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use experienc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2초

가족기능이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on the Exposur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ren)

  • 김경신;김정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91-69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The SPSS 10.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data obtained through 1,044 children who live in Gwangju Chonnam a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Wife abuse and child abu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amily cohesion, family flexibility, and family-system types. 2. In family violence non-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36.2%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7.8%. In family violence experience group, 'balanced family' was found in 12.7% of the sample and 'extreme family' in 15.4%. 3.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violence. Family cohesion and family flexibility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ife abuse and child abuse.

  • PDF

The Relationships between Damage Factors of Elder Abuse and Symptom Factors of Mental Health Problems using Multi-Variable Analysis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13-119
    • /
    • 2015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analys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damage types of elder abuse experience and symptom types of mental health. For this study, I sampled 270 of the elders who has been abused and received council services for the a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damage types of elder abuse experiences and symptom types of mental health are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base of the analytical results.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Child Abuse Experience, perception of the Cause of the Child Abuse and Need for counseling among Day Care Center Teachers)

  • 이경숙;박진아;최명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27-252
    • /
    • 2015
  • 본 연구는 전국 보육교사 514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 관련 경험, 아동학대 목격 시 대처방안, 아동학대 발생 원인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상담 관련 요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 중 92명(17.9%)이 어린이집 아동학대를 목격한 경험이 있었으며, 목격 후 대처방안으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학대 받은 영유아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주었다', 원장의 경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은 이유로 동료교사 학대의 경우, '보육은 담당교사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어서', 원장 학대의 경우 '신고 후 부과될 책임이나 역할이 부담스러워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원인은 직무스트레스, 과다한 업무, 보육교사 정신건강 문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 판정 시, 필요한 후속조치로 보육교사의 경우 '교사 자격정지', 영유아 및 부모의 경우 '영유아 대상 심리평가 실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 상담 기관이 신설된다면, 보육교사 중 457명(88.9%)이 사용할 의사가 있으며 본인의 아동학대 신고의사 결정 및 아동학대 예방과 개입에 도움이 될 것이고, 설치 장소로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상담실'을 요구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 중 490명(95.3%)이 보육교사 아동학대 전문상담요원(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이 필요하며, 담당 역할은 '영유아 대상 전문적 심리평가 및 사례판정', 자격요건으로는 대졸이상, 심리학 및 아동학 전공, 3년-5년 경력, 자격증 보유를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예방 및 근절을 위해 필요한 조치로는 '아동학대 관련 교육 및 전문적 상담 실시'을 요구하였다. 본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추후연구를 제안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erbal Abuse Experience, Coping Style and Resilience on Emotional Response and Stress During Clinical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 정윤화;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391-399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시 폭력경험, 대처양식 및 회복탄력성이 정서반응과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261명이 참여하였고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자가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폭력경험은 정서중심대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문제중심대처는 정서중심대처, 회복탄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 중심대처는 정서반응,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은 정서반응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고, 정서반응은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정서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정서중심대처(${\beta}=.422$)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높은 영향요인은 폭력경험(${\beta}=.283$)이였다. 간호대학생의 안전한 실습환경을 위해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과 효율적인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언한다.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Effect of Burnout, Verbal Abuse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Embeddedness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 Nurses)

  • 이승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477-48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소진과 언어폭력경험, 사회적 지지가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497명의 중소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7년 8월 2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지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진, 언어폭력 경험, 사회적 지지, 직위가 확인되었다(Adjusted $R^2=.45$).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소진을 낮출 수 있는 업무환경을 조성하고, 상사와 동료의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해 나감으로써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호관리자는 간호사를 위한 언어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노인요양 시설내 학대경험이 이용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erience of Abus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배진희;정미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91-599
    • /
    • 2017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노인요양시설과 요양시설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 요양시설내 학대 발생 현황과 그로 인해 이용노인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2개 지역에 소재한 44개 요양시설 이용노인 2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대경험과 서비스 품질 인식, 서비스 만족도,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0프로그램과 AMOS 18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양시설 이용 노인의 학대 피해 경험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성학대 피해 경험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학대 피해 경험은 이용노인의 서비스품질에 대한 인식, 서비스 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대를 경험한 노인은 기관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낮게 평가하였고, 삶의 만족도 또한 낮게 나타났다. 학대 경험은 이용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요양시설내 노인 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119 구급대원의 노인학대 인식, 신고 및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Perception, report, and education of elder abuse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Korea)

  • 채명정;윤종근;김보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9-88
    • /
    • 2017
  •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report, and education of elder abuse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in Korea.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10 EMTs in K city, and 100 answers were collected from June 1 to 10, 2015. The study instrument was perception regarding elder abuse and education inventory developed by Kim and Kim.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8.0 version. Results: The elder abuse perception score was 3.81 on a Likert 4-point scale. Physical abuse was the most common type, followed by verbal, financial, negligence, and emotional abuse. Most EMTs recognized that is important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but most of them had no experience in reporting abuse. A majority of the EMTs had attended an elder abuse program and recognized the importsnce of such program.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more targeted education of elder abuse prevention combined with family counseling methods and practical approach toward awareness of elder abuse.

초고령사회 노인학대의 발생원인 및 유형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n Improvement of Elder Abuse through Analysis the Causes and the Type of Elder Abuse the Super-aged Society)

  • 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1호
    • /
    • pp.35-42
    • /
    • 2022
  • 본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 대한 학대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마포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독립변수를 노인학대 발생원인으로, 통제변수를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종속변수를 노인학대 경험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학대 발생원인과 발생원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노인학대 발생원인에서는, 연령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인학대 발생원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고졸미만이 대학원졸업 보다 높은 것을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의 노인학대 발생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의 노인학대 발생원인 가운데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학대 발생경험이 증대하는 결과를 의미한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학대 발생원인과 발생원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노인학대 발생원인에서는, 연령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노인학대 발생원인과 발생경험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들의 노인학대 발생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는 조사대상자의 노인학대 발생원인 가운데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학대 발생경험이 증대하는 결과를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노인학대는 개인적 요인, 가족환경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그에 따른 노인학대 발생이 많아짐으로써 노인학대 유형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학대의 개선을 위해서는 노인학대의 유형에 따른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치유해야 함을 이 연구를 통해 결과로 나타난다.

부부갈등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Child Abuse)

  • 고정자;김갑숙
    • 아동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98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the child abuse,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 abuse, and to screen their causes. For the data set 521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mothers living in pusan were chose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using $X^2$, the one-way ANOVA. the factor analysis, and the path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in most of families there are child abuse. Second, among family environmental variables, the father's dissatisfaction with job, the family's social-economic status, violence observation, violence experience influence the child abuse. Third, marital conflict influences marital violence and child abuse, marital violence influences child abuse.

  • PDF

간호사의 아동학대 인식, 신고 효과성 인식 및 신고 장애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n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rriers to Reporting among Nurses)

  • 홍선영;박미향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6-24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f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rriers to reporting. Method: We surveyed 155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barriers to reporting were measur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In nurses' perception of child abuse, the perception of physical abuse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s - such as neglect, sexual abuse, and emotional abuse. Among nurses,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was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terial status, children, nurse career, education level, religion, experience of education, and perception of mandated reporter.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n child abuse and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s well as between perception on the effectiveness of reporting and perception on barriers to reporting.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guidelines to help nurses to make appropriate decisions for the proper professional intervention when a child abuse case is susp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