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support

검색결과 1,535건 처리시간 0.029초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건강신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 (Health Belief, Social Support,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 정연희;송민선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4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care program to maintain and promote the health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80 Korean students studying at one US state univers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23 to April 23,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2.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n health beliefs was $3.49{\pm}0.39$, and the mean social support score was $2.96{\pm}0.54$. The mean health-promoting behavior score was $2.80{\pm}0.37$. Health-promoting behavi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beliefs and social support. Additionally, perceived health status,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benefits, cues to action, and social support were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Korean students. These five variables explained 47.6% of health-promoting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igher health beliefs and social support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resulted in better health-promoting behaviors. Additionally,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health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could be maintained and promo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and practical programs to secure social support.

고령 임부의 가족지지, 부부관계의 질 및 건강증진행위 (Health Promoting Behavior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of the Mature Gravida after 35)

  • 박영주;;정춘희;윤지원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5-95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family support.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mature gravidas. an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rom November, 1999 to June. 2000. mature gravidas older than 35(N=82)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Korea.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ating method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questionnaires were: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developed by Procidano & Heller (1983). Quality of Marital Index by Norton (1983).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by Walker, Sechrist, & Pender (1987),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the interview guide with open-ended questions related to health concern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Data was analyzed using a pc-SAS program for quantitative data. The levels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were relatively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havio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 themes emerged as primary concerns for the mature gravidas during childbearing: 'Concerns related to the fetal wellbeing', 'Concerns related to fetal education', 'Concerns related to the maternal physical health', 'Concerns related to the maternal emotional health', 'Concerns related to safe delivery' and 'Concerns related to child-rearing'. Nurs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include expanding prenatal assessment inventories to address the concerns and support system of mature gravidas.

  • PDF

학업병행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es in postgraduate courses)

  • 김태은;안정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4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es taking postgraduate cours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1 nurses who were enrolled in graduate school master's or doctoral program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August 31, 2021, using an internet-ba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the participants were 2.47 out of 4, 4.06 out of 5, and 3.47 out of 5,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degree program (F=-2.76, p=.007) and the length of nursing career (F=4.35, p=.015).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45,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43, p<.001).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job stress (β=-.28, p=.003), social support (β=.23, p=.015), and the length of nursing career (β=.19, p=.01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8.0% (F=12.62, p<.001).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rganized efforts are needed to alleviate job stress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for nurses in postgraduate courses in order to ultimately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대학도서관의 수업·학습 활동 지원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s of Academic Library for Supporting Class and Learning Activities in Korea)

  • 이용재;이지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9-37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이용자를 위한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서를 수집하고 발전계획서에 나타난 수업 및 학습 활동 지원 계획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장 많은 도서관들이 '학습자료 확충'을 중시하여 발전계획서에서 추진계획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 확대', '전자자료 확충', '특성화자료 확충' 순으로 실행계획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수업 및 학습활동 지원 강화 방안으로 '수용자 중심의 장서개발 및 학습자료 확충',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장애인 및 외국인 학생을 위한 포용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청소년 한부모의 일과 삶의 실태와 현실 : 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직업교육 경험과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의 효과 (A Study on the Work and Life Conditions of Single, Young Parents :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Public nanny service Support on Full-time Employment)

  • 이윤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3호
    • /
    • pp.89-107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cademic background on full-time employment and on other important issues concerning job security and care faced by single-parent youths. The study alse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related support on full-time employment. The analysis targeted 262 single parents under 24 years of age who were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adulthood was high for those who were employed,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ull-time workers was also significantly high. However, the rate of discontinuities in school was also high among those who were employed, especially those seeking full-time employment, whose desire to stay in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difficulties of single, teenage parents. Second, the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single, teenage parents was 32 percent overall, and the rate of those seeking full-time employment was also relatively high, reaching 44 perc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verify the direct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n full-time employment no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academic background. Therefore, a thorough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a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single parents wishing to gain employment is necessary. Third, the overall rate of those who received a public nanny service was 31 percent, while the rate of full-time workers who experienced this service was significantly higher reaching 59 percent. In th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single parents who received a public nanny service were 3.8 times more likely to get a full-time job than those who did not, and receiving a public nanny service showed a regulatory effect between academic studies and full-time employment. The higher the academic level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ir possibility of full-time employment.

산학협동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포지역 가구 산업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Support Program based upon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Concentrated on furniture industry in Kimpo area-)

  • 김국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67
    • /
    • 2002
  • 급변하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대학은 단순한 지식 전달과 정보 교환의 교육 현장으로뿐 아니라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지역 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산학연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교 내 전문 지식 인적 자원의 사회 활용과 지역 산업 발전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고 현장 중심 교육의 전문 직업인 양성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질적 운영을 통하여 기업 경쟁력과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나아가서는 국가 산업의 국제 경쟁력 향상을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건학 이념과 교육 목표에 부합되고 지역 산업과 연계된 현장 중심 교육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식 산업과 지역 사회 여건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역 산업 연계 디자인 기술지도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김포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가구 산업체를 위한 산학 협동 디자인 지원 프로그램개발을 위하여 산업체의 디자인 지원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하여, 가구디자인 기술 개발과 가구디자인 정보 시스템 구축, 그리고 주문식 교육체제 구축의 3영역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효율적이고 실질적 운영을 통하여 상품개발과 기업 이미지 향상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로 기업 이윤 확대는 물론, 결과물의 피드백으로 현장 수요에 맞는 주문식 교육체계 확립 및 실용 학문의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해본다.

  • PDF

한국연구재단 오픈액세스 정책 실행방안 연구 (A Study on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e NRF Open Access Policy)

  • 정경희;이재윤;정은경;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5-286
    • /
    • 2020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오픈액세스 2021(안)'에 대한 실행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APC 지원규모와 방법 및 절차, 국내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전환 지원,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에 논문을 기탁하는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APC는 합리적인 수준에서 지원되어야 하며 그 상한액을 설정하기 위하여 매년도 이전 3년간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한 논문의 APC 평균값이나 중위값을 적용한다. 또한 APC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오픈액세스전환약정 학술지에 논문을 출판하는 경우 지원하고 하이브리드 학술지나 이중접근 학술지에는 지원하지 않는다. 둘째, 국내 학술지 오픈액세스 출판전환을 위하여 과도기에는 KJCI에 CCL 적용을 등록한 오픈액세스 학술지와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의향서를 제출한 학술지에 대하여 지원사업 신청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하이브리드 학술지와 이중접근 학술지 및 구독학술지에 출판한 경우 원문기탁과 동시에 엠바고 등 저작권 사항을 보고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연구재단이 국내 학술지 출판환경과 국제적인 학술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부합하는 오픈액세스 정책을 신속하면서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실행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사경고 대학생의 학습행동 유형 탐색 (Academic Warning Students' Learning Behavior Type Exploration)

  • 현용찬;홍승희;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819-825
    • /
    • 2020
  • 본 연구는 학사경고 등 학업 저성취 학생의 선제적 지원을 위한 방안으로 심리검사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한 학생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의 이념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대학생 중 2019년 2학기 학사경고자 지원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 43명과 학사경고 경험이 없는 학생 30명 총 73명의 학습성격유형 검사결과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jamovi 1.1.9.0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 결과, 두 부류의 학생은 학습행동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사경고 학생은 반항, 완벽, 잡념, 고군, 만족, 외곬, 유형 중 만족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는 학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이 좋아하는 것과 학과의 불일치, 주변의 지지 부족, 심리적 갈등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학습기술 뿐만 아니리 심리와 정서적인 부분과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행동유형검사를 통하여 학업 저성취 학생을 예측하여 선제적 대응이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사경고로 인해 발생하는 중도탈락자 예방과 상담프로그램 등 학교에서의 적절한 선제적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경남의 평준화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간 학력격차에 대한 인식 및 해소방안 탐색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ome Sol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 오세희;김기민;정성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52-6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cognition and some sol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of four equalization cities' persons concerned in Gyeongsangnam-do. The persons concerned are designated to pupils, parents and teachers of secondary schooling.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two questions were asked: (i) How serious do they recognize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ii) What kind of solutions do they prefer in order to reduce or dissolve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92 persons. They consisted of 2,428 pupils, 1,173 parents and 591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made of the details of the above two questions. Frequencies, percentage, $x^2$ and F test were mainly applied to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alf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academic achievement gap among academic high schools in general. Parents were higher than teachers and teachers were higher than pupils in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is issue. Secondly, they recognized that radical change of current allocation ways, incentives to competent teachers, and financial support, administrative counseling for unpopular high schools etc. were some potent alternatives to this issue.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 및 사회자아의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nd Social self-concept between Multicultural and General children)

  • 오은진;성경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596-8607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을 비교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 4-6학년 다문화아동 285명과 일반아동 223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2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enter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학업자아, 사회자아,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의 평균값이 유의하게 낮았고, 정신건강 수준도 낮았다. 다문화아동의 학업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학습활동(${\beta}$=.298), 사회적 부적응(${\beta}$=-.218), 의사소통(${\beta}$=-.196), 신뢰감(${\beta}$=.167) 순으로 학업자아를 42.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친구지지(${\beta}$=.285), 교우관계(${\beta}$=.187), 사회적 부적응(${\beta}$=-.172), 우울요인(${\beta}$=-.139) 순으로 사회자아를 46.3%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업자아와 사회자아의 영향요인들은 향후 학령기 아동의 자아개념 증진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