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26/jkfrma.2019.23.3.005

A Study on the Work and Life Conditions of Single, Young Parents : The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and Public nanny service Support on Full-time Employment  

Lee, Yoon Jung (Dept. of Social Welfare, Hoseo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v.23, no.3, 2019 , pp. 89-1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academic background on full-time employment and on other important issues concerning job security and care faced by single-parent youths. The study alse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related support on full-time employment. The analysis targeted 262 single parents under 24 years of age who were raising their children, an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adulthood was high for those who were employed,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ull-time workers was also significantly high. However, the rate of discontinuities in school was also high among those who were employed, especially those seeking full-time employment, whose desire to stay in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difficulties of single, teenage parents. Second, the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f single, teenage parents was 32 percent overall, and the rate of those seeking full-time employment was also relatively high, reaching 44 percent.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id not verify the direct effect of vocational education experience on full-time employment nor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academic background. Therefore, a thorough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a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single parents wishing to gain employment is necessary. Third, the overall rate of those who received a public nanny service was 31 percent, while the rate of full-time workers who experienced this service was significantly higher reaching 59 percent. In the research model verification, single parents who received a public nanny service were 3.8 times more likely to get a full-time job than those who did not, and receiving a public nanny service showed a regulatory effect between academic studies and full-time employment. The higher the academic level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ir possibility of full-time employment.
Keywords
adolescent single-parent; employment; schoolwork; vocational education; public nanny servi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지원(2009).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한부모가족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54.
2 국가법령정보센터(2018). 한부모가족지원법. www.law.go.kr
3 김우영 . 권현지(2008). 비정규 일자리 결정의 동태성과 성별 비정규직 비중의 격차분석. 여성연구, 74(1), 5-43.   DOI
4 김유심(2007). 빈곤층 여성 한부모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영적 안녕감, 가족자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지연(2013). 청소년 한부모 기본권 보호를 위한 정책과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 한부모 권리보호 개선방안' 대책 토론회, 3-15.
6 김지연(2014). 청소년 한부모의 생활실태 및 자립지원 방안. 2014 NYPI 청소년 정책 리포트, 5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 김지연 . 백혜정(2014). 청소년 한부모의 개인 및 환경 특성이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 51-71.
8 김혜영 . 선보영 . 김은영 . 정재훈(2009). 미혼부모의 사회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9 박수미(2002).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구학, 25(1), 113-143.
10 박현순 . 나동석(2009). 한부모여성과 기혼여성의 취업관련요인 비교 연구:고정된 변수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6(4), 263-290.   DOI
11 서명선(2002). 도시저소득 모자가정 여성가구주의 취업 영향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12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2019). https://www.idolbom.go.kr/home.go
13 김영옥(2007). 여성노동시장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젠더리뷰, 여름호, 14-33.
14 여성가족부(2018a). 청소년 한부모의 당당한 삶을 응원합니다 - 임신, 출산, 자녀양육, 자립 지원강화 - 보도자료.
15 여성가족부(2018b).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 http://www.mogef.go.kr
16 여성가족부(2019).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사업 연혁. http://www.mogef.go.kr
17 이수연(2000). 미국 10대 미혼모의 학교복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연구, 16, 165-192.
18 여지영(2003). 여성가구주와 남성가구주의 빈곤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9 오영훈(2007). 직업훈련의 소득계층별 효과에 관한 연구 - 취업가능성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0 이경란 . 최정숙(2017). 지역사회 거주 청소년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5, 189-236.
21 이용우 . 양호정(2017). 양육 미혼모의 자립지원 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해피맘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1), 115-145.   DOI
22 이윤정(2017a).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가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이윤정(2017b). 청소년 한부모의 입소시설 프로그램 및 한부모가족 정책사업 수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 탐색.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93-112.   DOI
24 이윤정(2017c).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관계망이 양육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가족 정책 지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57, 125-157.
25 이윤정(2017d). 청소년 여성 한부모의 스트레스가 학업지속에 미치는 영향 : 아동 양육비 및 돌봄지원 한부모가족 정책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가정학회지, 55(4), 363-383.
26 이재열(1996). 시장구조와 기업의 조직적 과정에 대한 경제사회학적 연구, 한국사회학, 30(3), 493-518.
27 이정원(2000).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취업형태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8 윤성호(2008). 여성가구주의 노동시장 참여와 지위. 한국가족사회복지학, 22, 67-94.
29 통계청(2018.10.1). 보도자료 KOSTAT 플러스 2018년 가을호 발간-이용자 친화적 통계분석 간행물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강화-, 한부모가구, 미혼모 . 미혼부 특성.
30 정민경(2008). 여성가구주의 고용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2).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연구 I: 총괄보고서.
32 Contreras, J. M.(2004). Parenting behaviors among mainland puerto rican adolescent mothers : The role of grandmother and partner involvement.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4(3), 341-368.   DOI
33 OECD Family Database(2016a). Chart SF2.3.C. Adolescent fertility rates. http://www.oecd.org/els/soc/SF_2_3_Age_mothers_childbirth.pdf
34 Dhayanandhan, D., Bohr, Y., & Connolly, J.(2015). Developmental task attainment and child abuse potential in at-risk adolescent mother.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7), 1987-1998.   DOI
35 Easterbrooks, M. A., Kotake, C., Raskin, M., & Bumgarner, E.(2016). Pattern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 Mothers : Resilience Related to Father Support and Home Visiting Progra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86(1), 61-68.   DOI
36 European Commission(2007). Study o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among lone parent households.
37 OECD Family Database(2016b). Panel A. Poverty rate in households with a single adult and at least one child. http://www.oecd.org/els/soc/CO_2_2_Child_Poverty.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