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the poetic symbol and moral instruction

시적 상징과 도덕과수업

  • Received : 2012.10.10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e moral instruction expresses and conveys a abstract objects so called moral. And it pursues occurrence of moral meaning contained a emotion. In these respects, there is a resemblance between moral instruction and artistic symbolic language. Meanwhile, the poetry are a typical form of artistic symbolic language, and especially poetic symbolism is a representative and possible way that expresses accepting a meaning of abstract objects. Then a moral instruction needs to be poetic symbolism. The poetic symbolism that a moral instruction intends to resemble is a linguistic expression, but at the same time that is a expression beyond a linguistic limitation for conveying the metaphysical meaning. For this, the poetic symbolism reveals visible and concrete vehicles that imply invisible and metaphysical tenor. At this point, poetic symbolism is characterized with sameness, implicitness, polysemy, context, allness. The poetic symbolism having these characters appears personal symbol of poet as combined with creative imagination, and is experienced poetic meaning as combined with creative imagination of reader.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symbolism offers learning experience similar to poetic experience. The moral instruction as a poetic symbolism would be constructed not a logical or prosaic explain but symbolic form that can draw various moral meaning. For this construction, first, we might find a symbolic media for materialization of teaching contents. Second, moral teaching should be constructed to be searching moral meaning of symbolic media. Third, moral teaching should be constructed to be interpreting moral meaning of symbolic media. When teacher can construct moral instruction as possible as similar to poetic symbolism, student can learn moral meaning combined with emotion through their response and interpretation to the teaching. It is very similar to good poem that is sympathized and accommodated poet's theme by reader.

도덕과수업은 도덕이라는 추상적 대상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전하면서, 정서가 담재된 도덕적 의미의 발생을 추구한다. 이 측면에 주목하면, 도덕과수업은 예술적 상징 언어와 닮음이 있으며, 특히 시적 상징과 닮음이 있다. 시는 예술적 상징 언어의 전형적 양식이며, 시에서 추상적 대상의 의미를 수용 가능하게 표현하는 대표적 표현방식이 시적 상징이기 때문이다. 시적 상징은 시적 성찰을 언어로 표현하지만, 동시에 언어의 한계를 넘어선 형이상학적 의미를 전한다. 이를 위해 시적 상징은 불가시적인 형이상학적 원관념을 암시하는 가시적인 구체적 보조관념을 겉으로 드러낸다. 원관념을 은폐하고 보조관념을 드러내는 시적 상징은 동일성, 암시성, 다의성, 입체성, 문맥성, 전체성 등을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시적 상징이 시인의 창조적 상상력과 결합되어 개인적 상징으로 나타나고, 그것이 독자의 상상력과 결합되어 시적 의미로 체험된다. 시적 상징으로서의 도덕과수업은 이러한 시적 체험과 유사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도덕과수업은 논리적이고 산문적인 설명보다는 도덕적 의미 발생이 가능한 상징적 형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해서는 지도요소를 구체화하는 상징적 매개체 찾고, 상징적 매개체의 도덕적 의미를 다양하게 검색하면서, 그 도덕적 의미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도록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 이렇게 구성된 도덕과수업이 시적 상징을 닮는다면, 그 수업은 좋은 시에서 시인이 표현한 주제를 독자가 공감적으로 수용하듯이 교사가 표현한 교육내용을 학생은 정서가 수반된 도덕적 의미로 학습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