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yl CoA%3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1초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hACAT) Inhibitory Activities of Triterpenoids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 Lee, Jin-Hwan;Ryu, Young-Bae;Lee, Byong-Won;Kim, Jin-Hyo;Lee, Woo-Song;Park, Yong-Dae;Jeong, Tae-Sook;Park, Ki-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3호
    • /
    • pp.615-619
    • /
    • 2008
  • Eight triterpenoids, six lanostanes 1-6, one lupenane 7, and one oleanane 8, were isolated b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thylacetate extract from roots of Glycine max (L.) Merr. All isolated compounds were exami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uman ACAT-1 (hACAT-1) and human ACAT-2 (hACAT-2). Among them, three triterpenoids showed potent hACAT inhibitory activities, (24R)-ethylcholest-5-ene-3,7-diol (1) and 3b -hydroxylup-20(29)-en-28-oic acid (7) exhibited more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ACAT-1 (1: IC50 = 25.0 1.2 and 7: IC50 = 11.5 0.4 m M) than hACAT-2 (1: IC50 = 102.0 5.4 and 7: IC50 = 33.9 3.7 m M), respectively. Interestingly, 5a ,8a -epidioxy-24(R)-methylcholesta-6,22-diene-3b -ol (4) has proven to be a specific inhibitor against hACAT-1 (IC50 = 38.7 0.8 m M) compared to hACAT-2 (IC50 >200). In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at triterpenoids of G. max have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hACAT-1 and hACAT-2.

Study on the hypochlolesterol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tyramine derivatives from the root bark of Lycium chenese Miller

  • Cho, Sung-Hee;Park, Eun-Jung;Kim, Eun-Ok;Choi, Sang-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5호
    • /
    • pp.412-420
    • /
    • 2011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and potential of tyramine derivatives from Lycii Cortex Radicis (LCR), the root bark of lycium (Lycium chenese Miller) in reducing lipid peroxidation. The activities of enzymes, hepatic 3-hydroxy 3-methylglutaryl (HMG) CoA reductase and acyl-CoA: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and LDL oxidation were measured in vitro and animal experiments were also performed by feeding LCR extracts to rats. The test compounds employed for in vitro study were trans-N-p-coumaroyltyramine (CT) and trans-N-feruloyltyramine (FT), LCR components, N-(p-coumaroyl)serotonin (CS) and N-feruloylserotonin (FS) from safflower seeds, ferulic acid (FA) and 10-gingerol. It was observed that FT and FS at the concentration of 1.2 mg/mL inhibited liver microsomal HMG CoA reductase activity by ~40%, but no inhibition of activity was seen in the cases of CT, CS, FA and 10-gingerol. Whereas, ACAT activity was inhibited ~50% by FT and CT, 34-43% by FS and CS and ~80% by 10-gingerol at the concentration of 1 mg/mL. A significant delay in LDL oxidation was induced by CT, FT, and 10-gingerol. For the animal experiment, five groups of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high fat diets containing no test material (HF-control), 1 and 2% of LCR ethanol extract (LCR1 and LCR2), and 1% of extracts from safflower seed (Sat) and ginger (Gi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otal 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f, LCR2 and Gin groups, and HDL cholesterol level was lower only in Gin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among the five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 of liver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LCR1 and LCR2 groups than HF-control Serum levels of TBARS were significantly lower only in LCR2 group when compared with HF-control group. From the observed results, we concluded that LCR can be utilized as a hypocholesterolemic ingredient in combination with ginger, especially for functional foods.

Cytotoxic and ACAT-inhibitory Sesquiterpene Lactones from the Root of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 Ahn, Eun-Mi;Bang, Myun-Ho;Song, Myoung-Chong;Park, Mi-Hyun;Kim, Hwa-Young;Kwon, Byoung-Mog;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1호
    • /
    • pp.937-941
    • /
    • 2006
  •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Eight sesquiterpenes were isolated through repeated silica gel and octadecyl silica gel ($C_{18},\;ODS$) column chromatography of the EtOAc and n-BuOH fractions. Physicochemical analysis using NMR, MS and IR revealed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sesquiterpenes, which were zaluzanin (1), 9a-hydroxyguaian-4(15), 10(14), 11 (13)-triene-6, 12-olide(2), $3{\beta}-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4(15), 10(14)-diene-6, 12-olide (3), $3-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uan$-10(14)-ene-6, 12-olide (4), ixerin M (5), glucozaluzanin C (6), crepiside I (7), and ixerin D (8).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ese sesquiterpene lactones have been isolated from this plant. Compounds 1, 2 and 7 revealed relatively high cytotoxicities on human colon carcinoma cell and lung adeno-carcinoma cell, while compounds 5 and 7 showe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inhibitory activity.

Triterpeno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As Human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hibitors

  • Kim, Dong-Hyun;Han, Kyung-Min;Chung, In-Sik;Kim, Dae-Keun;Kim, Sung-Hoon;Kwon, Byoung-Mog;Jeong, Tae-Sook;Park, Mi-Hyun;Ahn, Eun-Mi;Baek, Nam-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550-556
    • /
    • 2005
  •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the EtO Ac fraction, seven triterpenoi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ODS column chromatographies and preparative HPLC. From the result of physico- 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3${\beta}$-hydroxyolean-12-en-28-oic acid (oleanolic acid, 1), 3${\beta}$-hydroxyurs-12-en-28-oic acid (ursolic acid, 2), 3${\beta}$-hydroxyurs-12-en-28-al (ursolic aldehyde, 3), 2${\alpha}$,3${\beta}$-dihydroxyolean-12-en-28-oic acid (maslinic acid, 4), 2${\alpha}$,3${\beta}$-dihydroxyurs-12-en-28-oic acid (corosolic acid, 5), 3${\beta}$,23-dihydroxyurs-12- en-28-oic acid (23-hydroxyursolic acid ,6) and 2${\alpha}$,3${\beta}$,23-trihydroxyolean-12-en-28- oic acid (arjunolic acid, 7). These teriterpenoids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Also, compounds 4, 5, 6, and 7 revealed relatively high hACAT-1 inhibitory activity with the value of 46.2${\pm}$1.1, 46.7${\pm}$0.9, 41.5${\pm}$1.3 and 60.8${\pm}$1.1%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mL, respectively.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XII. 사자발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의 지상부로부터 Triterpenoid의 분리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 XXII. Triterpe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Sajabalssuk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방면호;조진경;송명종;이대영;한민우;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3호
    • /
    • pp.223-227
    • /
    • 2008
  • 사자발쑥의 지상부를 80% MeOH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H-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 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ctadecyl silica gel(ODS),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triterpenoid를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wrightial(1), wrightial acetate(2), 27-norcycloart-20(21)-ene-25-al-3${\beta}$-ol acetate(3) 및 ursolic acid(4)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사자발쑥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었으며 특히, 화합물 3은 천연에서 처음으로 분리 보고 되었다. 또한 이번에 분리한 화합물에 대하여 항고지혈증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1은 ACAT1과 ACAT2 효소에 대한 $IC_{50}$ 값이 33 ${\mu}g/ml$와 45 ${\mu}g/ml$로 나타났고, 화합물 2는 ACAT1 효소에 대하여 $IC_{50}$ 값이 12 ${\mu}g/ml$로 나타났다. 화합물 3은 ACATI 효소에 대하여 $IC_{50}$값이 16 ${\mu}g/ml$으로 나타났다.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Fat Diet)

  • 양은주;조영숙;최명숙;우명남;김명주;손미예;이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1호
    • /
    • pp.14-22
    • /
    • 2009
  •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beta}$-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갈대순분말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대사 및 적혈구 항산화방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Fat Diet Fed Mice)

  • 이진;정주영;조영숙;박석규;김광진;김명주;이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77-683
    • /
    • 2010
  • 본 연구는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내 지질개선 및 항산화 방어계에 미치는 갈대순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마우스(n=24)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갈대순분말 급여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갈대순분말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식이에 1% 수준이 되도록 첨가 조제하여 급여하였다. 갈대순분말군의 체중, 일일 식이섭취량과 에너지섭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갈대순분말 급여 시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19% 감소되었고 중성지질 함량은 36%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이로 축적된 간 조직의 중성지질 함량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심장조직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군이 각각 145%, 112%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갈대순분말 급여로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갈대순분말은 고지방군에 비하여 분변으로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배설을 각각 27%와 28%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갈대순분말은 간 조직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지방산 합성효소 활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간 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도 역시 갈대순급여군이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적혈구 중의 SOD와 CAT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급여 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나 GSH-Px 활성은 고지방식이로 인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갈대순분말 급여는 적혈구의 SOD와 CAT 활성과 지질과산화물 함량을 고지방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이와 같이 갈대순분말은 고지방식 이를 급여한 마우스의 간 조직에서의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고 분변으로의 지질배설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장 지질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적혈구의 항산화 효소활성도와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IX. 흰씀바귀(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뿌리에서 Sesquiterpene Lactone 화합물의 분리 및 구조 동정; ACAT, DGAT 및 FPTase 효소 활성의 저해 (Screening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 from Edible Plant Sources-IX.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esquiterpene Lactons Isolated from the Root of Ixeris dentata forma albiflora; Inhibition Effects on ACAT, DGAT and FPTase Activity)

  • 방면호;장태오;송명종;김동현;권병목;김영국;이현선;정인식;김대근;김성훈;박미현;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51-257
    • /
    • 2004
  •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소재를 찾기 위하여 흰씀바귀 뿌리를 80% MeOH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EtOAc와 n-BuOH 분획에 대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각에 대하여 2D-NMR을 포함한 스펙트럼 데이터의 해석과 문헌 자료를 조사하여 zaluzanin C (1), $9{\alpha}-hydroxyguaian-4(l5),10(14),11(13)-triene-6,12-olide$ (2), $3{\beta}-O-{\beta}-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4(15),\;10(14 )-diene-6,12-olide$ (3), $3-O-{\beta}- D-glucopyranosyl-8{\beta}hydroxyguaian-10(14)-ene-6,12-olide$ (4)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ACAT(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DGAT (diacylglycerol acyltransferase) 및 FPTase(farnesyl-protein transferase)의 활성에 미치는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Compound 1과 Compound 2는 DGAT에 대한 활성억제효과에 있어서 $IC_{50}$ 값이 각각 0.13 mM, 0.10 mM로 나타났고, FPTase에 대하여는 각각 0.15 mM, 0.18 mM로 나타났으며, ACAT에 대하여는 약한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흰씀바귀는 항암 및 항고혈압의 소재 개발에 있어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