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stract interpreta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2초

퍼스와 상징의 문제 (Peirce and the Problem of Symbols)

  • 노양진
    • 철학연구
    • /
    • 제152권
    • /
    • pp.59-79
    • /
    • 2019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퍼스 기호학에서 상징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대안적 논의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퍼스는 기호를 도상과 지표, 상징기호로 구분함으로써 기호 탐구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상징기호에 대한 퍼스의 서술은 불투명한 미완의 탐색으로 남게 되었다. 퍼스는 도상기호나 지표기호와 달리 상징기호에 '해석'의 문제가 개입된다고 보았으며, 이 때문에 상징기호를 상위적이고 완전한 기호라고 보았다. 퍼스적 기호 구도 안에서 이러한 생각은 '해석체' 개념을 통해서 해명될 수밖에 없지만 해석체에 대한 퍼스 자신의 서술 또한 화해 불가능해 보이는 불투명성을 드러낸다. 필자는 체험주의적 시각을 빌려 기호의 문제가 '기호적 경험'의 문제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기호적 사상'이라는 기제를 축으로 기호 문제를 해명하려고 했다. 즉 우리 경험은 물리적 경험과 기호적 경험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기호적 경험은 물리적 경험의 기호적 확장을 통해 확장되며, 동시에 물리적 경험에 의해 강력하게 제약된다. 여기에서 '기호적 사상'은 기호적 경험을 산출하는 핵심적 기제다. 즉 우리는 특정한 기표에 우리 경험내용의 일부를 사상하며, 그 사상된 경험내용의 관점에서 그 기표를 이해하고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해명에 따르면 퍼스가 구분했던 도상이나 지표, 상징기호는 모두 기호적 사상이라는 과정을 통해 구성된다. 도상기호나 지표기호는 한 기표(=표상체)에 물리적 경험내용을 사상함으로써 구성되지만 상징기호가 한 기표에 추상적 경험내용을 사상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추상적 경험내용이 물리적 경험내용을 사상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추상적 경험내용을 사상하는 상징기호는 이차사상 또는 그 이상의 중층적 사상을 통해 구성된다. 이런 의미에서 상징기호는 상위적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기호 탐구에서 퍼스의 실재론적 가정을 벗어나 기호적 경험의 본성에 대한 새로운 해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다.

시적 행위로서의 도덕과 수업 (A study on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act)

  • 송영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31호
    • /
    • pp.87-111
    • /
    • 2011
  • 도덕과 수업의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의미 있는 도덕적 앎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덕적 의미는 인식주체에게서 발생하는 것이며, 의미 발생에서 우연은 배제될 수 없다. 만약 우연을 배제하고 조작적이고 공학적으로 도덕과 수업에 접근한다면, 학습내용이 전달 될 수는 있어도 의미 있게 수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난점으로 인해 도덕과 수업에서는 체제적 접근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요청한다. 그 대안을 찾기 위해서는 체제적 접근에 전제된 설명의 논리부터 재고할 필요가 있다. 도덕과 수업이 체제적이고 조작적인 행위로 이해되는 배경에는 설명의 논리가 있기 때문이다. 설명의 논리는 학생보다 우월한 지능을 가진 교사가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행위로 교육을 이해하며, 이 과정에서 교사의 전달에 대한 학생의 번역은 간과된다. 도덕과 수업에서 도덕에 대한 교사의 번역은 학생의 번역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며, 나아가 새로운 의미로 확장된다. 이처럼 도덕과 수업을 번역과 번역으로 연결된 과정으로 이해할 때, 체제적 접근에서 간과하는 상징으로서의 교수, 공백으로서의 교수텍스트 구성, 우연으로서의 학습이라는 측면은 재조명될 수 있다. 도덕과 수업에서 이러한 측면들을 부각시키면, 도덕과 수업은 일종의 시 행위와 같다. 이러한 이해에 터하여 시 행위와 도덕과 수업의 닮음을 도출할 수 있다. 시 행위와 닮은 도덕과 수업에서 교수텍스트는 불변체적 의미와 더불어 불확정성을 전제하는 변체적 의미를 갖는다. 도덕과 교수텍스트가 갖는 불변체적 의미라는 제약성과 변체적 의미에서 가능한 개방성은 학생의 반응에 의해 도덕적인 수업으로 전환된다. 이 전환은 텍스트와 독자가 심미적으로 상호 교통하는 의식에서 비롯되듯이, 도덕과 학습에서 교수텍스트가 의미 있는 앎으로 수용되기 위해서는 학습목표를 의식하지 않는 학습이 가능해야 한다.

실험 결과 해석 과정에서 사용한 체계적 비유가 고등학생들의 효소 개념 변화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the Systematic Analogies Used at the Interpretation of Experimental Results on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Enzymes)

  • 이원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63-675
    • /
    • 2007
  • 세포 내의 화학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추상적이어서 학생들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포 내 화학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 작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실험 결과 해석 과정에서 체계적 비유를 사용한 수업을 계획하고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 수업이 효소 개념 이해에 미친 효과와 그 과정에서 체계적 비유가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실험반 학생들의 효소 개념 이해 정도가 대조반에 비해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체계적 비유가 효소 개념 이해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효소 작용 개념을 내용별로 세분하여 살펴보면 특히 '온도 pH에 따른 효소 구조 변화와 반응 속도', '효소의 계속적 무작위적 작용'과 같이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평형 범주의 속성을 지닌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 체계적 비유의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 비유는 학생들의 개념 지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비유물의 가시화와 친숙성은 학생들의 효소 작용 개념에 대한 이해가능성을 높였으며, 효소 반응 실험에서 나타난 현상을 과학 개념과 연결짓는데 발판 역할을 함으로써 실험 결과를 과학 개념으로 일관성 있게 설명할 수 있게하여 개념 지위를 그럴듯함으로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에게 친숙한 비유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어려운 과학 개념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의적 측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시적 상징과 도덕과수업 (A study on a the poetic symbol and moral instruction)

  • 송영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415-443
    • /
    • 2012
  • 도덕과수업은 도덕이라는 추상적 대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전하면서, 정서가 담재된 도덕적 의미의 발생을 추구한다. 이 측면에 주목하면, 도덕과수업은 예술적 상징 언어와 닮음이 있으며, 특히 시적 상징과 닮음이 있다. 시는 예술적 상징 언어의 전형적 양식이며, 시에서 추상적 대상의 의미를 수용 가능하게 표현하는 대표적 표현방식이 시적 상징이기 때문이다. 시적 상징은 시적 성찰을 언어로 표현하지만, 동시에 언어의 한계를 넘어선 형이상학적 의미를 전한다. 이를 위해 시적 상징은 불가시적인 형이상학적 원관념을 암시하는 가시적인 구체적 보조관념을 겉으로 드러낸다. 원관념을 은폐하고 보조관념을 드러내는 시적 상징은 동일성, 암시성, 다의성, 입체성, 문맥성, 전체성 등을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시적 상징이 시인의 창조적 상상력과 결합되어 개인적 상징으로 나타나고, 그것이 독자의 상상력과 결합되어 시적 의미로 체험된다. 시적 상징으로서의 도덕과수업은 이러한 시적 체험과 유사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덕과수업은 논리적이고 산문적인 설명보다는 도덕적 의미 발생이 가능한 상징적 형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는 지도요소를 구체화하는 상징적 매개체 찾고, 상징적 매개체의 도덕적 의미를 다양하게 검색하면서, 그 도덕적 의미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도덕과수업이 시적 상징을 닮는다면, 그 수업은 좋은 시에서 시인이 표현한 주제를 독자가 공감적으로 수용하듯이 교사가 표현한 교육내용을 학생은 정서가 수반된 도덕적 의미로 학습할 수 있다.

제품디자인의 조형언어에 대한 연구 -산업디자이너의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Language in Product Design -Focus on the Example of the Study from Industrial Designer-)

  • 정충모;이재용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43-254
    • /
    • 2003
  • 본 연구는 제품조형에 대한 언어적 연구로 디자이너들의 연구사례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제품조형의 언어적 개념을 도구와 사고의 관계에서 언어적 관계성을 통해서 창출하고자 했다. 언어적인 영역과 비 언어적인 영역에서 조형언어의 역할이 어떡해 활동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디자인 프로세스상에 형성되는 조형언어의 역하로 조형해석과 조형개념 창출 즉 아이디어 창출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조형언어가 디자인 사적인 측면에서의 기원과 최초 연구가(EnzoMari)의 연구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디자이너와 디자인 관련 학자들의 조형언어에 대한 관심을 언어적 측면에서의 다양한 요소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류과정을 통해서 제품과 관련된 추상적 이론과 시스템적인 연구보다 구체적인 실무의 사례와 개별화된 제품조형언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가지고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여 상호문화적인 측면에서 개별화된 실제 제품의 조형 언어의 차이와 관심의 차이 그리고 상호공존 할 수 있는 제품조형언어의 개념 창출을 향후 연구과제로 제안한다.

  • PDF

리퀴드 스페이스에 대한 들뢰즈의 타자의 기하학적 해석 - 2000년도 이후 발표된 작품을 중심으로 - (An Interpretation of Deleuze's Other Geometry in Terms of Liquid Space - Focused on Works Published since 2000 -)

  • 김선희;이한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98-105
    • /
    • 2005
  • Through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our physical environment became a flexible and liquid space that is a multi-functional space structure, hetero-alliance, formless, interactivity. We attempt to interpretate Deleuze's Other geometry as a space designer. Hence firs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meaning of the Other and Other geometry. Second, to extract keywords out of the Other geometry to analyze the work. Third, to analyze the work using the space formative languages(blob, blurring, distortion, folding, layering, lightness, nesting, repetition, shear, transparency, twisting, unfolding, warping, waving, and weaving). The 13 works were selected which have been issued after year 2000 with the focus on liquid space studies.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literature research and content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urce is the Other who is a hidden potential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is source has the capability of making it part of reality anytime. Other geometry means it is a theory that is comprised of various lines that with the kind of experiences that one has in life. Second, the key words that were extracted from the theory of Deleuze's Other geometry were of (1)hetero-alliance(reflected in a sculptured shape or a fluid abstract form), (2)dis-form(by speculating the user's movements, and combining space elements with external forces), (3)interactivity (information was exchanged real time between the user and his environment where the space took on a sensory institution). Finally, after studying the works using the space formative languages, we found that blob, warping, waving were used externally, and repetition, warping and waving for mostly used internally.

Frank Lloyd Wright의 건축작품에 나타난 라이트의 공간 해석과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F. L. Wright's Interpretation of the Space and the Method of the Composition in his architectural works)

  • 오장환;이강업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4호
    • /
    • pp.29-47
    • /
    • 199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al methods of architectural composition in F. L. Wright's works, For this purpose, the principal thoughts based on his organic architecture was examined over all other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 L. Wright knew Taoist Philosophy, especially Lao-tzu's thought about space based on traditional oriental arts included traditional japanese arts by his superior intuition. this is similar to Froebel Thought in the principal theory, that is, his own unique field of abstract architectural education with three-dimensional geometry learned through Froebel Gifts. 2. Space is reality ; such Lao-tzu's thought, reversed the sense of values, influenced F. L. Wright's way to accomplish his own continuous space. that is to say, he attempted taking precedence of spatial organization by the unit of three-dimensional module made the substance, Froebel Blocks (3, 4, 5, 6 Gifts) into non-substance, and trying to do the methods of continuous liberal composition in architecture. which is his original accomplishment, namely his mentioned 'democratic' because of judging the space and the mold of architecture as individualities. 3. F. L. Wright treated the space as a positive entity, so that he created his own architecture organically combined with spaces and forms. : This was the result that he comprehended both formative, physical worth in West and spatial, non-physical worth in East as equivalence. It is understood that F. L. Wright's works combined with East and West are the significance of his architecture and the progress of true internationalities and modernization in modern architecture. 4. From the analyses of his works, we knew the fact that F. L. Wright's architecture, especially in the spatial organization were performed by the reasonable methods with geometric system of Froebel Gifts. In the observation of our fundamental way of thinking on his architecture, this study shows the necessity to let us get out of preconceptions and conclusions that the organic architecture is mysterious and difficult, but to systematize and put his organic methods to practical use.

  • PDF

평면도형 영역에서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활용한 학생의 오류에 대한 예비 교사의 지식 분석 (Interpre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y Shulman-Fischbein Framework : For Students' Errors in Plane Figures)

  • 김지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3호
    • /
    • pp.297-314
    • /
    • 2018
  • 본 연구는 교사지식 중에서 예비교사의 학생에 대한 지식을 Shulman-Fischbein 개념틀을 이용하여 해석함으로써 우리의 교사교육의 현실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Shulman-Fischbein 개념틀은 수학의 알고리즘적 SMK, 수학의 형식적 SMK, 수학의 직관적 SMK, 수학의 알고리즘적 PCK, 수학의 형식적 PCK, 그리고 수학의 직관적 PCK의 여섯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일련의 평면도형 영역의 문제를 다루고 학생의 오개념을 포함한 지필과제를 5명의 예비교사에게 제시하고 그들이 제출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상당히 강한 SMK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수학의 형식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 분석 시 학생들의 수준을 깊게 고려하지 않았고, 오개념을 고치기 위한 교수학적 방법을 제안할 때에 구체적이지 못하고 피상적인 답변만을 제시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애니메이션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에서 나타난 초월적 환상 요소 분석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 구조 중심으로- (Analysis of Transcendental Fantasy Elements Appeared in Animation -Based on Gilbert Durand's the Imaginary Structure-)

  • 임운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4-141
    • /
    • 2011
  •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초월적 환상' 요소에 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상상을 통해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에서는 현실과 다른 공간이 등장하는데 이 공간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환상 요소는 왜 이러한 양상을 보이는 가를 질베르 뒤랑은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Les Stru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에서 제시한 상상계의 세 구조인 분열구조, 신비구조, 종합 구조와 상상력의 공간 이미지 특성을 시각성, 깊이, 편재성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이에 애니메이션 <구름의 저편, 약속의 장소>에서는 어떠한 요소를 가지고 나타나는 가를 분석할 것이다. 초월적 환상 요소는 어떠한 이미지를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묘사하면서 추상적인 개념을 부여한다. 그것은 등장인물의 감성을 통해 바라보여질 때 환상 요소가 작동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애니메이션에서 환상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접근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선조 성리학자 윤지(尹指)의 "둔옹연소천지문답(鈍翁演小天地問答)"에 나타난 의학사상 연구 (Yun-Ji(尹指)'s Medical Thought in "Dunongyeonsocheonjimundap(鈍翁演小天地問答)")

  • 조원준;박완식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7-210
    • /
    • 2007
  • Dunong(鈍翁), Yun-Ji had born by a concubine, and his dream didn't come true for the restraint of his social position, so he tried to train younger men. His writings still remain 4 volumes of "Dunongyeonsocheonjimundap" and "Dunongdongmongmundap(鈍翁童蒙問答)", which may be called its primer. "Dunongyeonsocheonjimundap" is written in question-and-answer form between Chal-Hye-Ja(察慧子) who has a meager knowledge and Sim-Gyeong-Ong(心耕翁) who search for the truth. It is progressed from the law of nature to human's cultivation of the mind so as to reconfirm the recognition of the unit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 beings and lead the interpretation and practice of the metaphysical pro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use of metrical compositions to induce plain tone of argument. "Dunongdongmongmundap", whereas, uses archaic writings to describe natural science including astronomy to the beginners. Dunong's scholarship is characterized by these: He explained the metaphysical propositions by approaching usual things including oriental medicine practically; He comprised the Confucian concepts intensively to examine the Oriental studies closely; He groped for the outlooks on the world of taking serious view of human being or human body. And his medical thought is characterized by these: He attached importance to the theory of viscera and bowels based on yin-yang and five phase theory; He suggested the concrete yin-yang theory with a viewpoint of qi-blood theory; He considered the concept of 'six' only as mutual rooting of yin and yang and five visceras and six vowels, and denied the traditional six qi concepts; He explained the ghost theories of the metaphysics based on the yin-yang theory to analogize points of sameness between the oriental medicine and the metaphysics; He emphasized restore yang theory. Therefore, we can say that he regarded the human body as small heaven-earth and grafted the abstract propositions into the actuals so as to put the metaphysical propositions in pract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