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ated coagulation time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as Potential Hemostatic Agents on Laboratory Coagulation Tests

  • Sina Ahmadianfar;Nahid Mehrabi;Saeed Mohammadi;Ali Sobhanizadeh;Alireza Moradabadi;Ali Noroozi-Aghide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42-4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horsetail, alfalfa, ortie, chêne and aleppo oak on blood coagulation in vitro. Extraction was performed by the maceration method. Extracts were mixed with platelet and plasma, then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latelet aggregation tests were conducted. Alfalfa extract had a dose-dependent effect on the PT. Ortie, and horsetail, reduced the PT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Alfalfa, horsetail, and ortie reduced the APTT, but their effect wa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pooled extract showed the highest effect compared to the single extracts in a dose-dependent manner. Horsetail and alfalfa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response to arachidonic acid but not in response to collagen. In the case of ortie, no aggregation occurred regarding the arachidonic acid, and incomplete was observed in response to collagen. Interestingly, blood clotting occurred immediately after adding the chêne, aleppo oak and the pooled extract, and therefore platelet poor plasma (PPP) and platelet rich plasma (PRP) became jelly. Generally, chêne and aleppo oak, as well as pooled extract, were more effective in inducing both primary and secondary coagulation pathways via shortening the PT and APTT, and induction of platelet aggregation.

Relationship between sonorheometry parameters and laboratory values in a critical care setting in Ital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Antonio Romanelli;Renato Gammaldi;Alessandro Calicchio;Salvatore Palmese;Antonio Siglioccolo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6권3호
    • /
    • pp.210-216
    • /
    • 2023
  • Purpose: This preliminary retrospective cohor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ameters provided by sonorheometry device Quantra and the coagulation values obtained from standard venous blood samples in patients admitted in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We reviewed medical charts of 13 ICU adult patients in whom at least one coagulation study with Quantra was perfo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ra and laboratory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ho). The 95% confidence interval (CI) was computed. A P-value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 collected 28 data pair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 correlations were found for the following parameters: clot time (C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rho=0.516; 95% CI, 0.123-0.904; P=0.009; clot stiffness (CS) and the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rho=0.418; 95% CI, 0.042-0.787; P=0.039); INR and platelet contribution to CS (rho=0.459; 95% CI, 0.077-0.836; P=0.022); platelet count and platelet contribution to CS (PCS; rho=0.498; 95% CI, 0.166-0.825; P=0.008); and fibrinogen and fibrinogen contribution to CS (FCS; rho=0.620; 95% CI, 0.081-0.881; P=0.001). Conclusions: Quantra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coagulation status, showing modest correlations with the parameters obtained from laboratory tests. During diffuse bleeding, CT and FCS values can guide the proper administration of clotting factors and fibrinogens. However, the correlation of INR with CS and PCS can cause misinterpret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ra parameters and laboratory tests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and the role of sonorheometry in guiding targeted therapies and improving outcomes.

심폐바이패스시 활성응고시간을 이용한 헤파린 고정용량법 (Fixed Dose Regimen of Heparin Administration with Activated Coagulation Time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원곤;박성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67-872
    • /
    • 1998
  • 배경: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개심술시 적절한 항응고요법은 수술 관련 혈액응고장애를 최소화한다 는 점에서 중요하다. 심폐바이패스시 헤파린 및 프로타민 투여량을 결정하는데에는 활성화응고시간을 이 용한 고정용량법이 용량반응 곡선을 이용한 방법과 함께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저자들은 고정용량법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통해 고정용량 투여후 헤파린 및 프로 타민의 추가 투여 빈도, 헤파린 저항및 헤파린 유발성 혈소판감소증 빈도, 심폐바이패스시 활성화응고시 간 변화 양상, 그리고 아프로티닌 사용시 활성화응고시간 변화등을 분석하였다. 심폐바이패스 시작전 헤 파린 300 unit/kg를 투여하고 5분후 그리고 심폐바이패스 시작후 10분, 30분, 60분(이후 30분 간격)의 활성화응고시간을 측정하여 400초 이하인 경우 100 unit/kg 헤파린을 추가 투여하였다. 프로타민 중화는 사용 헤파린 100 unit당 1 mg을 투여한후 30분에 측정한 활성화응고시간이 130초 이상 또는 130초 미만이 라도 명백한 응고장애가 있을 경우 0.5mg/kg 추가 투여하였다. 결과: 서울대병원에서 개심술을 받은 환자중 80명(성인 50명, 소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 술전 활성화응고시간은 성인에서 114.3$\pm$19.3초, 소아에서 119.5$\pm$18.2초로 나이, 체중, 체표면적 및 성 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과거 개심술 병력도 수술전 활성화응고시간에 영향이 없었다. 고정용량법 투여후 헤린 추가 투여가 필요하였던 경우는 성인 환자 10례(20%), 소아 환자 3례(10%)였다. 프로타민 추가투여가 필요하였던 경우는 성인에서 9례(18%), 소아에서 10례(33%)였다. 심폐바이패스 시간 과 프로타민 추가 투여 사이에는 상관관계를 찾을수 없었다. 헤파린저항을 보였던 경우는 성인에서만 2명 (4%)이었고 소아는 없었다. 헤파린 유발성 혈소판감소증은 성인에서 2례(4%), 소아에서 1례(3.3%) 관찰되 었다. 심폐바이패스 운용중 활성화응고시간은 시간경과에 따라 길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성인환자에서 저 용량 아프로티닌이 12례(24%)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들에서는 심폐바이패스중 활성화응고시간(celite를 활 성물질로 사용)이 비사용군에 비해 높았고, 활성 물질로 kaolin을 사용했을 때의 활성화응고시간은 celite ACT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헤파린 및 프로타민 고정 용량 투여법은 큰 문제 없이 운용될 수있으나 추가 용량 투여 빈도의 측면에서는 만족할만한 수준은 되지 못하였다.

  • PDF

정수처리 공정에서 잔류의약물질 제어 효율 평가 (Evaluation on the removal efficienc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in conventional drinking water treatment processes)

  • 서희정;박용훈;강인숙;명화봉;송양석;강영주
    • 분석과학
    • /
    • 제29권3호
    • /
    • pp.126-135
    • /
    • 2016
  • 상수원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잔류의약물질 대상으로 정수처리공정의 단위 공정별 잔류의 약물질 제어 효율을 평가하였다. 응집 공정에서는 Sulfonamide계 항생제는 22.6~42.1 % 제거 되었으며, Naproxen 28.2 %, Acetaminophen 20 %가 제거되었다. Trimethoprim은 4.4 %, Erythromycin은 2.4 %로 낮은 제거율을 보여 주었으며, Aspirin은 전혀 제거되지 않았다. 염소처리와 응집 혼합 공정을 적용하였을 때, 염소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되었다. 염소주입농도 3 mg/L일 때 Sulfonamide계 항생제, Acetaminophen, Naproxen은 100 %, Trimethoprim은약 98%로높은제거효율을나타내었으며 Erythromycin은 약 55 %, Aspirin은 약 10 %로 낮은 제거율을 보여 주었다. 분말활성탄 흡착 공정을 적용하였을 때, 분말활성탄 주입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거율이 증가되었다. Sulfonamide계 항생제의 경우 1 mg/L에서 약 18~50 % 제거율을 보였으며, 25 mg/L에서는 약 80 % 이상으로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잔류의약물질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염소처리와 흡착, 응집 공정의 적정 주입농도를 평가한 결과 염소 3 mg/L, 분말활성탄 10 mg/L, 응집제 15 mg/L을 적용했을 때 약 90 % 이상이 제거되었다.

TPH와 6가 크롬으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를 위한 실내 실험 (Treatability Study on the Remediation Groundwater Contaminated by TPH Cr6+ : Lab-Scale Experiment)

  • 이규범;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3호
    • /
    • pp.332-345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TPH 또는 $Cr^{6+}$이 함유된 오염 지하수의 처리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오일과 물의 분리, 용존 공기 부유 (DAF), 응고 및 침전, 모래와 활성탄으로 각각 여과를 위한 실험실 규모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총 40 분간의 분리 시간 동안 오일과 물의 분리 시험을 2 회 실시한 결과 TPH 제거율은 90.2 %였다. 높은 농도의 TPH 샘플에 대한 DAF 테스트의 경우, TPH 제거율은 미세 기포 크기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낮은 TPH 샘플에 대한 테스트는 미세 기포가 작을수록 TPH 제거율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DAF 테스트를 위해 응집제를 샘플에 첨가했을 때 TPH 제거율은 12.3 % 증가했다. DAF에 의한 SS 제거율은 $16{\sim}40{\mu}m$에서 97.9 %였으며 미세 기포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했다. 지하수에서 $Cr^{6+}$의 제거를 평가하기 위해 응집 및 침전 시험을 수행했다. $FeSO_4$ 투여량을 증가하였을때 응집 및 침전 공정에서 $Cr^{6+}$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필터 매체에서 활성탄의 비율이 높을수록 여과공정에서 TPH 제거율이 증가한다. 여과에 의한 SS 제거율은 DAF 공정 시험 결과와 비슷한 96.7 %였다. 여과 과정은 TPH와 SS 농도가 감소하였다. 모래의 크기가 $425{\sim}850{\mu}m$이고 활성탄과 모래의 비율이 50:50일때 최적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Characterization of Equine Milk and Cheese Making

  • Chang, O.K.;Humbert, G.;Gaillard, J.L.;Lee, B.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8-374
    • /
    • 2006
  • We have studied on characterization and cheese making like mineral contents, protein composition and coagulation pattern on equine milk. At first, for contents of mineral on equine milk, It was lower in equine than bovine milk Contents of Na, Mg, P, Ca and K the major minerals, were indicated as 18.3 mg, 0.4 mg, 33.3 mg, 80.9 mg and 134.9 mg respectively by 100 g. In the distribution of nitrogen, the ratio NPN to Nt was indicated as 9.8% while that of bovine milk was 7%. And In NCN, its percentage was indicated as 45.6% shelving that Equine casein was lower than bovine. From these results, equine milk could not be applicable to cheese production since there are no coagulable nitrogen fraction such as ${\kappa}$-casein, as there aye with bovine milk. Equine milk will be more acceptable if we accept that the phylogenic affinity is near to human. It is the same as equine from the view points that monogastric, which did not contain ruminant's casein. For the rennet coagulation, equine milk was different than bovine milk. Equine milk did not coagulated by rennet after the addition of $Ca^{2+}$. But when bovine ${\kappa}$-casein was added in the presece of rennet, and $Ca^{2+}$ to equine milk, coagulation occurred. Such phenomenon was also observed by the use SEM. Verification of ${\kappa}$-casein by SDS-PACE did not existed in equine milk. The Casein of equine milk(54.4%) is similar to human milk in that casein/whey is about 1. For equine milt this can be explained because distance between casein and Ca is great, casein being lower, which result in reaction of casein with $Ca^{2+}$ because it could not activated which lasting time of coagulation is too long.

식용 및 약용 산채류로부터 트롬빈 저해물질의 탐색 (Inhibitory Activities of Edible and Medicinal Herbs Against Human Thrombin)

  • 권정숙;권윤숙;김영숙;권기석;진익렬;류기철;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09-513
    • /
    • 2004
  • 혈전 관련 질환 예방 및 혈류개선 기능성 식품의 개발을 목표로, 식용 및 약용 산채류 55종의 메탄을 추출물을 조제한 후 트롬빈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는 붉나무, 사삼, 우산나물, 쥐다래, 참나물, 할미밀망, 큰까치수영, 첫버들 추출물 등 8종을 선별하였으며, aPTT, 혈전 용해활성, 열 안정성, 기타 소화효소 저해활성 등을 평가하며 참나물, 큰까치수영 및 갯버들 추출물을 최종 선별하였다. 참나물의 경우 열안정성이 낮은 반면 소화효소 비저해로 인해 그 이용성이 높으며, 큰 까치수영 및 갯버들의 경우 부분적인 소화효소 저해능이 있으나 우수한 항혈전활성 및 열 안정성을 나타내어 다양한 식품소재로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Effects of Tetrandrine and Fangchinoline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Thromboxane B$_2$ Formation and Blood coagulation.

  • Zhang, Yong-He;Kim, Hack-Seang;Yun, Yeo-Pyo;Lee, Hyung-Kyu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77-177
    • /
    • 1998
  • In the previous report, tetrandrine (TET) and fangchinoline (FAN) showed antithrombotic and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trandrine and fangchinoline on human platelet aggregation, formation of thromboxane B$_2$ and coagulation of platelet poor plasma. TET and FAN inhibited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induc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but didn't inhibit the specific binding of PAF to its receptor. Meanwhile, TET and FAN also inhibited PAF, thrombin and arachidonic acid induced thromboxane B$_2$ formation in human washed platelets. In addition, neither TET nor FAN showed any anticoagulation activities in the measurement of the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hrombin time (PT) and thrombin time (TT) using human platelet poor plasm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thrombotic effects of TET and FAN in mice may be mainly related to the antiplatelet aggregation activities, and the antiplatelet aggregation effects may be related to the intracellular messenger system such as TXA$_2$ formation etc., but not to the binding of PAF to PAF-receptor on the platelet membrane directly.

  • PDF

35종 해조류 추출물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 안선미;홍용기;권기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640-1647
    • /
    • 2010
  • 혈전성 질환을 예방, 개선할 수 있는 안전한 항혈전제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항혈전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식용 해조류 35종(갈조류 17종, 홍조류 11종 및 녹조류 7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thrombin time (TT),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였다. 트롬빈 저해(TT)의 경우 35종 중에서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야마다모자반에서 강력한 활성을, 프로트롬빈 저해(PT)의 경우 트롬빈 저해활성이 나타난 7종 중 야마다모자반을 제외한 6종에서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혈액응고인자 저해(aPTT)에서는 감태, 곰피, 대황, 넓패, 패, 알송이모자반 및 톳에서 강력한 활성이 나타났다. 선별된 8종의 시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농도에서 항혈전 활성을 평가한 결과 알송이모자반에서 가장 강력한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곰피, 대황 및 넓패가 효과적이었다. 항혈전 활성과 해조류 추출물의 총 flavonoid, 총 polyphenol, 총당 및 환원당 함량과의 상관 관계를 검토한 결과, 활성물질은 flavonoid성 물질로 추측되었으며, 선별된 8종은 총 flavonoid 함량 및 총 polyphenol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경제적이면서 대량공급이 가능한 식용 해조류로부터 신규의 안전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야마다모자반과 톳은 트롬빈 또는 혈장내 응고 인자에 대한 특이 저해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Antitcoagulant and antiplatelet activities of scolymoside

  • Yoon, Eun-Kyung;Ku, Sae-Kwang;Lee, Wonhwa;Kwak, Soyoung;Kang, Hyejin;Jung, Byeongjin;Bae, Jong-Sup
    • BMB Reports
    • /
    • 제48권10호
    • /
    • pp.577-582
    • /
    • 2015
  • Cyclopia subternata is a medicinal plant common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relieve pain. Here, the anticoagulant effects of scolymoside, an active compound in C. subternata, were examined by monitoring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prothrombin time (PT), and the activities of thrombin and activated factor X (FXa). The effects of scolymoside o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 type 1 (PAI-1) and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t-PA) expression were evaluated in tumor necrosis factor (TNF)-α-activated human endothelial cells. Treatment with scolymoside resulted in prolonged aPTT and PT and the inhibition of thrombin and FXa activities and production. In addition, scolymoside inhibited thrombin-catalyzed fibrin polymeriz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Scolymoside also elicited anticoagulant effects in mice, includ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AI-1 to t-PA ratio. Collective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colymoside possesses anticoagulant activities and could be developed as a novel anticoagul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