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celerated conditions

Search Result 739, Processing Time 0.117 seconds

밀 재배기간 온도상승이 빵용 밀의 생육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Bread Wheat in Response to Elevated Temperature during their Growing Season)

  • 조철오;정한용;김유림;박진희;김경훈;김경민;강천식;고종민;손지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7권4호
    • /
    • pp.234-24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온도상승에 따른 국내산 빵용 밀의 수량과 품질 변화 연구를 위해 TGT을 이용하여 생육기간 중 정상 온도 대비 1-3℃ 증가한 조건에서 수량구성요소와 수량 그리고 밀가루 품질 및 분자생리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밀 생육기 전반에 미치는 온도상승의 영향을 연구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 생육기간 중 평균온도가 1℃ 상승함에 따라 백강과 조경 두 품종 모두 출수기는 3일 정도 단축되었고, 일수립수가 감소하였으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량이 감소하였다. 2. 밀가루 품질 분석 결과 아밀로스와 회분 함량은 백강과 조경 두 품종 모두 온도상승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T0 조건 대비 T3 조건에서 단백질 함량은 증가하였고 총 전분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3. 등숙기 중 글리아딘과 글루테닌 합성 및 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 백강과 조경 두 품종 모두 종자 발달 후기에서 T0 대비 T3 조건에서 발현양이 높았으며, 전분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양은 빠르게 감소하였다. 4. TGT을 이용한 국내산 빵용 밀의 생육기 전반에 미치는 온도상승이 수량과 품질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은 향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전 화강암에 대한 가압 조건하에서의 암석 균열 발생과 성장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Crack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Daejeon Granite under Stress Conditions)

  • 최정해;김혜진;채병곤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87-59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초점 레이저 스캔 현미경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을 활용한 균열의 생성 및 성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가압조건 및 동결/융해를 통하여 풍화를 가속시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가압조건은 시료 3개에 각 가압틀을 이용하여 50 MPa, 55 MPa, 70 MPa로 설정하였으며 조건을 유지한 상태로 동결/융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된 동결/융해 실험에서 온도 조건은 -20~40℃로 설정하고, 설정 온도까지 도달시간 1시간, 유지시간 2시간을 기본으로 6시간을 1주기로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결/융해 매 20주기가 끝난 후 CLSM을 활용하여 시료의 표면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동결/융해 실험이 반복되면서 각 시료에 발생한 균열의 개수가 7개, 10개, 19개로 가해진 압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균열의 누적 길이도 가해진 압력이 큰 시료에서 길게 나타났다. 측정한 균열의 누적 길이와 동결/융해 실험 주기를 통해 계산한 균열의 성장 속도 역시 압력의 세기에 따라 높은 압력을 가한 시료에서 빠르게 나타났다.

당근 검은잎마름병원균 Alternaria dauci의 포자 발아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on Conidial Germination of Alternaria dauci)

  • 박경훈;윤혜정;류경열;윤종철;김세리;김원일;김두호;권영석;차병진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81-385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당근 검은잎마름원균의 포자 발아 및 생존에 영향을 끼치는 온도, 상대습도, pH와 건조시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생포자의 발아는 $15-25^{\circ}C$ 사이에서 95% 이상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촉진되었으나, $5^{\circ}C$에서는 상대습도와 상관없이 발아율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병원균의 분생포자 발아를 촉진하는 최적 환경조건은 습도 95% 이상, 온도 $15-25^{\circ}C$, pH 7.0 및 당근 잎 추출물 0.2%로 확인되었다. 또한 분생포자는 건조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분생포자는 수분 없이 12시간까지 생존 가능하였으며, 수분이 재공급될 경우에는 10% 정도의 발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A. dauci의 포자 발아 및 발생 생태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임계수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당화 특성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Poplar Wood (Populus alba × glandulosa) to Monomeric Sugars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 최준원;임현진;한규성;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44-50
    • /
    • 2006
  • 아임계 및 초임계수 특성에 따른 목질 바이오매스의 당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의 초임계 압력인 23 MPa로 고정하고 아임계 온도($325^{\circ}C$, $350^{\circ}C$)와 초임계 온도($380^{\circ}C$, $400^{\circ}C$, $425^{\circ}C$)에서 현사시나무 목분을 각각 60초 동안 처리하였다. 생성된 현사시 목분의 분해산물에는 액상과 고형분의 분해산물이 섞여 있었다. 각 처리조건에 따른 목분의 분해율은 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초임계 온도인 $425^{\circ}C$에서 최고 83.1%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아임계 및 초임계수 분해에 의해서 생성된 단당류는 액상의 분해산물을 대상으로 고성능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프(HPAE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목질바이오매스의 초임계수 분해과정에서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단당류 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25^{\circ}C$에서 가장 높은 7.3%의 단당류 수율을 나타내었다. 아임계 온도 범위에서는 현사시나무의 섬유소 성분 중에서 자일란이 우선적으로 분해되어 자일로스의 생성비율이 비교적 높았으며, 처리온도가 높아지면서 셀룰로오스의 분해에 의한 글루코오스 생성율이 급격히 상승하였다.

마찰교반용접에 의한 5456-H116 합금의 용접 형상과 기계적 특성 (The Welding Surfac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Friction Stir Welding for 5456-H116 Alloy)

  • 김성종;한민수;장석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3-278
    • /
    • 2012
  • 선박 구조재료 FRP 재료의 대체 재료로 빠른 선속과 선적량 증가는 물론 재활용이 용이한 Al 선박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장실험을 통해 레저선박에 사용되는 5456-H116 합금에 대한 최적의 마찰교반용접 조건에서 프루브 직경의 효과를 기술하였다. 마찰교반용접에서 이송속도, 회전속도를 변수로 5 mm의 프루브 직경을 사용하여, 이송속도가 61 mm/min의 조건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프루브 직경 6 mm, 회전속도 170-210 rpm, 이송속도 15 mm/min 에서는 낮은 회전속도로 인하여 불충분한 용접열이 발생하여 거친 표면과 기공이 형성 되었다. 회전속도 500-800 rpm인 경우, 용접부에 칩이 관찰되었으며, 기공은 생기지 않았고, 용접표면은 우수하였으나 1100-2500 rpm에서는 지나친 용접열의 발생으로 많은 칩이 발생하였다. 열에 의한 영향은 용접 배면에서 관찰되었다. 이송속도가 15 mm/min에서 회전속도의 증가하게 되면 마찰이 증가함에 따라 용접열이 발생한다. 기계적 특성은 용접 입열량이 증가할수록 재질의 연화가 가속화되어 저하하였다.

보리새우의 섭이와 성장 (Studies on Feeding and Growth of the Oriental Brown Shrimp, Penaeus japonicus Bate)

  • 최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1-171
    • /
    • 1970
  •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Bate)의 섭이량, 주간, 야간 섭이율과 일간 섭이율, 이료의 종류에 따른 섭이률의 차이, 보리새우의 성장과 이료의 전환효율등에 관해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리새우의 섭이율은 수온범위 $19\~30^{\circ}C$, 체중범위 $1.6\~14.9g$에서 수온이 높을수록, 또 새우의 크기가 작을수록 커지며, 평균 일간 섭이율은 $18\~44\%$에 달한다. 2. 항상 야간 섭이율이 주간 섭이율보다 크나, 무저질, 암상태 또는 직접광선을 피한 사육상태에서는 주간에도 일간 섭이률의 $22\~37\%$의 섭이를 이룩할 수가 있어, 그만큼 보리새우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가 있었다. 3. 멸치와 바지락의 두가지 이료에서는 주야의 구별없이 멸치를 한층 더 많이 섭취하였으며, 일간 섭이율중에서 멸치 및 바지락육의 섭이율은 각각 $12.9\%$, $10.3\%$이었다. 4. 보리새우의 체중(W;g)과 일간 성장률 ($DGR;\%$) 사이에는 log DGR=0.7035-0.7864 logW의 관계식이 성립되고, 새우의 크기에 비예하여 일간 성장율은 작아진다. 5. 보리새우의 이료의 전환효율은 새우의 크기에 따라 큰 차이가 없이 평균 $2.8\~7.8\%$의 범위로 변동하며, 지금까지 알려진 어류 (문치가재미, 고등어, 방어 등)와 참오징어의 그것에 비교하면 매우 작은 값을 취한다.

  • PDF

토양중(土壤中) Butachlor 와 Nitrofen의 분해(分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Degradation of Butachlor and Nitrofen in Different Soil Conditions)

  • 오병열;정영호;이병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12-119
    • /
    • 1981
  • 토양조건(土壤條件)에 따른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양상(分解樣相)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및 첨가수준(添加水準), 석회시용(石灰施用) 수준(水準)이 상이(相異)한 상태(狀態)에서 토양수분함량(土壤水分含量)의 변화(變化)가 발아전처리형(發芽前處理型) 제초제(除草劑)인 butachlor와nitrofe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하기 위(爲)하여 실내시험(室內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그 결과 토양(土壤)의 살균처리(殺菌處理)는 butachlor와 nitrofen의 분해(分解)가 현저(顯著)히 지연(遲延)되어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는 주(主)로 미생물(微生物)에 의(衣)하여 약기(若杞)되었다으며, 토양(土壤)의 담수처리(湛水處理)는 밭상태(狀態)보다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촉진효과(效果)가 컸으며, 특(特)히 nitrofen의 분해(分解)에 미치는 담수(湛水)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였다. 밭상태()에서의 nitrofen의 반감기()는 butachlor 보다 2배정도() 길었다. 볏짚의 첨가(添加)는 벼그루터기에 비(比)하여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촉진효과(效果)가 높았으며 볏짚의 첨가수준(水準)이 1%(w/w) 이상(以上)일때는 토양중(土壤中) butachlor의 분해(分解)는 지연(遲延)되었으나 nitrofen의 분해(分解)는 촉진(促進)되었다. 석회시용(石灰施用)은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의 분해(分解)를 조장(助長)하였으나 pH와의 직접적(直接的)인 영향(影響)은 없었다.

  • PDF

증편의 저장 중 조직 특성 변화 (Changes in Textural Properties of Jeung-Pyo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and Steamed-Rice Bread) during Storage)

  • 장규섭;이정식;최석현;박영덕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48-156
    • /
    • 1991
  • 본 실험은 생산연도가 다른 통일계 품종의 쌀과 일반미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발효 쌀떡 '증편'의 공업화에 필요한 증편의 저장특성과 저장방법 등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증편의 저장특성은 밀봉한 것과 밀봉하지 않은 것, 그리고 각기 온도조건을 달리하여 저장하면서 조직특성을 UTM(Instron model 1000)으로 측정하였다. 생산연도와 품종에 따른 저장특성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중 증편이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상실할 때에는 hardness가 0.74Kg에서 1.0Kg으로 gumminess가 0.37Kg에서 0.45Kg으로, chewiness가 9.5Kg.mm에서 13Kg.mm로 그 값이 증가하고, adhesiveness는 0.51Kg.mm에서 0.43Kg.mm으로, cohesiveness는 $0.55{\rightarrow}0.44$로 springiness는 38mm에서 35mm로 그 값이 감소하였다. 증편을 제조하여 밀봉하지 않고 상온에서 저장한 경우는 2일이 경과하면서 표면이 경화되어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였고, 밀봉한 증편은 수분의 증발에 의한 표면 경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증편을 포장재로 밀봉하는 것이 저장성 부여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밀봉한 증편을 각기 온도를 달리하여 저장하였을때 $-20^{\circ}C$, $20^{\circ}C$로 저장한 증편이 각각 20일, 5일 동안 저장성이 있었고, $5^{\circ}C$, $35^{\circ}C$로 저장한 증편은 저장 하루만에 제품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여 저장 온도 조건으로서는 부적당하였다. $5^{\circ}C$로 저장한 밀봉한 증편은 저장 하루만에 증편 전체가 굳어져 제품성을 상실하였다.

  • PDF

다양한 승온조건으로 제조된 인공골재의 특성 (Properties of artificial aggregates fabricated with various heating conditions)

  • 김강덕;강승구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301-306
    • /
    • 2010
  • 준설작업 시 발생되는 무기성 폐기물인 준설토를 이용하여 인공골재를 제조하였다. 소성조건에 따른 다양한 비중과 흡수율의 골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투입온도($800{\sim}1000^{\circ}C$), 배출온도($1100{\sim}1200^{\circ}C$) 및 승온속도($5{\sim}10^{\circ}C$/min)를 변화시켜 소성하였으며, 그에 따른 인공골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입온도가 낮을 경우 골재의 비중은 높고 흡수율은 낮은 특성을 나타냈으며, 투입온도가 높아지면 골재 내부에 기공이 다량 형성되고 비중은 낮아지고 흡수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투입온도 증가에 따라 골재 내부의 블랙코어(black core) 현상도 두드러졌다. 한편 배출온도가 높아질수록 골재 내부에 거대기공이 발생하는 발포특성이 향상되기는 하나, 그 효과는 투입온도에 비해 크지 않았다. 승온속도가 $5^{\circ}C$/min에서 $10^{\circ}C$/min로 증가하면, 골재의 비중은 낮아지고, 흡수율이 높아져 골재의 경량화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자체적으로 가스성분과 융제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준설토는 소성조건에 따라 경량부터 중량의 다양한 비중과 흡수율의 인공골재 제조가 가능함을 알았다.

Consequences of Post-grazing Residues Control and Birth Season on the Body Traits,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Offspring's Growth of Suckling Goats and Ewes Reared at Pasture in Guadeloupe (FWI)

  • Ortega-Jimenez, E.;Alexandre, G.;Arquet, R.;Coppry, O.;Mahieu, M.;Xande,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8호
    • /
    • pp.1108-1117
    • /
    • 2003
  • In Guadeloupe small ruminants (SR) are reared for meat production under pasture conditions. Intensive rotational grazing systems (irrigated, fertilised and high stocked) allow reasonable levels of production but generate high post-grazing residues. Experiments were designed to control them. A system in which residuals were mown (RM) was tested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system (Residuals Remained, RR). The same design was carried out for two years with Creole goat (G) and Martinik sheep (S). An accelerated reproductive rate (3 parturitions over 2 years) was carried out. Systems were compared at three parturition seasons per year(dry, intermediate and rainy seasons). Each group was composed of 20 goats ($36.0{\pm}2.5kg$) or 20 ewes ($46.8{\pm}2.4kg$). The female body traits did not vary according to pasture management and seasons. The stocking rate averaged 1,400 kg LW/ha. The mean fertility rate for does varied significantly (p<0.05) within the kidding season, from $80.4{\pm}0.5%$ to $93.7{\pm}2.9%$ while the mean litter size was $2.30{\pm}0.07$ total kids born. No effect of pasture system was observed. Corresponding values for ewes were $83.2{\pm}12.8%$ vs. $75.6{\pm}12.5%$ (p<0.05) and $2.43{\pm}0.24$ vs. $2.03{\pm}0.29$ (p<0.01) total lambs born for SRM and SRR ewes, respectively. A seasonal effect was observed upon ewe performances. The preweaning mortality of kids and lambs averaged 16.3% and 14.4%, respectively. It was 7 and 9 percentage points more (p<0.01) for RR than for RM kids and lambs, respectively. For both species, weaning took place at an average age of $81.4{\pm}3.6days$. In Creole kids, live weight at birth and at weaning were $1.9{\pm}0.2kg$ and $8.9{\pm}0.8kg$, respectively. In the Martinik sheep, the traits averaged $2.9{\pm}0.2kg$ and $18.9{\pm}0.9kg$. For both traits in both species, significant (p<0.05) group${\times}$season interactions were recorded. The consequences of elimination of post-grazing residues varied according to the SR specie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animal physiological status. The forage characteristics were not limiting factors since forage availability in the RM systems (2,300 and 2,600 kg DM/ha, respectively)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at satisfactory levels (CP content averaged 12 and 10%).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new grazing system which would allow the use of post-grazing residues instead of mowing the refus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