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지원(2009).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한부모가족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54.
|
2 |
국가법령정보센터(2018). 한부모가족지원법. www.law.go.kr
|
3 |
김우영 . 권현지(2008). 비정규 일자리 결정의 동태성과 성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분석. 여성연구, 74(1), 5-43.
DOI
|
4 |
김유심(2007).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영적 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5 |
김지연(2013). 청소년 한부모 기본권 보호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한부모 권리보호 개선방안' 대책 토론회, 3-15.
|
6 |
김지연(2014). 청소년 한부모의 생활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2014 NYPI 청소년 정책 리포트, 5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7 |
김지연 . 백혜정(2014). 청소년 한부모의 개인 및 환경 특성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 51-71.
|
8 |
김혜영 . 선보영 . 김은영 . 정재훈(2009). 미혼부모의 사회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9 |
박수미(2002).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 25(1), 113-143.
|
10 |
박현순 . 나동석(2009). 한부모여성과 기혼여성의 취업관련요인 비교 연구:고정된 변수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6(4), 263-290.
DOI
|
11 |
서명선(2002). 도시저소득 모자가정 여성가구주의 취업 영향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
12 |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2019). https://www.idolbom.go.kr/home.go
|
13 |
김영옥(2007). 여성노동시장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여름호, 14-33.
|
14 |
여성가족부(2018a). 청소년 한부모의 당당한 삶을 응원합니다 - 임신, 출산, 자녀양육, 자립 지원강화 - 보도자료.
|
15 |
여성가족부(2018b).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 http://www.mogef.go.kr
|
16 |
여성가족부(2019).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사업 연혁. http://www.mogef.go.kr
|
17 |
이수연(2000). 미국 10대 미혼모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16, 165-192.
|
18 |
여지영(2003). 여성가구주와 남성가구주의 빈곤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
19 |
오영훈(2007). 직업훈련의 소득계층별 효과에 관한 연구 - 취업가능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
20 |
이경란 . 최정숙(2017).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5, 189-236.
|
21 |
이용우 . 양호정(2017). 양육 미혼모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해피맘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115-145.
DOI
|
22 |
이윤정(2017a).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가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
23 |
이윤정(2017b). 청소년 한부모의 입소시설 프로그램 및 한부모가족 정책사업 수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93-112.
DOI
|
24 |
이윤정(2017c).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이 양육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57, 125-157.
|
25 |
이윤정(2017d).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가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 아동 양육비 및 돌봄지원 한부모가족 정책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55(4), 363-383.
|
26 |
이재열(1996). 시장구조와 기업의 조직적 과정에 대한 경제사회학적 연구, 한국사회학, 30(3), 493-518.
|
27 |
이정원(2000).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취업형태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28 |
윤성호(2008). 여성가구주의 노동시장 참여와 지위. 한국가족사회복지학, 22, 67-94.
|
29 |
통계청(2018.10.1). 보도자료 KOSTAT 플러스 2018년 가을호 발간-이용자 친화적 통계분석 간행물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강화-, 한부모가구, 미혼모 . 미혼부 특성.
|
30 |
정민경(2008). 여성가구주의 고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
31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2).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연구 I: 총괄보고서.
|
32 |
Contreras, J. M.(2004). Parenting behaviors among mainland puerto rican adolescent mothers : The role of grandmother and partner involve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4(3), 341-368.
DOI
|
33 |
OECD Family Database(2016a). Chart SF2.3.C. Adolescent fertility rates. http://www.oecd.org/els/soc/SF_2_3_Age_mothers_childbirth.pdf
|
34 |
Dhayanandhan, D., Bohr, Y., & Connolly, J.(2015). Developmental task attainment and child abuse potential in at-risk adolescent mothe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7), 1987-1998.
DOI
|
35 |
Easterbrooks, M. A., Kotake, C., Raskin, M., & Bumgarner, E.(2016). Pattern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 Mothers : Resilience Related to Father Support and Home Visiting Progra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6(1), 61-68.
DOI
|
36 |
European Commission(2007). Study o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mong lone parent households.
|
37 |
OECD Family Database(2016b). Panel A. Poverty rate in households with a single adult and at least one child. http://www.oecd.org/els/soc/CO_2_2_Child_Poverty.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