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bacteria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33초

섬유성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Acetic Acid 생산 (Production of Acetic Acid from Cellulosic Biomass)

  • 우창호;박준호;윤현희
    • KSBB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458-463
    • /
    • 2000
  • Production of acetic acid from cellulosic biomass by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Extractive Fermentation (SSEF) was investigated. The homoacetate organism used in this study was a strain of Clostridium thermoaceticum, ATCC # 49707. A batch operation of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SSF) using ${\alpha}$-cellulose at pH 5.5 and 55$^{\circ}C$ yielded 40% conversion of cellulose to acetic acid, while a fed-batch SSF operation produced a maximum acetic acid concentration of 25 g/L, with 50% overall yield. In-situ extractive fermentation to reduce the end-product inhibition on both bacteria and enzyme was carried out. in a batch SSEF using 200 g/L IRA-400 resin, acetic acid concentration reached to 23.9 g/L and acetic acid yield and productivity were observed to be 48% and 0.20 g/L-hr, respectively.

  • PDF

막걸리 종초 제조에 적합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발효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roducing "Makgeolli Seed-Vinegar")

  • 이혜빈;오현화;정도연;전현일;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16-1224
    • /
    • 2017
  • 자연발효식초로부터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10종의 균주를 분리한 후 에탄올 저항성과 아황산 저항성을 평가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균주를 동정한 다음 명명하였다. 분리 동정된 10종의 균주 중 식품원료 사용 가능 균주인 Acetobacter pasteurianus는 8종으로 확인되었다. A. pasteurianus 8종 중 에탄올 저항성이 우수한 JAC002, JAC005, JAC008의 세 균주를 이용하여 막걸리 종초를 제조하였다. 진탕배양($30^{\circ}C$, 120 rpm) 조건에서 2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막걸리 종초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과 유기산의 변화,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선발 균주 중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는 발효 20일 경과 후 총산도 4.21%, acetic acid 함량 3,791.77 mg%, 에탄올 소모량 2,931.78 mg%로 대조구나 다른 초산균에 비해 에탄올의 acetic acid 전환능이 우수하였다. 식품유해 지표균인 Staphylococcus aureus(KACC1927)와 Escherichia coli(KACC 10115)에 대한 항균 활성은 A. pasteurianus JAC002 균주가 접종된 막걸리 종초의 발효기간이 20일까지 경과했을 때 acetic acid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를 막걸리 종초 제조를 위한 종균으로 사용하였을 때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하여 우점화가 유리하며 에탄올로부터 acetic acid로의 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막걸리 종초를 사용하여 다양한 원료의 식초를 제조한다면 식초의 풍미를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Antibacterial Effect of Eucalyptus Oil, Tea Tree Oil, Grapefruit Seed Extract, Potassium Sorbate, and Lactic Acid for the development of Feminine Cleansers

  • Yuk, Young Sa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2호
    • /
    • pp.82-92
    • /
    • 2021
  • Purpos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microbes in the vagina decrease due to the use of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high recurrence rate of female vaginitis due to this suggests that a new treatment is needed. Methods: In the experiment, we detected that 10% potassium sorbate solution, 1% eucalyptus oil solution, 1% tea tree oil solution, 400 µL/10 mL grapefruit seed extract solution, 100% lactic acid, 10% acetic acid solution, and 10% lactic acid solution were prepared and used. After adjusting the pH to 4, 5, and 6 with lactic acid and acetic acid in the mixed culture medium, each bacterium was inoculated into the medium and incubated for 72 h at 35℃. Incubate and 0 h each. 24 h. 48 h. The number of bacteria was measured after 72 h. Results: In the mixed culture test between lactic acid bacteria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lactic acid bacteria showed good results at pH 5-5.5. Potassium sorbate, which has varying antibacterial activity based on the pH, killed pathogenic bacteria and allowed lactic acid bacteria to survive at pH 5.5. Conclusion: The formulation ratio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 feminine cleanser tha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ntibacterial agents. Fur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the future.

감식초 발효용 초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 박미화;이정옥;이주영;유선주;고유진;김영훈;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51-1257
    • /
    • 2005
  • 정치발효 중인 식초로부터 분리한 4 초산균주는 모두 단간균으로 flagella가 없으며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3$\%$ acetic acid를 함유한 배지에서 매우 잘 자랐으나 4$\%$ acetic acid를 함유한 배지에서는 JS 21 균주를 제외한 3균주만이 생육이 활발하였다. 그리고 2, 4, 6, 8$\%$ 모든 ethanol 농도에서 4균주 모두 생육이 활발하였다. 분리 균주는 tannin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주의 생육 유도기가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tannin 농도 500 ppm 이상 첨가한 구에서는 산 생성능이 저해됨을 관찰하였다. 분리한 초산균의 탄소원 이용능과 생화학적 성질들을 Hergey's manual에 나타난 Acetobacter 속과 Gluconobacter 속 균주의 특성과 비교해 보았을 때 본 연구에서 분리한 균주들이 Acetobacter 속으로 추정된다. 분리한 4균주를 이 용하여 감식초 사입액에서 6일간 정치 배양하였을 때 5.25$\∼$5.68$\%$의 초산 생성능을 보였으며 배양 2$\∼$5일된 종균을 사용할 경우 배양기간이 길었던 노쇠한 균을 사용할수록 접종후 최 대 산도에 도달하기까지의 기간 즉, 유도기가 증가하였다. 배양 2일된 종균은 1일, 배양 3, 4일된 종균은 3일, 배양 5일된 종균은 4일 정치발효 후에 최대 산도에 도달하였으나, 배양 6일된 종균을 사용할 경우 발효 7일 이후에도 산도 증가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보아 종균 배양기간은 2$\∼$3일이 가장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tannin 내성 초산균을 육종하여 배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감식초의 초산농도를 5$\%$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종균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cetobacter sp. SK-7에 의한 매실식초 발효 (Acetic Acid Fermentation by Acetobacter sp. SK-7 using Maesil Juice)

  • 김미향;최웅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20-425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vinegar using maesil. Acetic acid bacteria was 20 strains isolated from several conventional vinegars. Among the isolates, a strain showed highest acetic acid productivity was selected and identified as Acetobacter sp. SK-7. The optimum medium of acetic acid production by Acetobacter sp. SK-7 was 30% of maesil juice, 4% of ethanol, and 2% of starting acidity and 0.2% of glucose. Optomum condition for the high yield of acetic acid was in the shaking culture at 30$^{\cire}$. The acidity of culture medium was reached to 7.1% after 12 days fermentation. Organic acid was identify 6 kinds containing acetic acid. The total content was 7,068.7 mg% after 12 days and malic acid slowly decreased and acetaic and citirc acid grada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fermentation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toxified Rhus verniciflua vinegar fermented using different acetic acid bacteria)

  • 백성열;김지선;문지영;이충환;박유경;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47-354
    • /
    • 2016
  • 본 연구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 추출물을 첨가한 식초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초산균 종류에 따라 pH와 적정 산도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A. pasteurianus로 발효한 옻식초가 가장 빠른 pH 감소와 산도의 증가를 보였다. A. malorum, Glu. entanii로 발효한 옻식초 순으로 pH와 산도의 변화를 보였으며 초산균 3종 모두 초산 발효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산 수율은 78.6%, 85.3%, 85.9%로 A. malorum, Glu. entanii 초산균이 높게 나타났다.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기산은 oxalic acid, mal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5종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함량은 69.84~73.83 mg/mL로 검출되었다.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2,202.70{\sim}2,322.71{\mu}g/mL$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arginine과 alan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다. 전자코 분석 결과, 초산균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는 뚜렷한 향기패턴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기호도 평가는 초산균 종류에 따른 무독화 옻식초의 색상과 맛은 초산균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A. malorum V5-7로 발효한 옻식초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배를 이용한 식포의 발효조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ural Conditions for Acetic Acid Production Employing Pear Juice)

  • 오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7-380
    • /
    • 1992
  • To produce economically important acid with pear juice, an acetic acid bacterium was selected from many isolated acetic acid bacteria. The alcohoic fermentation was conducted by inoculating pear juice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4124, and then the pear vinegar was prepared by batch cultivation in flaskes with the isolated Acetobacter sp. The optimum conditions for high yield of acetic acid were studied experimentally in the batch shake flask . For seed purposes the Acetobactor sp. was cultivated for 2 -days and transferred to the acid production medium . Optimum alcohol concentration, initial acidity and temperature for the acid production were 8.0% , 2.0% and 28$^{\circ}C$, respectively.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addition of yeast extract (1%) was observed to produce relatively high yield of acetic acid.

  • PDF

발효 중인 양초식초에서 분리한 고산도 초산균의 생육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 Acidity Producing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ustrial Vinegar Fermentation)

  • 박미화;류동규;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4-398
    • /
    • 2002
  • 양조식초발효탱크에서 9% 이상의 고산도 초산 생성균을 분리하여 그 균주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리된 초산균은 AE중층 한천배지에서 연한 베이지색의 colony를 형성하였고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간균, Gram음성의 세균으로 flag-ella가 관찰되지 않아 운동성이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배양액을 검경한 결과 분리균은 단일균 또는 2개가 짝을 지어 있는 쌍구균임을 알 수 있었다. 이 분리균주의 최적 생육온도와 pH는 3$0^{\circ}C$와 2.7이었다. 4~8% 초산을 함유한 AE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pH 2.5의 초산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으나 초산을 첨가하지 않은 AE배지에서는 생육하지 않았다. Glucose를 이용하여 2-, 5-ketogluconate를 형성하였다. Ethanol 존재 하에서는 잘 생육하였으나 lactate 존재 하에서는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cellulose를 생성하지 않았다. HPLC로 분석한 DNA 염기 중의 G와 C 함량(mol%)은 56.2 mol%이었다. 분리된 초산균은 탄소원으로 fructose, maltose, sucrose, mannitol, sorbitol을 첨가한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고 AE액체 배지 에 ethanol을 첨가하였을 경우와 propanol를 첨가한 경우 모두 잘 생육하였다. 생화학적 특성 및 G와 C함량을 다른 표준균주들과 비교한 결과 분리된 균주는 Gluconacetobacter europeus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plication of Molecular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Blueberries and Citrus Fruits

  • Gerard, Liliana Mabel;Davies, Cristina Veronica;Solda, Carina Alejandra;Corrado, Maria Belen;Fernandez, Maria Veronic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93-204
    • /
    • 2020
  • Sixteen acetic acid bacteria (AAB) were isolated from blueberries and citric fruits of the Salto Grande region (Concordia, Entre Rios, Argentina) using enrichment techniques and plate isolation. Enrichment broths containing ethanol and acetic acid enabled maximum AAB recovery, since these components promote their growth. Biochemical tests allowed classification of the bacteria at genus level. PCR-RFLP of the 16S rRNA and PCR-RFLP of the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allowed further classification at the species level; this required treatment of the amplified products of 16S and 16S-23S ITS ribosomal genes with the following restriction enzymes: AluI, RsaI, HaeIII, MspI, TaqI, CfoI, and Tru9I. C7, C8, A80, A160, and A180 isolates were identified as Gluconobacter frateurii; C1, C2, C3, C4, C5, C6, A70, and A210 isolates as Acetobacter pasteurianus; A50 and A140 isolates as Acetobacter tropicalis; and C9 isolate as Acetobacter syzygii. The bacteria identified by 16S rRNA PCR-RFLP were validated by 16S-23S PCR-RFLP; however, the C1 isolate showed different restriction patterns during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Partial sequencing of the 16S gene resolved the discrepancy.

Acetobacter sp.와 그 변이주를 이용한 식초산 발효에 관한 연구 -사과식초의 유기산 조성에 대하여- (Studies on the Induction of Available Mutant of Acetic Acid Bacteria by UV light Irradiation and NTG Treatmeat.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Apple Wine Vinegar-)

  • 김찬조;박윤중;이석건;오만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39-143
    • /
    • 1981
  • 사과 식초 제조 과정 중 유기산의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사과즙을 알콜발효시킨 후 Acetobacter aceti와 이 균에 NTG와 UV의 처리로 하여 얻은 변이주를 접종하여 식초산 발효를 시켰을 때 제조과정별로 유기산의 조성과 함량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사과 원료 중 유기산의 함량은 malic acid 0.73 %, citric acid 0.038%, acetic acid 0.067%이었다. 2. 사과즙을 알콜발효시켰을 때 유기산의 함량은 malic acid 0.114%, lactic acid 0.1%, acetic acid 0.08%이었다. 3. 모균주와 변이주를 이용하여 얻어진 발효식초의 유기산 조성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고 함량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4. 변이주의 초기산 생성능은 모균주에 비하여 약간 빨랐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