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ve material

검색결과 750건 처리시간 0.028초

유지 인대의 외부 고정을 통한 제1형 신경섬유종증 환자의 안면부 변형 교정 (External Fixation of Retaining Ligament in Correction of Facial Disfigurement in Type-1 Neurofibromatosis Patients)

  • 명유진;이윤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57-262
    • /
    • 2011
  • Purpose: In neurofibromatosis patients, complete surgical excision of the mass is almost impossible and surgical treatment usually consists of multiple serial excisions that only result in a debulking effect. Remnant tumor mass has a gravitational effect on facial soft tissues that leads to sagging of skin and soft tissue, and eventually, facial disfigurement and asymmetry. The purpose of our surgical method is to perform soft tissue lifting with longer lasting effect with less surgical risk of damaging facial nerve and vessels. With external fixation using K-wire or surgical screw, the procedure only called for a short incision length and had additional adhesive properties that enabled anchoring of soft tissue in a lifted position for a longer postoperative period. Methods: A total of 5 neurofibromatosis patients (NF-1) visited our clinic for mass reduction and face lifting.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3 to 42 (mean 28.8 years), and most patients had a long history of multiple excisions in the past. Face lifting was performed in 2 different areas, the periorbital area in 3 patients, and the midface in 2 patients. The materials used in fixation of retaining ligament were K-wire (n=3) and titanium screw (n=2). Results: Follow up period was from 5 month to 3 years and 1 month (mean=2 years and 1 month). All patients conveyed satisfaction with the results and no major complications were reported. The lifting effect lasted for as long as 3 years, and there were no complaints of relapse of soft tissue depression or sagging within the operated area. 1 patient (M/13) needed secondary k-wire insertion and additional mass excision in 1 year and 10 months postoperatively due to tumor growth. In two patients with K-wire fixation, mild dimpling and tenderness were observed in the follow up period, but in about 2 months postoperatively, dimpling was relieved and there was no need for removal of fixating material. Conclusion: Surgical lifting in neurofibromatosis patients can be challenging, for mass excision cannot be done completely and gravitational effect by residual mass can be persistent. External fixation of the retaining ligament in patients with neurofibromatosis can give satisfactory results-for incision length is relatively shorter, and the lifting effect can last longer compared to other various face lifting techniques.

의치 접착제가 총의치의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enture adhesives on the retention of complete denture)

  • 윤유미;최유성;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7-93
    • /
    • 2010
  • 연구목적: 의치 접착제는 구강 내 의치 장착 시 유지에 도움을 주는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써 의치상과 점막 사이에 계면력을 증가시켜 유지를 향상시킨다. 이에 본 실험은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생체 외 실험으로 비교, 평가하는 것으로 실리콘 무치악 모형과 레진 의치상 간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의치 접착제의 유지력을 비교, 평가하고 탈락력이 가해진 방향에 따른 유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두가지 의치 접착제로 POLIDENT$^{(R)}$와 COREGA$^{(R)}$를 사용하여 레진 의치상에 적용시키고, 실리콘 모형에 적합시킨 후 인스트론으로 인장력을 측정하였다. 인공타액으로 접착제의 농도를 점점 희석시켜 반복 측정하였고, 수직력, 측방력, 전후방력을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인공타액만을 사용한 대조군과 비교시 의치 접착제를 사용한 군에서 유의성 있는 유지력 증가를 보였다 (P<.05). 2. 희석횟수에 따른 비교 시 두 접착제 군에서 모두 1회 희석 시에는 희석시키지 않은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2회, 3회, 4회 희석시킨 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3. 탈락 방향에 따른 비교 시 수직 방향의 탈락력이 가장 컸으며 전후방력, 측방력의 순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5). 4. 두 접착제 간의 접착력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접착제의 사용은 유지력 증가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직적으로 가해지는 힘에 저항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장섬유강화 복합재료 구조물의 기계적 접합을 위한 스테인레스 강 인서트 설계 (Design of a Stainless Steel Insert for Mechanical Joining of Long Fiber-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 이성우;장승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139-144
    • /
    • 2018
  • 장섬유강화 복합재료는 기존의 연속섬유강화 복합재료에 비해 우수한 생산 효율성과 복잡한 형상의 성형성에 대해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복잡한 복합재료 형상을 제작하거나 서로 다른 재료로 제작된 부품들을 조립/체결해야 하는 경우 다양한 접합 방법들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LFPS(Long Fiber Prepreg Sheet)는 성형 후 탈형을 쉽게 하기 위해 LFPS안에 이형제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적절한 접합 강도를 위해 접착법과 더불어 기계적인 체결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열성형 공정을 통해 LFPS를 경화하고 스테인레스 강 인서트를 접착하는 동시경화 접착을 위한 스테인레스 강 인서트를 제안하였다. 성형공정 동안 펼쳐지는 스테인레스 강 인서트의 날개는 접착력과 기계적인 고정(Mechanical wedging)의 효과를 유발하여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는 갈고리 역할을 한다. 복합재료에 삽입된 인서트 날개들의 펼쳐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소각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접합 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인발시험(Pull-out test)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들을 통해 가장 적절한 접합 강도를 보장하는 조건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개념의 복합재 샌드위치 체결부 구조의 설계와 검증 (Design and Verification of a Novel Composite Sandwich Joint Structure)

  • 곽병수;주현우;김홍일;동승진;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6호
    • /
    • pp.384-392
    • /
    • 2017
  • 인장과 압축하중 모두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새로운 샌드위치 체결부 구조의 설계를 위해, 체결부 형상이 다른 3가지 샌드위치 판넬에 대한 인장 및 압축 시험을 수행하였다. 샌드위치 판넬의 코어는 주로 알루미늄 플렉스 허니콤이지만, 타 구조물과의 체결을 위해 두께가 얇아지면서 단순 적층판으로 변하는 램프 영역에서는 PMI 폼 코어를 사용하였고, 면재에는 탄소섬유 복합재를 사용하였다. 형상 1에서는 복합재 플랜지와 샌드위치 구조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형상 2와 3에서는 별도로 제작된 알루미늄 플랜지가 복합재 적층판에 하이록핀과 접착제로 체결된다. 시험 결과 형상 1, 2, 3의 평균 압축파손하중은 각각 295 kN, 226 kN, 291 kN으로 나타났고, 평균 인장파손하중은 각각 47.3(층간분리), 83.7 kN(볼트파손), 291 kN(치구손상)으로 나타났다. 압축 파손하중만을 고려할 경우 플랜지와 샌드위치 판넬을 복합재 일체형으로 제작한 형상 1과 3이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형상 1의 경우 인장하중을 받을 때 낮은 하중에서 플랜지 모서리 부분에서 층간분리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인장과 압축하중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는 모서리에서 층간분리의 위험이 없게 별도의 알루미늄 플랜지를 사용하여 볼트로 체결한 형상 3임을 확인하였다.

MACRO-SHEAR BOND STRENGTH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CEROMER BONDED TO METAL ALLOY AND FIBER REINFORCED COMPOSITE

  • Park Hyung-Yoon;Cho Lee-Ra;Cho Kyung-Mo;Park Chan-Jin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54-663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According to the fracture pattern in several reports, fractures most frequently occur in the interface between the ceromer and the substructure.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compare the macro shear bond strength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of a ceromer bonded to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FRC) as well as metal alloys. Material and methods. Ten of the following substructures, type II gold alloy, Co-Cr alloy, Ni-Cr alloy, and FRC (Vectris) substructures with a 12 mm in diameter, were imbedded in acrylic resin and ground with 400, and 1, 000-grit sandpaper. The metal primer and wetting agent were applied to the sandblasted bonding area of the metal specimens and the FRC specimens, respectively. The ceromer was placed onto a 6 mm diameter and 3 mm height mold in the macro-shear test and 1 mm diameter and 2 mm height mold in the micro-shear test, and then polymerized. The macro- and micro-shear bond strength were measur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a micro-shear tester, respectively. The macro- and micro-shear strength were analyzed with ANOVA and a post-hoc Scheffe adjustment ($\alpha$ = .05).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crowns were then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o determine the mode of failure. Chi-square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failure mode. Results. The macro-shear strength and the micro-shear strength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types of substructure (P<.001). Although the ceromer/FRC group showed the highest macroand micro-shear strength, the micro-shear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metal alloy groups. The base metal alloy substructure groups showed the lowest mean macro-shear strength. However, the gold alloy substructure group exhibited the least micro-shear strength. The micro-shear strength was higher than the macro-shear strength excluding the gold alloy substructure group. Adhesive failure was most frequent type of fracture in the ceromer specimens bonded to the gold alloys. Cohesive failure at the ceromer layer was more common in the base metals and FRC substructures. Conclusion. The Vectris substructure had higher shear strength than the other substructures. Although the shear strength of the ceromer bonded to the base metals was lower than that of the gold alloy, the micro-shear strength of the base metals were superior to that of the gold alloy.

불산 처리 시간이 강화형 전부도재관과 레진 시멘트의 전단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CHING TIME ON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S TO REINFORCED ALL-CERAMIC CROWNS)

  • 김경일;최근배;안승근;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01-513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tching time on shear bond strength of four resin cements to IPS Empress 2 ceramic. Material and Methods: Forty rectangular shape ceramic specimens ($10{\times}15{\times}3.5mm$ siz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eramic specimens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were etched with 10% hydrofluoric acid for 0, 10, 30, 60, 180, 300, 420, 600, and 900 seconds respectively. Etched surfaces of ceramic specimens were coated with ceramic adhesive system and bonded with four resin cement (Variolink II, Panavia F, Panavia 21, Super-Bond C&B) using acrylic glass tube. All cemented specimens were tested under shear loading untill fracture 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1mm/min: the maximum load at fracture (kg) was recored. Shear bond strengh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ukey HSD tests (p<.05). Etched ceramic surfaces (0-, 60-, 300-, and 600-seconds etching period) and fracture surfaces after shear testing were examined mophologicall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sults : Ceramic surface treatment with 10% hydrofluoric acid improved the bond strength of three resin cement except for Super-Bond C&B cement. Variolink II (41.0$\pm$2.4 MPa) resin cement at 300-seconds etching time showed statistically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other resin cements (Panavia F: 28.3$\pm$2.3 MPa, Panavia 21: 21.5$\pm$2.2 MPa, Super-Bond C&B: 16.7$\pm$1.6 MPa). Ceramic surface etched with 10% hydrofluoric acid for 300 seconds showed more retentive surface texture.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Variolink II resin cement are suitable for cementation of Empress 2 all-ceramic restorations and etching with 10% hydrofluoric acid for 180 to 300 seconds is required to enhance the bond strength.

부식성 하인두 협착시 식도재건술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Hypopharyngeal Stricture After Severe Corrosive Injury)

  • 변정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8-54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백병 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부식제 의 음용으로 하인두와 식도 입구부터 심한 협착이 발생한 1 1례의 환자에서 하인두의 양배꼴동에 대용식 도를 문합하는 식도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7례, 여자 4례로 모두가 성인으로 연령은 21세 에서 47세까지로 평균 34세였다. 식도협착의 원인이 된 부식제는 산성이 6례: 알칼리성이 5례였다. 이들의 부식제 음용 동기는 자살 목적이 9례였 고, 사고로 인한 경우가 2례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최종적으로 식도재건술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부 터 21년까지 였다. 식도재 건술시 이용한 대용식도는 9례에서는 우측 결장을 사용하였고, 2례는 이 전에 우측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이 실패한 상태여서 좌측 결장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식도 절제술은 하지 않았고 결장은 흉골하로 거상하였다. 경부 문합은 환자의 머리를 똑바로 놓은 상태에서 경부에 J형태로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설골, 갑상설 골근을 절단하고 갑상연골의 연골막을 박리하여 감상연골을 역삼각형모양으로 부분절제하고 양배꼴동을 열고 결장과 단단문합하였다. 수술 직후 類觀隙\ulcorner환자는 음식물을 삼킬 때 연하곤란과 기도내로 음식물이 넘어가 고형 음식물로 삼키는 훈련이 필요하였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은 대용식도의 괴사가 3례가 발생하여 유리공장을 이식하였다. 3례에서는 경부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2례에서 상부문합부위를 확장하였고 1례에서는 유착띠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협착이 해소되었다. 수술 후 외래 추적관찰에서 10례에서는 정상적으 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고 유리공장을 사용하여 2차수술을 시행한 1례는 유리공장의 괴사로 3차수술 을 기다리고 있다.

  • PDF

목재 단판-대나무 제퍼 복합보드 제조: II. 복합보드의 성능에 미치는 제조조건의 영향 (Manufacture of Wood Veneer-Bamboo Zephyr Composite Board: II. Effect of Manufacturing Conditions on Properties of Composite Boar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08-117
    • /
    • 2007
  • 생장 기간이 매우 빠르고 섬유방향의 강도적 성질이 우수한 대나무를 합판의 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케루잉단판-솜대 zephyr 복합 패널(WBCB)의 제조 조건(수지접착제의 종류, 도포량, 도포방법)이 패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수지의 종류에 따른 5-ply WBCB의 성능은 폴리메릭 이소시아네이트수지(PMDI)가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이어 페놀수지(PF), 페놀 멜라민수지, 요소 멜라민수지 및 요소수지의 순이었다. 사용한 수지 중 강도적 측면과 작업성을 고려할 때 PF 수지에 의한 복합 패널 제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PF수지를 사용하여 제조한 12 mm 두께의 5-ply WBCB의 경우, 수지의 도포량이 증가하면 패널의 성능도 향상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박리강도 측정 후의 파괴양상은 도포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나무 외층-대나무 내층 경계층의 파괴가 증가한 데 반하여 대나무 제퍼 내부층의 파괴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WBCB 제조시 수지가 다소 zephyr 내부까지 침투할 정도의 수지 도포량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되며, 표면 단판의 오염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320g/m^2$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일한 PF수지 도포량에서 수지의 도포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5-ply 복합 패널의 성능은 양면과 편면 스프레이 도포 간과 스프레이와 롤러에 의한 도포방법 간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주어진 환경에서 작업성이 좋은 도포방법을 채택하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용 임플랜트에서 지대주 나사의 길이 및 반복 조임 횟수가 지대주 나사의 풀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BUTMENT SCREW LENGTH AND REPEATED TIGHTENING ON SCREW LOOSENING IN DENIAL IMPLANT)

  • 최진호;양재호;조원표;이재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32-442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One of common problems associated with dental implant is the loosening of abutment screws that retain the implants.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butment screw length and repeated tightening on screw loosening in dental implant. Material and method: Forty nine Hexplants (13mm length, 4.3mm diameter, Ti grade IV, Warantec. Co. Ltd. Seongnam, Korea) and cementation type abutments(straight abutment) and abutment screws (0.4mm/pitch) were divided into 7 groups, depending on abutment screw length. Each implant and abutment was tightened to 30Ncm by torque controller(MGT50, MARK-10 Inc., USA) and the removal torque values were measured during 10 consecutive closure/opening trials.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removal torque value are as follows :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moval torque value between groups in 10 consecutive closure/opening trials (p = 0.97). 2. If the fractured abutment screw is engaged in longer than 2.425 thread length,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load between the fractured abutment screw and the new abutment screw when both are equally tightened to 30 Ncm. 3. The removal torque value in the 1st trial(24.510 Ncm) was lower than that in the 2nd, 3rd, 4th, 5th, 6th, 7th trials and the removal torque value in the 2nd trials(25.551 Ncm) was maximum and was decreased in 1311owing trials. The removal torque value in the 1st tria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2nd, 3rd, 4th trials an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8th, 9th, l0th trials(p<0.05). 4. In the 2nd, 3rd, 4th, 5th, 6th, 7th trials, the abutment screw was mainly influenced by settling effect and the higher preload was obtained In the 8th, 9th, l0th trials, the abutment screw was mainly influenced by adhesive wear and the progressively lower preload was obtained.

소르빅산 변성 수소첨가 DCPD계 석유수지의 합성 및 응용 (Synthesis and Application of Sorbic Acid Grafted Hydrogenated Dicyclopentadiene Hydrocarbon Resin)

  • 공원석;박준효;윤호규;이재욱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1호
    • /
    • pp.29-34
    • /
    • 2015
  • 석유수지는 분자량이 작고 무정형인 열가소성 수지로써 다양한 접착제 및 고무의 가공조제, 필름의 첨가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석유수지의 단점은 비극성이기 때문에 비극성의 폴리머와의 상용성은 우수하나 아크릴 및 우레탄, 폴리아마이드와 같은 극성기를 포함하는 폴리머와의 상용성은 좋지 않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석유수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나프타 크래킹 공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의 양이 가스 크래킹의 확대 적용으로 인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석유수지 원료로 극성기를 포함하면서 지속 가능한 신규 원료인 소르빅산으로 일부 대체하고자 하였다. 기존 석유수지 원료인 DCPD 모노머와 블루베리로부터 생성되는 소르빅산은 열중합에 의해 Diels-Alder 반응으로 성공적으로 공중합하였다. 소르빅산 변성 수소첨가 DCDPD계 석유수지는 아크릴계 접착제 배합에 적용되어 다양한 점 접착 물성이 측정되었으며, Polarity에 따른 상용성 및 연화점에 따라 최적 물성이 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