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 ground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1초

개별 접지전극과 연접된 접지전극의 전위상승 분포 비교 연구 (Research on Comparison of Individual and Connecting Grounding Electrode for Potential Rise Distribution)

  • 길형준;최충석;이복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6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전위상승에 대한 개별 접지전극과 연접된 접지전극의 비교를 다루었으며, 시험전류가 접지전극에 흐를 때 실시간으로 접지방식에 대한 전위상승이 측정 및 분석되었다. 접지시스템의 전위상승을 분석하기 위해 반구형 수조실험장치가 사용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접지방식 및 거리에 따라 전위상승이 측정되었다. 실험장치는 반구형 수조, 전원공급장치, 이송형 전위계측장치, 시험 접지전극으로 구성되었고 전위계측장치의 프로브가 수평방향으로 이송함에 따라 전위상승이 측정되었고, 접지전극으로는 80 : 1 축척의 봉형 접지전극을 사용하였다. 개별 접지전극의 전위상승이 연접된 접지전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전위분포는 접지전극으로부터의 거리에 의존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SF_6$ GIS용 스페이서 표면에서의 파티클에 의한 절연파괴 특성연구 (A Study of Particle-Initiated Breakdown Characteristics on a Spacer Surface for $SF_6$ GIS)

  • 김재호;이용길;김동의;이세훈;김정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36-1539
    • /
    • 1994
  • The influence due to metallic particle contaminated on spacer surface is remarkable in the decreasing of dielectric strength in $SF_6$ GIS. In relation with this problem, We studied, AC flash-over voltage characteristics and breakdown mechanism are investigated under metallic particle initiated condition in $SF_6$ gas by varying the particle position, particle shape with a plane-plane electrode. The main results arc as follows 1. The small amount of the metallic particle in the gap do not make flash-over voltage to be influence, but the significant decrease of th flash-overed voltage is result in case of the big and long size of the metallic paraticle. 2. Influence of the flash-over voltage are lowest in the mid and are highest in the electrode of metallic particle position. 3. In case of the initiated metallie particle, The more the pressure are high, the more the recluced ratio of flash-over voltage are high. 4. The metallic particle shape which results in the reduced flash-over voltage forced the critical pressure to move in to the region of low pressure. 5. The existance of the metallic particle on the upper electrode side and high pressure make the decreasing ratio of flash-over voltage bigger than that of the ground side electrode.

  • PDF

RFLP Analysis of cry1 and cry2 Gen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rom India

  • Patel, Ketan D.;Ingle, Sanjay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729-735
    • /
    • 2012
  • The PCR-RFLP method has been useful for detection of known genes and identification of novel genes. In the present study, degenerate primers were designed from five groups of cry1 genes for PCR-RFLP analysis. Bacillus thuringiensis (Bt) isolates from different regions were evaluated for PCR amplification of various cry1 genes using newly designed primers and cry2 genes using reported primers. PCR analysis showed an abundance of cry1A genes and especially cry1Ac genes in isolates from all regions. RFLP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multiple cry1A genes in isolates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Unique digestion patterns of cry1A genes were observed in isolates from each region. Few of the isolates represented a digestion pattern of cry1A genes that did match to any of the known cry1A genes. RFLP analysis suggested an abundance of cry2Ab along with a novel cry2 gene in Bt isolates from different regions of India. Sequence analysis of the novel cry2 gene revealed 95% sequence identity to cry2Ab and cry2Ah gen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novel cry2 gene could have diverged earlier than the other cry2 genes. Our results encourage finding of more diverse cry2 genes in Bt isolates. Rarefact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ry1A gene diversity in isolates from different soil types. It showed a higher degree of cry1A gene diversity in isolates from central region.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the use of novel degenerate primers for cry1 genes and the PCR-RFLP method using a single enzyme to distinguish multiple cry1A and cry2 genes as well as identify novel genes.

환경개선용 기체전기방전을 이용한 오존발생기술 개발 (Development of Ozone Generation Technology Using Gaseous Electrical Discharge for Environment Improvement)

  • 이동헌;송현직;구건효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5-3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방전관을 채용하여 전기적 기체방전의 중침을 이용한 새로운 방전형식의 환경개선용 오존발생 기술을 개발하였다. 방전관형 오존발생기(DLO)는 설치된 3개의 전극중 접지전극인 중심전극으로 방전관을 사용 하였으며, 나머지 2개의 메쉬형 내부전극과 나선형 외부전극에 180[$^{\circ}$]의 위상차를 가진 2개의 교류고전압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방전관과 내부전극, 방전관과 외부전극사이의 방전공간에서 각각 발생되는 무성방전의 중침에 의하여 오존이 발생되는 구조이다. 이때, 원료가스의 유량, 방전전력 및 DLO의 사용 개수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검토하였으며, DLO로부터 생성된 오존을 대기오염물질인 NO 가스에 접촉시켰을 때 NO 제거특성이 우수하여 방전관형 오존발생기가 대기환경개선 설비로 적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진공 방전관을 이용한 고농도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er Using Vacuum Discharge Tube)

  • 송현직;이창호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0-6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진공방전관을 이용한 고농도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를 설계$\cdot$제작하였다. 3개의 전극(중심전극,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과 1개의 방전간극(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사이의 방전간극)으로 구성된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는 진공방전관내에 장착한 중심전극과 내부전극에 $180{[^\circ]}$의 위상차를 가진 2개의 교류고전압을 인가하고 외부전극을 공통접지함으로써 중심전극과 외부전극사이에서 발생되는 무성방전과 내부전극과 외부전극사이에서 발생되는 무성방전이 방전간극에서 중첩되는 구조이다. 이때 방전관의 진공도, 방전전력 및 산소원료가스 유량 변화에 따른 방전특성과 오존생성특성을 연구검토한 결과 최대 8840[ppm]의 고농도 오존을 얻을 수 있었다.

내부전극 조밀도 변화에 따른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a Superposed Discharge Type Ozonizer with Variation of Mesh in Internal Electrode)

  • 송현직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7-9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고농도$\cdot$고수율 오존발생기를 개발할 목적으로 망사형 내부전극과 무성방전의 중첩을 이용한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를 설계$\cdot$제작하였다.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는 방전공간에 3개의 전극(중심전극, 내부전극 및 외부전극)과 2개의 gap(중심전극과 내부전극 사이의 gap과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사이의 gap)으로 구성되어있다. 중첩방전형 오존발생기의 중심전극을 공통접지하고 내부전극과 외부전극에 $180{[^\circ]}$의 위상차를 가진 역극성의 교류 고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각각의 방전 gap에서 발생하는 무성방전이 중첩되면서 오존이 발생된다. 이때, 내부전극의 조밀도가 증가할수록 방전전극의 면적이 확대되고 방전공간의 전력밀도가 억제되어 오존생성특성이 상승하였다. 그 결과 최대 17,720[ppm], 5.4[g/h] 및 250[g/kwh]의 오존을 얻을 수 있었다.

Molecular biological analysis of Bt-transgenic (Bt-9) rice and its effect on Daphnia magna feeding

  • Oh, Sung-Dug;Yun, Doh-Won;Chang, Ancheol;Lee, Yu-jin;Lim, Myung-Ho
    • 농업과학연구
    • /
    • 제46권1호
    • /
    • pp.113-124
    • /
    • 2019
  • Insect-resistant transgenic (Bt-9) rice was generated by inserting mCry1Ac1, a modified gene from th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into the genome of a conventional variety of rice (Ilmi). With regard to potential problems such as safety, an evaluation of non-target organisms is necessary as an essential element of an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We studied the effects of the Bt-9 rice on the survival of cantor Daphnia magna, a commonly used model organism in ecotoxicological studies. D. magna fed on the Bt-transgenic rice (Bt-9) and its near non-GM counterparts (Ilmi) grown in the same environment (a 100% ground rice suspension). The Bt-9 rice was confirmed to have the inserted T-DNA and protein expression evident by the PCR and ELISA analyses. The feeding study showed a similar cumulative immobility and abnormal response of the Daphnia magna between the Bt-9 rice and Ilmi. Additionally, the 48 h-EC50 values of the Bt-9 and Ilmi rice were 4,400 mg/L (95% confidence limits: 3861.01 - 5015.01 mg/L) and 5,564 mg/L (95% confidence limits: 4780.03 - 6476.93 mg/L), respectively. The rice NOEC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value for D. magna was suggested to be 1,620 mg/L. We conclude that the tested Bt-9 and Ilmi have a similar cumulative immobility for D. magna, a widely used model organism, and the growth of Bt-9 did not affect non-target insects.

GaN/Si 기반 60nm 공정을 이용한 고출력 W대역 전력증폭기 (High Power W-band Power Amplifier using GaN/Si-based 60nm process)

  • 황지혜;김기진;김완식;한재섭;김민기;강봉모;김기철;최증원;박주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7-7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60 nm GaN/Si HEMT 공정을 사용하여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의 설계를 제시하였다. 고주파 설계를 위하여 맞춤형 트랜지스터 모델을 구성하였다. Output stage는 저손실 설계를 위해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였다. 또한 RC 네트워크로 구성된 Bias Feeding Line과 Input bypass 회로의 AC Ground(ACGND) 회로를 각각 적용하여 DC 소스에 연결된 노드의 최소임피던스가 RF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이득과 출력을 고려하여 3단의 구조로 설계되었다. 설계된 전력증폭기의 최종 사이즈는 3900 ㎛ × 2300 ㎛ 이다. 중심 주파수에서 설계된 결과는 12 V의 공급 전압에서 15.9 dB의 소 신호 이득, 29.9 dBm의 포화 출력(Psat), 24.2 %의 PAE를 달성하였다.

해충저항성 Bacillus thuringiensis (Bt) 벼의 환경위해성 평가: 해충저항성 Bt벼가 물벼룩(Daphnia magna)에 미치는 영향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Biosafety for Bacillus thuringiensis (Bt)-transgenic Rice: Responses of Daphnia magna Fed on Bt-transgenic Rice Variety)

  • 오성덕;신혜철;손수인;이기종;김효진;류태훈;이장용;박범석;권순종;서석철;박종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96-302
    • /
    • 2011
  • 해충저항성 Bacillus thuringiensis (Bt) 벼와 낙동벼의 비표적 생물체인 물벼룩(Daphniamagna)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해충저항성 Bt벼의 48시간-$EC_{50}$은 4,429.13 mg/L(95% 신뢰한계는 3908.130~5020.363 mg/L), 무영향 농도(NOEC)는 1,800 mg/L이었고, 낙동벼는 48시간-$EC_{50}$은 2,889.56mg/L (95% 신뢰한계는 1,073.407~6,854.321 mg/L), 무영향농도는 1,000 mg/L이었다. 처리기간 중 해충저항성 Bt벼와 낙동벼간의 급성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발생하지 않았다.

대기압 플라즈마 이중 제트의 플라즈마 전위 (Plasma Potential of Atmospheric Plasma Double Jets)

  • 강한림;김정현;김현철;한상호;조광섭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12-321
    • /
    • 2012
  • 한 쌍의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전극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극성에 따라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칼럼의 전위를 고전압 프로브를 사용하여 계측하였다. 고전압이 인가되는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서 발생되는 플라즈마 칼럼은 고전압 인가측의 전위는 높고 플라즈마 칼럼을 따라서 선형적으로 전위가 감소한다. 이러한 플라즈마 칼럼은 단위 길이당 저항이 수 $M{\Omega}/m$에서 수십 $M{\Omega}/m$의 저항체이다.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전극에 극성이 다른 전압으로 발생되는 플라즈마 전위의 극성은 인가전압의 극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한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 장치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의 대기 중의 병합점에서 상호 인력이 작용하며, 병합점의 전위는 수십 V로 낮다. 동일한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출되는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는 상호 동일한 극성의 전위에 의하여 상호 척력이 작용하며, 병합점에서의 전위는 수백 V로 높다. 이러한 한 쌍의 플라즈마 제트에서 방출되는 플라즈마를 인체에 조사하는 경우는 전기적인 충격이나 열적인 손상은 플라즈마의 전위와 전류의 곱인 플라즈마 전력의 크기에 비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