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ities of healthy living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8초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 비교 (Comparison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hecking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of single households)

  • 조필규;오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5-340
    • /
    • 2020
  •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라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종사상지위(정규직, 비정규직, 사업자) 및 연령별(20-59세)로 층화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총 566명). 고용형태별로 보면 정규직의 경우 수면시간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반면(p<0.001), 건강검진 및 구강검진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구강상태가 나빴음에도 불구하고(p<0.001),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본 연구는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행태 차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1인가구주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 환경을 만드는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 Noh, Jin-Won;Yun, Hyo-Young;Park, Hyunchun;Yu, Shi-E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5호
    • /
    • pp.231-238
    • /
    • 2015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residing in South Korea. Methods: Questions about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bjective health status, healthy living habit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asked.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ligion (t=2.30, p<0.05), having family members in South Korea (t=2.02, p<0.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4.96, p<0.01). Scores on health-responsible behaviors were higher with higher age (t=2.90, p<0.01) and for subjects without family or friends (t=2.43, p<0.05). Higher physical-activity behaviors were observed in males (t=3.32, p<0.01), in those with better subjective health status (t=3.46, p<0.05) and lower body mas index (t=3.48, p<0.05), and in smokers (t=3.17, p<0.01). Nutritional behaviors were higher in those who followed a religion (t=2.17, p<0.05). Spiritual growth behaviors were higher in those who followed a religion (t=4.21, p<0.001), had no family in South Korea (t=2.04, p<0.05), and had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t=5.74, p<0.01). Scor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tress-management behaviors were higher for those with higher subjective health statu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greater effects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better. Older people and non-smokers exhibited more health-responsible behaviors, while more physical-activity behaviors and spiritual growth activities were observed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bet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haviors had positive effects on those with good subjective heath status and on non-smoke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n alternative was suggested for promoting health in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신발 굽 높이와 근피로가 젊은 여성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hoe Heel Height and Muscle Fatigu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Healthy Young Women)

  • 김유진;구정완;오덕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44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oe heel height and muscle fatigue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young women. Thirty women who were used to wearing high heel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shoe heel heights were 0 cm and 7 cm. And ankle plantar flexor fatigue was experimentally induced. Static and dynamic balance were measured using the one leg standing test (OLST) and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 in anterior,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directions, respectively. Values in the OLST (shoe heel height 0 cm, $28.83{\pm}3.24$ sec to $26.12{\pm}6.13$ sec; and 7 cm, $24.75{\pm}7.09$ sec to $16.86{\pm}9.32$ sec) and the SEBT in anterior (shoe heel height 0 cm, $71.02{\pm}4.57%$ to $69.50{\pm}3.66%$; and 7 cm, $64.17{\pm}3.53%$ to $59.61{\pm}4.06%$) and posteromedial (shoe heel height 0 cm, $92.01{\pm}5.61%$ to $90.38{\pm}7.10%$; and 7 cm, $83.09{\pm}7.29%$ to $76.83{\pm}9.28%$) directions were significantly reduced when fatigue-inducing exercise was performed (p<.05). Furthermore, within these parameter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hoe heel height and fatigue condition (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hoe heel height and muscle fatigue contribute to some changes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young women, probably leading to negative effects on physical function during a variet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고령자용 저상 요양침대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Low-floor Care-bed for Elderly People)

  • 배주환;문인혁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5
    • /
    • 2017
  • 기존의 가정용 요양침대는 매트리스 지지판(mattress support platform) 하부에 설치된 복잡한 기구부로 인해 저상화 실현이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등판과 다리판의 각도를 조절하면서도 저상화가 가능한 요양침대의 구동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등판과 다리판의 메커니즘은 듀얼 모터(dual motor)를 적용하고, 최적화 기법으로 설계변수를 결정하였다. 승강 메커니즘은 풀리(pulley)구조를 적용하여 제한된 구동기의 가동범위를 최대 두 배까지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건강한 5명의 피험자($24.4{\pm}0.5$세)가 방바닥에서 240mm의 저상 프로토타입 요양침대와, 600mm의 일반적인 높이의 침대에 올라갈 때의 그 이동 거리를 측정하여 저상화 침대에 대한 유효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저상 요양침대를 사용할 때의 이동 거리는 기존 높이의 침대에 비해 평균 38% 작았다. 이것은 저상요양침대가 고령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주며, 일반침대보다 일상생활 지원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아쿠아포닉스 생산 관리를 위한 지능형 성장 측정 시스템 (Smart Growth Measurement System for Aquaponics Production Management)

  • 이현섭;김진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7-359
    • /
    • 2022
  •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공기, 토양 및 수질 등 주요 환경오염과 코로나 팬더믹에 의한 생활 패턴의 급진적인 변화로 인해 온라인 유통에 의한 친환경 식재료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사회 구조 변화에 따른 인구 고령화 및 농업 관련 인구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아쿠아포닉스는 노후 경제 활동 자립, 환경 보호, 건강하고 안전한 먹거리 확보 등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에 여러 ICT 기술을 융합하여 최적 생육환경도출 및 정량생산예측을 위한 지능형 아쿠아포닉스 생산관리 모듈 중 지능형 식물 성장 측정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특히 고성능의 처리 자원을 갖지 않는 생산 현장에 적합한 시스템 설계에 주안점을 두고, 생산 환경과 학습 데이터 및 판단 시스템을 위한 모듈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An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Neighborhood Healing Gardens Using Big Data)

  • 황지루이;이애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81-90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

학교급식효과(學校給食效果)와 제도개선(制度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Improvement of School Lunch Programs and Its Health and Education Effect in Korea)

  • 박희용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86-117
    • /
    • 1988
  • The purpose of school lunch service programs (SLPs) is to provide school children with nutritious meals each day, to assist them in improving their mental and physical development, to make them understand the basic knowledge needed for healthy daily living throughout their lives with sound nutritional habits, and further, to enhance the national health status as well as the individual.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and promotional plans in Korea's SLSPs to improve the nation's health statu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progression of the SLSPs can be devided into four major periods: Relief (1953-1972), Self-supportive (1973-1977), System-establishment (1973-1983), System-development(1984- ). 2) As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SLSPs in Korea, many positive effects have been found in school education, notably in the field of physical growth, social development and personality cultivation. 3) This study deals with a more detailed assessment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nutritional habits in the family. Although it is limited and not yet complete, the program implementation ha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in children's food-intake habits, understanding of food, and manners, and increased sanitary consciousness. It has also affected of parent's concerns and attitudes towards the improvement of daily meals as well as national eating patterns, and eventually provided motivation for increased farm production of nutritious food stuffs and reasonable food consumption. 4) The SLSPs does have its stare of problem such as an unsatisfactory budget,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by school personnel and parents.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SLSPs should be carried out effectively for better health, and especially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Finally, the problems and promotive Plans of the SLSPs can be approached by aspects of the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operational systems. These system have to coordinate with relevant authorities to expand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SLSPs. The eventual objective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and means for mobilizing every available element in the effort to attain the goals of educating and training healthy and competent personnel manpower, stabilizing the demand and supply of food and the ensuring adequate coordination of national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 PDF

지역사회주민의 생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관련요인 연구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gional Community and Affecting Health Related Variables)

  • 구현진;남철현;정호윤;하순희;배현숙;정현숙;이화수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14
    • /
    • 2008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basic data for the policy establishment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gional communities. The study subjected total 1,400 residents living in youngnam province in our nation for the survey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survey took about 4 months started from March 1, 2007 to June 30, 2007. The abstract and conclusion of the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in below. 1. In subjective health status, 45.4% responded as normal, and the health status scored $2.68{\pm}0.67$ in 5 point scale(53.6 in 100 point scale). 2.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show the score of $19.57{\pm}3.39$ in 30 point scale(65.2 in 100 point scale). Characteristically, the highest score was found in male in both age groups younger than 19 and in 20s, but lowest score was found in the age group in 40s(p<0.001). In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29.6% responded as satisfactory and 11.9% responded as not satisfactory. 3. In reviewing the life satisfaction by the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65.7% of whom responded as very healthy answered satisfactory in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peoples who do not smoke. However, th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cohol drinker than no alcohol drinker. People who have enough sleep tended to satisfy in their life, an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whom have leisure turned out to show superiorly high satisfaction level. 4. As the variables affecting on the life satisfaction, sex,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health status, stress level, life satisfaction level, healthy life activities and depression level were found, and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was 19.6%. As the above results demonstrate,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regional community was proportional to health status and highly affected by daily health life. So, the more attentions have to be made on health management and the self effort should not be neglected. Especially, since stress, depression level and leisure life did ha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more attentions have to be made on stress solving and on the development of leisure life programs. For the goal, the governments, 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and specialized workforces have to make integrated efforts along with the health improvement project in large perspectives.

  • PDF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자료 활용 (The effect of restrictions on oral health-related activities of adults in Korea on quality of life: Using the 8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정;임차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3-182
    • /
    • 2023
  • 서론: 본 연구 우리나라 성인 청년, 중년, 장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 제한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성인의 구강건강관리의 중요성과 생활습관의 개선으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8기 1차년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였으며, 우리나라 성인 청년 만19~29세, 중년 만30~49세, 장년 만50~6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EQ-5D, HINT-8과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로는 치통 경험 여부, 저작 불편 호소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의 구강 관련 활동 제한에 따른 삶의 질에 대한 차이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분산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청년, 중년, 장년의 구강건강 관련 활동제한에 따른 EQ-5D와 HINT-8 차이는 구강 관련 활동 제한 변수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전체 성인의 EQ-5D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역(읍,면,동),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전체 성인의 HINT-8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가구 월 소득, 교육수준, 기초생활수급 여부, 경제활동 여부, 치통 경험 여부, 씹기 문제, 말하기 문제, 저작 시 불편 호소 여부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 성인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준비된 노년기를 맞이할 수 있도록 하여 노년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구강건강증진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성인구강보건사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염지혜;박준식;김동현
    • 한국노년학
    • /
    • 제32권4호
    • /
    • pp.1101-1118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변수, 신체건강상태, 건강행태와 관련된 요인들 중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에서 수행한 한국 노인의 삶의 질 조사 중 가장 최근 조사인 2009년 제 4차 조사 자료를 횡단면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9년 제 4차 조사시점에서 만 65세 이상의 응답자(N=986, 남성 407명, 여성 579명)만을 선택했으며 교육수준에 대한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제 4차 조사 자료에서 변수들을 추출했다. 분석방법으로는 $x^2$ 혹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들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때 성별차이가 존재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남녀 집단으로 나누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계수 남녀차이의 통계적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해 Wald $x^2$ 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로는 회귀계수의 남녀차이 검증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야기한 변인들은 연령(75-84세), 교육수준,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었으며 특히 교육수준은 여성에게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주관적 경제상태는 남성과 여성 각각의 집단에서는 주관적 건강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그 유의미한 영향이 남녀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건강상태에서는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서 도움이 필요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자신의 건강을 부정적으로 인식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신체건강상태, 건강행태 변인들 중 주관적 건강평가 시 남녀의 차이를 야기하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정책지원이 이루어져 건강을 유지하고 관리하는데 남녀 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자신의 건강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