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ated calcium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27초

알칼리 자극제를 혼입한 고로슬래그 모르타르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 천정환;김재훈;지남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논문 발표대회 제6권1호
    • /
    • pp.97-100
    • /
    • 2006
  • This paper report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properties of drying shrinkage for alkali-activated slag mortar in different relative humidity Commonly we know that drying shrinkage means lost more moisture but the mechanism of drying shrinkage of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is not entirely due to the quantity of weight loss of water from mortar. pore size distribution and the calcium silicate hydrate gel characteristics have a critical influence on the magnitude of drying shringkage to alkali activated slag mortar. For this investigation, Ca(OH)2, Na2SiO4 were as alkali activator with 5 dosages(6%, 9%, 12%, 15%, 20%) and curing condition were three different relative humidity(35%, 65%, 95%) at $20{\pm}3^{\circ}C$

  • PDF

토끼 단일 심실근 세포에서 cyclic GMP의 $Ca^{2+}$ 전류 조절기전에 관한 연구 (Modulation of Calcium Current by Cyclic GMP in the Single Ventricular Myocytes of the Rabbit)

  • 안재호;서경필;엄융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4호
    • /
    • pp.364-382
    • /
    • 199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racellular cyclic GMP on the calcium channel, whole cell patch clamp technique with internal perfusion method was used in the single ventricular myocytes of the rabbit. Cyclic GMP, cGMP analogues, cAMP, isopernaline and forskolin were perfused into cells and their effects on the calcium current were analysed by applying depolarizing step pulse of 10 mV in amplitude for 200 msec from holding potential of -40 mV. Calcium currents usually activated from -30 mV and then reached a peak at +10 mV. Amplitude of the calcium current was standardized with membrane capacitance, 50 pF. Peak amplitude at +10 mV in control was -0.15 nA/50pF. When 100 mM cAMP was applied from the pipette, peak amplitude of calcium current increased to -0.32 nA and addition of 1 mM isoprenaline further increased its amplitude. In the presence of cGMP it alone also produced an increase of the calcium current to -0.52 nA/50pF and addition of isoprenaline or forskolin increased its magnitude to -[0.55~0.95] nA/50pF. Simultaneous application of cGMP and cAMP increased the calcium current to -0.67 nA/50pF. Among the cGMP analogues, 8-Br-cGMP was the most potent stimulant for the calcium current activ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lat cGMP increases the calcium current not through cAMP dependent protein kinase nor cAMP dependent phosphodiesterase pathway, but through independent phosphorylation pathway, possibly cGMP dependent protein kinase pathway.

  • PDF

Amitriptyline과 Imipramine이 호중구에서의 Superoxide 생성, Myeloperoxidase 유리, Leukotriene $B_4$생성과 칼슘 동원에 나타내는 영향 (Effects of Amitriptyline and Imipramine on Superoxide Generation, Myeloperoxidase Release, Leukotriene $B_4$ in Human Neutrophils)

  • 신용규;이정수;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3-133
    • /
    • 1995
  • 삼환계 항우울제들은 calmodulin 억제 작용을 갖고 있으며, 칼슘 유입, 산화성 인산화 반응 및 ATPase 활성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사람 호중구에서의 기능 표현에 대한 효과는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이 superoxide와 $H_2O_2$ 생성, myeloperoxidase 유리, leukotriene $B_4$ 생성과 세포내 칼슘의 상승에 나타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superoxide와 $H_2O_2$ 생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EDTA, EGTA, verapamil과 bepredil은 superoxide 생성을 억제하였다. 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staurosporine 및 H-7 또한 superoxide 생성을 억제하였다. PMA에 의한 superoxide 생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 chlorpromazine과 H-7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Amitriptyline, imipramine, chlorpromazine과 trifluoperazine은 변성된 IgG에 의한 myeloperoxidase 유리를 억제하였다.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LTB_4$와 5-HETE 형성은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변성된 IgG에 의한 세포내 칼슘의 증가는 amitriptyline, imipramine, doxepine, chlorpromazine과 EGTA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verapamil은 세포내 칼슘의 증가를 약간 억제하였으나 H-7은 세포내 칼슘의 증가에 영향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변성된 IgG에 의하여 활성화된 호중구에서의 respiratory burst, myeloperoxidase 유리와 LTB, 생성에 대한 amitriptyline, imipramine과 doxepine의 억제효과는 칼슘동원, calmodulin과 protein kinase C의 억제에 기인할 것으로 추정된다.

  • PDF

Two Types of Voltage-activated Calcium Currents in Goldfish Horizontal Cells

  • Paik, Sun-Sook;Bai, Sun-Ho;Jung, Chang-Sub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9권5호
    • /
    • pp.269-273
    • /
    • 2005
  • In horizontal cells (HCs) that were freshly dissociated from goldfish retina, two types of voltagedependent calcium currents ($I_{Ca}$) were recorded using a patch-clamping configuration: a transient type current and a sustained type current. The cell was held at -40 mV, and the prepulse step of -90 mV was applied before command pulse between -65 and +55 mV. The transient $Ca^{2+}$ current was activated by depolarization to around -50 mV from a prepulse voltage of -90 mV lasting at least 400 ms and reached a maximal value near -25 mV. On the other hand, the sustained $Ca^{2+}$ current was induced by pre-inactivation for less than 10 ms duration. Its activation started near -10 mV and peaked at +20 mV. $Co^{2+}$ (2 mM) suppressed both of these two components, but nifedipine ($20{\mu}M$), L-type $Ca^{2+}$ channel antagonist, blocked only the sustained current. Based on the activation voltage and the pharmacolog$I_{Ca}$l specificity, the sustained current appears to be similar to L-type $I_{Ca}$ and the transient type to T-type $I_{Ca}$. This study is the first to confirm that transient type $I_{Ca}$ together with the sustained one is present in HCs dissociated from goldfish retina.

흰쥐 장관에 있어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에 대한 Cyclobuxine E의 영향 (Effects of Cyclobuxine E on Two Distinct Types of Potassium-Activated Calcium Channels in an Intestinal Smooth Muscle)

  • 이종화;권준택;조병헌;최규홍;김유재;김종배;김천숙;차영덕;김영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3-58
    • /
    • 1989
  • 본 연구실에는 최근 수년동안 말라리아, 성병등에 민간약으로 사용되어 온 회양목(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으로 부터 다수의 물질을 분리하여 그 약리작용을 경색하여왔다. Coumarin의 유도체인 buxuletin은 이뇨 작용이 있음이 인정되었으며, steroid 성 alkaloid인 Cyclobuxine $D(C_{25}H_{42}ON_2)$는 항염증작용, 흰쥐에서 심박동수 감소작용 및 적출 평활근 이완 작용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회양목에서 Cyclobuxine D의 유도체인 Cyclobuxine $E(C_{24}H_{38}ON_2)$를 분리하여 그 구조를 이화학적인 방법으로 규명하였으며 흰쥐의 십이지장 평활근에서 acetylcholine에 의해 유도되는 수축 작용에 대한 영향과 높은 칼륨 이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에 대한 Cyclobuxine E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Cyclobuxine E는 적출 십이지장 평활근에서 acetylcholine의 수축작용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Calcium-depleted potassium-depolarizing 용액에 담근 후 $CaCl_2$를 가함으로써 나타나는 이중적인 수축작용을 용량적으로 차단하였다. 이상의 십이지장 평활근에 대한 Cyclobuxine E의 작용은 Cyclobuxine E가 칼륨에 의해 활성화되는 칼슘 채널 (아마, voltage-dependent calcium channel)을 통한 칼슘의 세포막 통과를 차단하므로 인해 나타남을 시사한다.

  • PDF

알칼리 활성반응을 이용한 플라이 애쉬/슬래그 시멘트 개발(2) - 반응생성물과 미세구조 - (Development of Fly Ash/slag Cement Using Alkali-activated Reaction(2) - Reaction products and microstructure -)

  • 박상숙;강화영;한관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810-819
    • /
    • 2007
  • 물유리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라이 애쉬/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FSC)의 반응생성물과 미세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XRD, FTIR, $^{29}Si$ and $^{27}Al$ NMR, TGA and SEM 분석을 수행하였다. 무정형 상태 또는 저급 결정구조를 가진 calcium silicate hydrate와 aluminosilicate 겔이 각각 고로슬래그와 플라이 애쉬의 알칼리 활성반응에 의해 생성되었다. 실험결과, 물유리 모듈 1.0과 1.2가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반응을 위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유리 모듈 1.0과 1.2로 알칼리 활성화된 FSC 페이스트는 플라이 애쉬와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반응에 의해 생성된 겔 형태의 반응생성물과 물유리에 의한 또 다른 수화물(즉 실리카겔)에 의해 좀 더 단단하고 연속적이 모체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돼지 난모세포의 단위발생에 있어서 성숙시간과 활성화 처리가 활성화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uration Duration and Activation Treatments on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 김현종;최선호;한만희;손동수;류일선;김인철;이장희;김일화;임경순;조상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5-33
    • /
    • 2005
  • 본 연구는 가축유전자원의 효율적 보존방법의 개발을 위해 수행되는 체외 정자 세포 생산 연구의 일부로, 생산된 정자 세포의 발생능을 검사하기 위한 체외배양 시스템을 확립 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성숙 배양시간을 48시간으로 하여 $7\%$ ethanol로 활성화처리한 후 TCM199에 $10\%$의 소 태아 혈청으로 배양하였을 때 배반포까지 발달하지 못하였으나, NCSU23에 $0.4\%$ 소 혈청 알부민으로 배양하였을 때 $3\%$의 활성화된 난모세포가 배반포기까지 발달하였다. 성숙시간을 연장하여 48, 52, 56, 60, 64, 68, 그리고 72시간까지 성숙배양을 실시한 후 $7\%$ 에탄올로 활성화 처리하여 $NCSU23+0.4\%$ BSA로 배양하였을 때 56시간부터 68시간까지 배발달율이 증가하였으나 72시간 성숙배양할 때 배발달율이 다시 저하하여 활성화와 세포질 퇴행간의 윈도우가 56시간부터 68시간 사이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기자극의 강도를 1, 1.2, 1.4, 1.6, 1.8 그리고 2.0kV/cm로 난모세포를 활성화 처리하였을때 1회 통전으로는 적절한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1.6kV/cm, $80{\mu}s$, 2회 통전이 본 실험조건에서 가장 높은 배발달율을 보였다. 난모세포를 인위적으로 활성화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7\%$ 에탄올법, 전기자극법, 그리고 calcium ionophore법을 직접적으로 비교하였을 때 $7\%$ 에탄올법이 $15.7\%$, 전기 자극법이 $9.5\%$, calcium ionophore법이 $5.8\%$의 배반포 발달율을 보여, 본 실험조건에서는 $7\%$ 에탄올법이 배 발달을 활성화시키는데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식세포의 화학주성과 세포내 칼슘과 Actin의 증가에 미치는 인삼사포닌 성분의 영향 (Potential Effects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on Macrophage Chemotaxis and Intracellular Calcium and Actin Mobilization)

  • 신은경;김세창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9-47
    • /
    • 1998
  • 본 실험은 대식세포 화학주성과 세포내 칼슘과 F-actin 증가에 대한 인삼사포닌 분획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여러 가지 인삼사포닌 분획을 처리한 복강 대식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화학주성이 28.4-71% 증가하였다. 세포내에 유리된 칼슘의 양은 65%까지 증가하였으며, NBD- phallacidin을 처리한 세포에서 F-actin의 양은 10% 증가하였다. 칼슘이나 PMA로 활성화시키고 사포닌 분획을 처리하였을 때, F-actin의 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2분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인삼사포닌 분획이 chemoattractant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of Garlic (Allium sativum L.) Calli Immobilized in Calcium Alginate Gel

  • Kim, Min-A;Park, Joong-Ko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4호
    • /
    • pp.206-211
    • /
    • 2002
  • Calli obtained from a shoot-tip of garlic, Allium sntivum L., were encapsulated using a calcium alginate gel. Some of the encapsulated calli were cultured on a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3% sucrose, 10$\^$-5/ kinetin, and 5 ${\times}$ 10$\^$-6/ M NAA whereas the remainder was stored for 40 days at 4$^{\circ}C$. All the naked calli regenerated on the solid medium, while 95% of the encapsulated calli regenerated, and 88% of the encapsulated calli regenerated after 40 days of storage at 4$^{\circ}C$. The capsule matrix delayed the germination time of the encapsulated calli, yet activated the shoot formation of the artificial garlic seeds. The shoot length of the encapsulated garlic calli was much longer than that of the naked garlic calli. The encapsulated garlic calli were dried in a laminar airflow cabinet and the conversion frequency of the dried artificial garlic seeds on a 1/2 MS medium remained at 93% with a water Loss of Less than 50%.

A Brief Introduction to the Transduction of Neural Activity into Fos Signal

  • Chung, Leeyup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2호
    • /
    • pp.61-67
    • /
    • 2015
  • The immediate early gene c-fos has long been known as a molecular marker of neural activity. The neuron's activity is transformed into intracellular calcium influx through NMDA receptors and L-type voltage sensitive calcium channels. For the transcription of c-fos, neural activity should be strong enough to activat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pathway which shows low calcium sensitivity. Upon translation, the auto-inhibition by Fos protein regulates basal Fos expression. The pattern of external stimuli and the valence of the stimulus to the animal change Fos signal, thus the signal reflects learning and memory aspects.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multiple components regulating Fos signaling is necessary for the optimal generation and interpretation of Fos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