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program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6초

신규간호사 및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 조사 (Survey on the Intention to Stay, Field Adaptation, and Educational Demands in New Nurses and Reemployment Nurses)

  • 김숙정;지혜련;임유진;김남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506-51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재직의도, 현장적응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비교하는 것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현장적응력을 강화하고 이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비교조사연구를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을 졸업한 신규간호사 48명과 6개월 이상의 경력단절기간을 가진 후 재취업한 간호사 48명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 차이는 결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현장적응 정도는 신규간호사의 가족 부양의 책임 유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 두 군간의 재직의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t=-2.10, p=.038), 현장적응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1.48, p=.142). 마지막으로, 연구 대상자들이 가장 원하는 직무교육 주제는 응급환자간호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와 재취업간호사의 현장적응을 강화하고 재직의도를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athy, Communication skills and Resilience on the Adapta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College Student)

  • 김미영;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05-113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임상실습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시의 3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2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3.49±.44점, 의사소통능력 3.86±.85점, 회복탄력성 3.63±.56점, 임상실습적응은 3.63±.52점이었다. 대상자의 임상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9.9%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2~3일 밤번근무 간호사의 일주기 수면유형, 수면의 질, 밤번근무 적응도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ircadian Types,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among Nurses Working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 김수진;구미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3호
    • /
    • pp.309-32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circadian types,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among nurses working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99 ward nurses from two university hospitals in Gyeongnam province. Each nurse worked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4 and October 14, 2012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grave{e}}$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14.0 program. Results: Mean scores for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was $4.92{\pm}1.46$ on a 10-point scale and $2.66{\pm}0.47$ on a 5-point scale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according to circadian types of nurs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r=.25, p<.001).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night shifts were preference for night shift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hich together explained about 35%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Nurses working on two or three day night duties had low level of sleep quality and adaptation to night shif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eference for night shift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or improving adaptation to night shifts of nurse.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학과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Major Satisfaction of Som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on Campus Life Adaptation)

  • 윤현경;최미숙;조우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4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would have on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Methods: The total 396 students were surveyed who majored in dental hygiene in universities located at Gyeongbuk and Gyeongnam from October 15, 2013 to October 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17.0 program, along with th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ptitude and interest' were found to be greatest factor among the motive for application among the factors of self-efficacy,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 of students,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elf-elasticity had a correlation of 0.741 and the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of 0.420 in the self-efficacy, while the individual emotional adaptation,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and adaptation to the study had a correlation as high as over 0.4 in the self-elasticity(p<0.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increased proportionally to the self-elasticity and major satisfaction(p<0.05). Conclusions: To increase the campus life adapt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plore the measures that can improve the self-elasticity and overall major satisfaction.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39-548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자활사업의 탈수급 탈빈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활참여자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근로장벽 특성상 자활 효과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정서적, 사회적 자활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활프로그램 중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가장 자활가능성이 취약한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효과 및 그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수행기관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이 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효과와 사회적 자활 효과는 보통 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활의 영향요인으로는 요보호가구원수(-)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자활에는 삶의 만족도(+), 조직유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건강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활사업의 평가와 관련된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자활효과 측정의 필요함을 밝히고 심리사회적 다양한 근로장벽을 지닌 자활참여자 특성에 적합한 통합사례관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지원체계 등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 (The College Adaptat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Enterents: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Support Relationship)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49-159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지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4월 1일에서 5월 2일까지 G도 소재의 대학에서 전공과 무관하게 연구 참여에 동의한 대학생 28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3부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과 대학생활 적응, 스마트폰 중독 및 대인관계 지지의 정도를 알아보고 세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의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Regression방법과 Amos 16.0프로그램의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관관계 분석에서 대학생활 적응은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328, p<.001), 대인관계 지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r=.490, p<.001) 보였으며, 대인관계 지지는 스마트폰 중독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r= -.034 p=.04) 보였다. 매개효과 분석에서 회귀분석의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결과, 대학생활 적응(${\beta}=-.37$, p<.000)과 대인관계 지지는(${\beta}=.30$, p= .15)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예측변수로 조사되었고 설명력은 32.5%였으며, 대인관계 지지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Sobel test를 시행한 결과, 대학생활 적응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지지는 유의한 부분매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Z=2.16, p=.03).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대학 차원의 다양한 대인관계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대학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돕고 적절하고 유익한 스마트폰 사용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적응 프로그램 요구도 (Difficulties of immigrant women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 in Raising Children and Needs for Adaptation Program -)

  • 현은애;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75-68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needs for adaptation program of married immigrant women raising children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27 Day care centers in Guemsan County, Chungnam Province. 20 senior teachers of day care centers and 58 mothers who had immigrated into Korea by international marriage were asked to complete a packet of questionnaire designed by researchers for this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 senior teachers and 6 mothers who could communicate in Korea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OVA, and cross-section analysis. The outcome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entire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s at Guemsan area was 102 persons. 2) Immigrant mothers felt that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makes them difficult in raising children in Korea, whereas the day care teachers felt tha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was delayed. 3) According to the survey of adaptation program a for married immigrant women's children, there was few program at the time of survey, only two daycare centers conduct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once or twice a year. Teachers requi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grievance counseling (?) for the mothers. Immigrant mothers requir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대학생 여가 활동 지원 메타버스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긍정적태도, 여가태도, 여가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ositive Attitude,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Metaverse Education Program for Leisure Activities)

  • 백현기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50-63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attitude,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satisfa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leisure activity suppor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taver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attitude. Perspective diversification influenced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of leisure attitude, self-acceptance influenced the emotional factor, and social adaptation influenced bo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Second, leisur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isure satisfaction. Cognitive and emotional attitudes influenced all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while behavioral attitude primarily influenced the relaxation factor. Third, positiv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social, relaxation, and physiological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Perspective diversification and self-acceptance played important roles, while social adaptation influenced all factors of leisur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design of leisure activity support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metaverse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enhancing positive attitude. The metaverse environment offers experiences similar to real-life interactions, which can contribute to enhancing participants' positive attitude and improving their leisure satisfaction. Program design should include elements that enhance participants' self-acceptance and social adaptation abilities, as well as focus on improving self-regulation skills. Through this, university students can enrich their leisure experienc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조절 및 매개효과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Nursing Students)

  • 최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68-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확인하고,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역할을 파악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P시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 2개교에서 간호대학생 55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07일부터 11월 25일까지였다. 설문에 응답한 데이터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5점 만점에 3.86점, 간호전문직관은 5점 만점에 3.97점,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34점이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r=.640, p<.001),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r=.510, p<.001), 간호전문직관과 대학생활적응(r=.448, p<.001)은 각각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이 유의한 조절효과(F=8.460, p=.004)와 부분매개효과(${\beta}=.21$, p<.001)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affecting on Adaptation to Uncertainty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 유경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0-249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ffecting factors on the adaptation to uncertainty in patients having rheumatoid arthritis. Subjects of the study constituted 222 patients who visited outpatient of rheumatic center in Seoul. Self 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daptation to uncertaint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daptation to uncertainty were uncertainty, mastery, appraisal of danger, appraisal of opportunity, emotion focused coping, problem focused coping, pain, depression and activity of daily life(ADL).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se instruments were found Cronbach's $Alpha\;=\;.70{\sim}.94$. In data analysis, SPSSWIN 10.0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ange of total pain scores was from 0 to 147 and the mean score of the pai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as 72.64. 2) The range of total depression scores was from 20 to 72 and the mean score of the depression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as 39.86. 3) The range of total ADL scores was from 22 to 80 and the mean score of the ADL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was 72.56. 4)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factors to explain the adaptation to pain in patients were danger appraisal of uncertainty(p<.05) and emotion focused coping(p<.05). 5)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factors to explain the adaptation to depression in patients were danger appraisal of uncertainty(p<.001), opportunity appraisal of uncertainty(p<.001) and mastery(p<.005). 6)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significant factors to explain the adaptation to ADL in patients were mastery(p<.001) and danger appraisal of uncertainty(p<.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