59-67
    • /
    • 2024
  • 본 연구는 중고생의 마음챙김과 행복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충남의 S시에 재학중인 중고등학생을 유의표집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SPSS PC+ Win. ver. 25.0과 SPSS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이중 매개효과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챙김, 감사성향, 자아존중감 및 행복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 간에는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감사성향과 자아존중감은 중고등학생의 마음챙김과 행복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감사성향 및 자아존중감 등 심리적 변인을 활용하여 행복 증진을 위한 새로운 실천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영향요인과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생태체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 (The Factors affecting on Internet Addition in Adolescence and how to deal with it - Focusing on Ecosystem Theory -)

  • 박희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93-200
    • /
    • 2010
  • 이 연구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규명해 봄으로써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해 본 연구이다. 즉, 인터넷 중독의 영향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개인체계, 가정환경체계, 학교환경체계, 인터넷 환경체계 등으로 나누어 영향요인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등이었으며, 가정환경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수준, 부모의지지 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학교환경체계에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학업성적, 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 적응 등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처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및 또래요인이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Peer Factors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 김연화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371-38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peer relationships an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417 7th and 8th grade students. These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using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18.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dolescent's self-control, their father's rejective rearing, peer pressure, and the peer relationship between boys and girls. The results showed that boys had higher self-esteem and father's rejective rearing than girls. On the other hand, girls had higher peer pressure and more intimate peer relationships than boy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7th grade students had higher self-esteem and mother's warmth rearing than the 8th graders. Furthermore, the 8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shame, mother's rejective rearing, marital conflict, internaliz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than the 7th graders. The internalizing behavior in boys was influenced by shame, marital conflict, and peer pressure. In the case of girls, the internalizing behavior was affected by shame, mother's warmth rearing, and peer pressure. The externalizing behavior in boys was influenced by self-control and shame. In the case of girls, the externalizing behavior was affected by self-control, shame, marital conflict, and peer pressure. Adolescents who exhibited higher levels of shame than others and higher peer pressure showe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dolescents who had less self-control and more shame, experienced mor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 Longitudinal Study on the Parenting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09-2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MAP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2011년 1차(초등학교 4학년)에서 2016년 6차(중학교 3학년)까지 총 6차년에 걸친 데이터 중, 본 연구에서는 2012년(2차, 초등학교 5학년), 2014년(4차, 중학교 1학년), 2016년(6차, 중학교 3학년)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자기회귀효과는 각각 시간의 흐름에도 지속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이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이후 시점의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는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은 다문화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이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교차지연효과의 영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부모의 부모효능감과 다문화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성취동기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세 변인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건강증진학교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들의 정신건강 실태 및 관련된 가정-사회적 요인들 (Mental Heal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Familial-Social Factors in Health Promoting School)

  • 안동현;정승아;김석현;송화진;이미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5-46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a part of preliminary survey for establishing Korean HPS(Health Promoting School) model which was originally suggested by WHO. Methods: Thre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sampled in urban and rural area across three level of social-economic status, and survey was conducted on one class in each grade by random selection. To measure mental health and social and familial factors, self-esteem scale, self-efficacy scale, depression scale, family cohesion scale, parent-child communication scale, adolescent's mental health and problem behavior questionnaire(AMPQ), and other question items about family status and economic level were conducted. Students' mental health level was compared by region, sex, grade, and other familial and economic factors. Results: Familial and social factors such as economical and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number of family members were different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Also, students of rural area got lower scores at self-esteem, self-efficacy, but higher scores at extroverted problem behavior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In pre-school students, high grade students' self-esteem, and family cohesion scores were lower than low grade students. And sexual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problem behavior domain and reg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students of single-parent family and lower economic family got insistently low scores at various mental health related scale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HPS model is designed and applied in Korea.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이 휴대전화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Esteem, Impulsive Behavior and Mental Health on Cellular 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 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00-210
    • /
    • 2014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을 파악하고,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중학생 239명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중독군과 비중독군의 일반적 특성에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학년, 성별 사용기간, 구입동기, 문자메세지 이용횟수/1일, 용도, 요금, 통화상대이다. 둘째, 휴대전화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자아존중감은 낮고, 충동성과 정신건강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 무계획충동성, 정신건강 총점, 학년, 성별, 사용기간, 문자메시지 횟수/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자아존중감, 충동성 및 정신건강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과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예방을 위한 중재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가족 환경 및 개인 심리 요인이 남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 서찬란;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1-162
    • /
    • 2006
  •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문제행동 차이를 살펴보고 가족 환경 요인과 개인 심리 요인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중학교 2, 3학년의 8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최종 791부(남 438명, 여 3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가족 환경 요인과 개인 심리 요인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보다 여자 청소년이 어머니의 감독 수준을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는 부모의 관계를 더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우울에서는 남자 청소년보다는 여자 청소년의 우울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행동, 아버지의 감독 그리고 자아존중감에서는 남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우울, 어머니의 감독, 아버지의 양육행동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에는 우울과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여자청소년의 경우에는 아버지의 감독, 우울, 어머니의 감독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 자살 중재연구 동향 (Trends in Research o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s)

  • 조헌하;강정미;김원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393-40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recent trends i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 research in Korea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is area. Methods: Studies Thirty-four studies selected from http://www.riss4u.net over the for last 20 years were analyzed by field and design of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and the outcome variables used in intervention studies. Results: Nineteen (55.9%) of the 34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s of welfare (9), psychology (5) and nursing science (5). Ordinary adolesc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participant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wenty one (61.7%) of the 34 studies.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outcome variables were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and self-estee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 on adolescent suicide intervention programs is expanding with a focus on ordinary adolescents as and subjects. In order to prevent suicide, research on family, teachers, and friends, who all are important parts of a teenager's support system, is neede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 post-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 to prevent recurrence in high-risk teenagers who have attempted suic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