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leaching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폐기물 용출시험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aching Test in Industrial Waste)

  • 어수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2-79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many problems of leaching test of industrial waste sludge analysis. We analyze sludges by variation of leachant, pH and leaching time.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leaching at pH 5.8 by our leaching test without control of pH during leaching, the leaching rates were very low as below 1%. 2. As leaching at pH 5.8 continuously by hydrochlor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before 1. 3. As leaching at pH 5.0 continuously by acet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1, 2. 4. The variations of leaching rate by leaching time were smaller increase after 10 hours than before. 5. It will be recommendable that the pH of leachant maintain constantly during leaching as level of acid rain, and the acet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hydrochloric acid as leachant.

  • PDF

NdFeB계 영구자서 산화배소 스크랩의 초산침출에 의한 네오디뮴 회수 (Recovery of Neodymium from NdFeB Oxidation-Roasted Scrap by Acetic Acid Leaching)

  • 윤호성;김철주;김준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6호
    • /
    • pp.43-48
    • /
    • 2004
  • 본 연구는 NdFeB 영구자석 폐 스크랩 분말을 600$^{\circ}C$에서 산화배소한 후, 초산을 사용한 약산침출을 수행하여 네오디뮴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자 하였다. 산화배소된 스크랩 분말의 초산침출 결과, 네오디뮴의 침출율 90% 이상을 얻기 위한 조건은 반응온도 80$^{\circ}C$, 반응시간 3시간 그리고 광액농도 35%이었다. 초산 침출용액으로부터 분별결정화에 의한 네오디뮴아세테이트 회수 시, 증발후 여액의 네오디뮴 조성은 243 g/l 네오디뮴아세테이트의 초산에 대한 용해도(260 g/l)에 근접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침출용액으로부터 네오디뮴아세테이트 결정회수를 위한 최적 조건은 온도 100$^{\circ}C$ 이상에서 초기 침출용액 부피에 대하여 약 1/5 정도 농축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이 때 침출용액 대비 약 67.5%의 네오디뮴을 분리하였으며, 농축여액에 잔존하는 나머지 네오디뮴은 옥살산과 반응시켜 전량 회수할 수 있었다.

매립지 환경조건을 고려한 소각재와 도금슬러지의 중금속 용출특성 (Leaching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of Bottom Ash and Plating Sludg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in Landfill)

  • 손희정;김은호;이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2호
    • /
    • pp.121-127
    • /
    • 1998
  •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leaching characteristics with pH controlling agents and Temp. control, and investigate leaching characteristics with pH control from opening a leaching test to an end for reassessing leaching test of heavy metals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in landfill. Because leaching of heavy metals was increased in low pH, pH must control for leaching in existing leaching test. Generally, regulation time(6hr) of leaching was confirmed reasonablely, except for Cu in plating sludge. In pH controlling solution, there was nearly not difference between Acetic acid and HCl and if considering Cu, the former was appropriate. In a part of heavy metal, leaching rate was increased in high Temp., and normal Temp. in existing leaching test would be revaluated.

  • PDF

매실과 알코올의 담금비가 매실 리큐르 숙성중의 품질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atio of Maesil(Prunus mume) and Alcohol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박나영;채명희;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45-649
    • /
    • 2007
  • 매실과 45% 알코올의 담금비 1:1, 1:2, 1:3 (w/v)의 비율로 조절하여 $20^{\circ}C$에서 5개월간 숙성시키면서 매실리큐르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산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pH는 알코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높았다. 색도는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할수록, 숙성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짙은 색도을 나타내었다. 알코올 농도는 매실의 담금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숙성 2개월째는 각각 24.3(1:1), 32.2(1:2), 36.0%(1:3)이었으나 그 후 담금비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숙성 기간 중 환원당과 polyphenol 함량은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숙성 1개월까지 담금액 중에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로 4종류의 당이 존재하였으나, 숙성 2개월 이후 sucrose와 maltose는 각 처리구 공히 검출되지 않았다. 담금액에서 매실 첨가량에 관계없이 citric, malic, succinic, lactic, acet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매실의 담금비가 증가할수록 유기산 전체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담금 비율에 따른 숙성 기간 중 유기산 함량의 변화는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멘트고화에 의한 카드뮴슬러지의 안정성 및 용출실험방법 비교 검토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ching Methods and Stability of Cement Mortar Solidified Cadmium sludge)

  • 주소영;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7권3호
    • /
    • pp.21-30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 solidification of Cd sludge using cement and power plant fly ash as cement admixture, to identify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metal Cd sludge solidified, and to develope proper KLT(Korean Leaching Test) of hazardous waste. KLT was compared with EPT(Extraction Procedure Toxicity) and TCLP(Toxicity Characteristics Leaching Procedure). Fly ash contents ranged from 0% to 30% of cement weigh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amount of fly ash replaced was 10% to 15% and KLT was less appropriate than EPA and TCLP. Als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suggest the modification factors on the leaching test currently us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aspects. The effects of pH, leaching time, leaching for agitating intensity, and leaching solvent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test, the leaching potential was relatively high when the pH and agitation intensity of leaching solution were 5 and 150rpm, respectively. Leaching time of six hours was found to be sufficient and the use of acetic acid as a leaching solvent is more useful in landfill site particularly.

간접탄산염화를 위한 전기로제강슬래그 중 Ca, Fe 및 Si 성분의 초산수용액 침출 (Leaching of Ca, Fe and Si in Electric Arc Furnace Steel Slag by Aqueous Acetic acid Solution for Indirect Carbonation)

  • 윤기병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6권1호
    • /
    • pp.37-42
    • /
    • 2017
  •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유효한 방법 중의 하나로 칼슘규산염 광물의 간접탄산염화 공정이 보고되고 있다. 이 공정은 염산, 질산 등의 산에 의하여 칼슘규산염으로부터 칼슘성분을 침출하는 단계와 이산화탄소에 의한 침출용액의 탄산염화 단계의 두 과정으로 구성된다. 침출용매로 초산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출용액을 이산화탄소로 탄산염화 하는 과정에서 초산이 재생성 되어 침출단계로 순환되어 침출용매로 재사용될 수 있다. 제철 및 제강슬래그와 같은 산업부산물은 칼슘규산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간접탄산염화공정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산수용액에 의한 국내 전기로제강슬래그의 침출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산수용액 농도, 침출온도 및 침출시간 등의 침출조건 변화에 따른 침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알코올 농도가 매실 리큐르의 제조 중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 Concentration on Quality Changes of Maesil (Prunus mume) Liqueur during Leaching and Ripening)

  • 이신호;박나영;채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2-556
    • /
    • 2007
  • 매실리큐르 제조시 사용되는 알코올 농도에 따른 숙성 중 매실 리큐르의 품질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산도의 경우, 알코올 농도 30%, 45% 처리구는 숙성 2개월까지는 농도에 관계없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이후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pH와 색상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담금액의 알코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숙성 중 polyphenol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30%와 45% 처리구의 경우 숙성 3개월째 각각 630.6, 686.1 ppm 60% 처리구는 숙성 4개월째 791.1 ppm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담금액중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알코올 농도에 관계없이 sucrose와 maltose에 비해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높았다. 매실 리큐르 숙성 중 총 유기산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농도와 관계없이 citric, lactic, malic, succinic 및 acetic acid순으로 검출되었다. 고 알코올 매실리큐르의 제조용 주정의 농도는 45%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숙성기간은 2개월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납슬러지 고형화 및 용출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olidification and Leachability of Lead Sludge)

  • 연익준;주소영;김광렬
    • 환경위생공학
    • /
    • 제14권3호
    • /
    • pp.22-30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solids solidified with the lead sludge with mixture of cement and fly ashes as additive. And the additives are commercial fly ash and ESP(Electrostatic precipitator) fly ash.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olidified lead sludge solid was increased by adding fly ash up to 46~62%, which was the results of pozzolanic reaction. When replaced the cement with 10%of commercial fly ash, the solid showed the highest value $210{\;}kg/cm^2$, and the solidification conditions were 0.55 of the water/cement ratio and curing for 14 days. Also, the results of leaching test by EPT(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Toxicity Test) were showed that the solidified lead has leached out under 10%, which was less than 0.173 mg/L of EPA standard. As leaching solutions, the demineralized water, 0.1N acetic acid solution, and synthetic brine were used. and the observations by SEM of the solidified lead-laden solid after EPT leaching test were indicated the severe erosion on solid surface.

  • PDF

Chemical and Mechanical Sustainability of Silver Tellurite Glass Containing Radioactive Iodine-129

  • Lee, Cheong Won;Kang, Jaehyuk;Kwon, Yong Kon;Um, Wooyong;Heo, Jo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3-330
    • /
    • 2021
  • Silver tellurite glasses with melting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700℃ were developed to immobilize 129I wastes. Long-term dissolution tests in 0.1 M acetic acid and disposability assessment were conducted to evaluate sustainability of the glasses. Leaching rate of Te, Bi and I from the glasses decreased for up to 16 d, then remained stable afterwards. On the contrary, tens to tens of thousands of times more of Ag was leached in comparison to the other elements; additionally, Ag leached continuously for all 128 d of the test owing to the exchange of Ag+ and H+ ions between the glasses and solution. The I leached much lower than those of other elements even though it leached ~10 times more in 0.1 M acetic acid than in deionized water. Some TeO4 units in the glass network were transformed to TeO3 by ion exchange and hydrolysis. These silver tellurite glasses met all waste acceptance criteria for disposal in Korea.

뽕잎의 당침 및 유산발효에 의한 추출물의 기능성 품질 특성 (Function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extracts by sugar-leaching and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류일환;권태오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4-172
    • /
    • 2013
  • 이 연구는 뽕잎을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액과 Lactobacillus plantarum TO- 2100 유산균을 이용한 유산발효 추출액의 기능성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당침 추출액은 12주 동안 추출하였으며, 유산발효 추출액은 8주간 추출하였다. 당침 추출액 및 유산발효 추출액의 수율은 각각 27% 와 166% 였으며, 당 함량은 각각 43 $^{\circ}Brix$와 33 $^{\circ}Brix$였다. pH와 총 산도는 4.6, 0.45% 와 3.6, 1.17%였다. 유산발효 추출액의 유산균 생균수는 $1.2{\times}10^{10}$ $CFU/m{\ell}$으로 당침 추출액의 $2.8{\times}10^2$ $CFU/m{\ell}$ 보다 월등히 많았다. 유산발효 추출액이 amylase, cellulase, pectinase, protease 등 분해효소의 활성을 보인 반면, 당침 추출액은 분해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기산의 경우 m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의 함량은 당침 추출액이 높은 반면, lactic acid 의 함량은 유산발효 추출액이 2.6배 높았다. 당침 추출액의 유리당은 glucose (200.93mg/g), fructose (236.32mg/g), sucrose (18.41mg/g) 등 GI값이 높은 단당으로 구성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에서는 유리당이 검출되지 않았다. 기능성 성분인 polyphenol, anthocyanin 및 당질대사 저해물질인 piperidine alkaloid의 함량 또한 유산발효 추출액이 당침 추출액보다 높았다. 당질대사의 주 효소인 ${\alpha}$-glycosidase의 활성을 당침 추출액이 3.4% 저해한 반면 유산발효 추출액은 16.2%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로부터 전통방식의 당침 추출법에 비해 유산발효 추출법이 뽕잎의 수율 향상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진에 더 효과적이며, 이로 인한 대사기능장애의 예방 및 기능증진에 더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