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Multi-cultural Age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33초

자살예방을 위한 주거환경 계획요소 및 실태 분석 - 공공임대주택을 대상으로 (Design El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f Multi-family Housing for Suicide Prevention and Empirical Analysis - Focused on Public Rental Housing)

  • 이승지;이은진;노태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5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design elements that affect suicide, and then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in terms of suicide preven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affect suicide suggested in a total of 18 papers, 15 variables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into major categories such as housing type,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leisure and cultural facilities, and living environment. Next, we selected a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with a relatively high suicide rate among multi-family housing as the case, and conducted a empirical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and apart from the quantitative satisfaction of the rest, various problems were exposed, such as the classification of users according to age and insufficient management in terms of the actual use of residents including suicide attempters.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design direc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suicide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olve the exclusion phenomenon that appears in space and programs. Third, when planning a space for suicide preventio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high-risk groups should be reflected.

민화의 다시점을 활용한 애니메이션 표현기법 연구 (Multi-perspective of Korean Folk Paintings)

  • 김도연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9호
    • /
    • pp.112-126
    • /
    • 2005
  • 인류의 문화 전반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뉴미디어들로 인해 급격한 변혁을 맞이하고 있다. 대중들의 보편적인 사고방식도 언어적인 것에서 영상적인 것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영상언어로서 영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점(視點)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기존 제도 교육이 서양의 원근법에만 한정되어 다양한 애니메이션 시점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느끼고 한국적인 시점을 찾아보고자 하는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시점적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 민화의 다시점은 관념의 공간안에서 다양하고 자유롭게 전개되어 하나의 대상을 완전하게 구성하려는 한국의 전통적 표현방식으로 한국적인 정서에 맞는 시점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논문을 통해 먼저 민화의 개념 및 특징을 파악하고 민화 관련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애니메이션의 특성에 맞는 한국 민화의 다시점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구조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민화의 다시점을 디지털 미디어환경에서 느낄 수 있도록 전래동화 '해님달님'을 한국 민화의 다시점에 적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재구성하였다. 작가의 관념의 공간 안에서 표현되는 여러 가지 표현법 중에 평원(平遠), 부감(府瞰), 역원근(逆遠近),동시적 표현법(同時的 表現法)의 4가지 방식을 활용하여 작품에 적용하였고 시점적 측면에서는 천(天)과 지(地)를 상징하는 호랑이와 새의 캐릭터를 작품에 적용하였다. 또한 화면구성방식은 실재(實在) 민화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분해하고 스토리텔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와 제작과정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관객에게 보다 다양한 시점을 제공하고, 한국 민화의 다시점이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콘텐츠들을 통해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아버지의 일·가정양립 유형과 일·가정양립 양상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and its characteristics)

  • 이현아;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3호
    • /
    • pp.75-88
    • /
    • 2019
  •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a father's role from one that is work-centered to a work-family balance, analyzing the type of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 typ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037 fathers of school-aged children. The survey subjects were assigned to a ratio of 1:2:1:1 for fathers who have a child in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a variable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work-centered, family-centered, and work-family centered. In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influenced by family characteristics(the age of first child, the number of children, dual earner, and spouse support) and work characteristics(weekly working hours, work flexibility, and leaving work on time).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through housework time, child care time, leisure time, family meals, and time spend talking with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first child age and spouse support, work characteristics such as weekly working hours and leaving work on time. The time distribution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type. Therefore, a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can be considered typified by the interaction of family and work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supporting fathers' work-family reconciliation.

다문화가정청소년과 일반가정청소년의 음주행태와 성경험과의 관련성 (Correlate of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Experience between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 이순희;유재현;윤미은;천성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5-5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d a multicultural families and households youth targeting adolescents drinking behavior and sexual status, and alcohol problems and gender analyzes and the relevance of the cup and behavior. Methods: This study analysed drinking problem and sexu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ies which is based on the primitive data from the Ninth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3. Al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 Results: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lifetime's drinking experience, beginning age of drinking, binge drinking, CRAFFT and sex experience than general family adolescents.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ies, schools and society should perceive and solve the problem concerning the drinking behavior and sex experience of the multicultural familiy adolescents.

여성결혼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 (A Study on the Attitudes of Women Immigrants toward the Elderly)

  • 박지영;이창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70-5577
    • /
    • 2011
  • 이 연구는 592명의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개인적, 한국 가족 및 모국 가족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2010년에 진행하였으며, 조사도구는 Sanders 등의 노인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은 평균비교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결혼 이민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거주지, 배우자의 교육수준, 가정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 및 모국 가족과의 연락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설명력은 한국 가족 특성이 가장 높았으며, 예측변인은 연령, 거주지, 가정 소득, 모국 부모 부양 희망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가정소득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 이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07-815
    • /
    • 2012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식생활 적응을 위해 식생활 및 영양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수집을 위해 부산시 영도구에 거주하는 이주여성을 134명을 대상으로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10월 10일부터 11월 30일까지 다문화가정을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가는 중국이 58.8%(조선족 4.4%)로 가장 많았으며, 베트남(14.7%), 필리핀(8.8%), 일본(7.4%) 순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9.7%(54명)로 가장 많았고, '40대(25.0%)', '20대(23.5%)', '50대 이상(11.8%)'순이었다. 거주기간은 '7~10년'이 가장 많았고(18.4%) '10~15년(15.5%)', '3~5년(13.2%)', '15년 이상(11.1%)' 순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2.9%가 '고등학교 졸업'이었으며, 주로 전업주부(77.9%, 106명)이었다. 가구당 월소득은 '101~200만원'이 33.8%, '201~300만원' 22.1%, '100만원 이하' 13.2%이었으며, 자신이 속한 가정의 월 소득을 모르는 주부도 26.4%(3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21.94이었으나 연령이 많아질수록 BMI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음식에 대한 선호도는 '20대'가 4.50으로 가장 높았으나 '30대' 4.24, '40대' 4.07, '50대 이상' 3.29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를 보였다. 거주연한으로 볼 때는 '1년 이하 거주'가 가장 높은 선호도(4.75)를 보였고 '5~7년 거주'에서 가장 낮은 선호도(3.70)를 보였다.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학습의지는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거주기간이 '1년 미만'과 '15년 이상'된 주부가 가장 높은 학습의지를 보인 반면, '5~7년'된 주부의 학습의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에 따른 선호도나 학습의지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한국음식에 관한 정보는 주로 가족(26.5%)과 TV, 인터넷(26.5%)에서 얻으며 복지관이나 보건소(13.2%), 남편(10.3%), 요리책(10.3%) 등에서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가 한국음식을 먹는 빈도는 '20대'는 '일주일에 3~4회 먹는다'가 50.0%', '매일 먹는다'가 43.8%로 응답하였으나, '30대'의 66.7%, '40대'의 88.2%, '50대'의 50.0%가 '매일 먹는다'고 응답하여 나이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01). 조사대상자가 고향음식을 먹는 빈도는 '매일 먹는다(30.9%)', '일주일에 1~2회 먹는다(29.4%)'는 응답이 많았고 '전혀 먹지 않는다'는 응답자도 16.2%이었다. 한국으로 이주한 후 식품섭취량이 '증가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곡류 36.7%, 육류는 40%, 어류는 50.8%, 우유 유제품 47.4%, 야채류 48.3%, 과일류 44.8%, 유지류 29.1%, 음료 32.8%에 달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이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음식은 육개장(32.8%), 닭찜(32.8%), 갈비찜(31.4%), 물김치(31.4%), 오이소박이(29.9%), 생선조림(28.5%), 식혜(28.5%), 열무김치(27.0%), 낙지볶음(27.0%), 콩조림(25.5%), 장조림(25.5%), 깍두기(25.5%), 빈대떡(25.5%), 북어국(25.5%), 추어탕(25.5%), 삼계탕(24.1%) 순이었다. 자신이 한국음식을 배우려는 의지가 강할수록, 한국음식 섭취빈도가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부부갈등이 적을수록 식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 식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배우자와 가족구성원 모두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하며, 영양교육과 식생활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모델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의 출산력과 정책적 함의 (Recent Fertil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박경애
    • 한국인구학
    • /
    • 제30권3호
    • /
    • pp.137-156
    • /
    • 2007
  •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이라는 최저치에서 2006년 1.13으로 증가하면서, 이 증가가 각종 정책의 결과이기 때문에 출산력 증가가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과 일시적일 것이라는 주장 간 논란이 있다. 이 연구는 인구동태신고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의 출산력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산순위별 템포조정합계출산율, 모의 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이혼율 등을 분석하였다. 전년대비 2006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가 증가한 것은 여성의 초혼과 첫째아 출산의 연기가 주춤해지면서 주로 30대 초반의 첫째아 출산 증가에 기인한다. 2006년과 2007년에는 20대 후반 여성인구의 증가(제3차 베이비붐 효과) 및 초혼의 급증으로 2007년과 2008년에는 출생아수가 증가할 것이다. 다만, 20대의 미혼율은 증가하구 유배우 출산율은 감소 추세이어서 장기적 관점의 출생아수 및 출산율 증가는 미지수이다. 또한, 첫째아와 둘째아의 출산율은 급속도로 저하되는데 반해, 셋째아 이상은 변화가 없으며, 둘째아 출산이 출산연령조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셋째아 이상을 출산하도록 장려하는 것보다는 첫째아, 둘째아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더 필요하고 현실적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적 양육대책 마련, 고령출산에 따른 모자보건문제, 다문화가정지원책 필요성 등을 언급하고 있다.

한국(韓國) 근대기(近代期) 내륙지방(內陸地方) 도시주택(都市住宅)의 유형(類型)과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ypes and Changes of the Urban Houses in the Korean Inland during the Period 1910-1945)

  • 김태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3호
    • /
    • pp.53-66
    • /
    • 1998
  •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house had been produced so many achievements in korea, but modern house is yet to be solv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esent the basic research data in order to build up an objective study for urban house in the modern age(1910-1945), Following to a study on the foreigner's house in grid-type settlement of Open Ports, in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modern houses of urban areas in korean inland, and then clarify types and changes of them. In the first year($1995{\sim}96$), the modern houses of Central Inland Districts(arrounding river Kumgang)-Kunsan kanggyong Puyo Kongju Pugang Chongju were investigated by the layout of room, the construction and materials, the design and style, etc. In the second year($1996{\sim}97$), the modern houses of Open Market(開市場)-Seoul Taegu Kwangju Taejon Chonju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as above. The traditional house transformed by differentiation and addition of room(kan),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korean reforming and western cultural house. In the layout of room, the types of plan were gradually concentrated from the single wings of korean traditional house. The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later improv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entrance, corridor, and internal toilet/bathroom. But the korean under-floor heating system(andal) and a series of three rooms had been entirely maintained, composed of master bedroom/living room(daechung)/room. And the traditional town house with shop and storage, being built closely to each other and walled up both sides, it had taken gradually the extensive characteristics in itself. By the displacement of shop/dwelling/ storage. the various types were respectively adopted for the separated, multi-storied, and complex type. The type of them was gradually changed to the narrow and linear form. And so with the stockpile of fundamental datas about modern houses in korean urban areas, we expect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knowledge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house at present which are required to the understanding of transition as well as types.

  • PDF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Operation)

  • 전양환;한상익;전철은;김진조;박승만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1호
    • /
    • pp.27-31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by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WHOQOL) Instrument- Korean version. Materials and Methods: Thirty-one (31)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curative resection were recruited with informed consent. Age- and gender-matched hospital staff served as controls. The 100-item WHOQOL Instrument, including physical domain, psychological domain, social domain, independence domain, environment domain, and spiritual domain, was employed for the all subjects. Results: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operation, only two domains, physical and independence, were associated with worse quality of life. In those domains, patients with advanced stage, with total gastrectomy, with adjuvant chemotherapy, and early or late postoperative period ($\leqq$2 years or >5 years after operation), could be perceived of having a worse quality of life. Conclusion: Not only scientific objective success but also individual subjective perception of condition could be important for managing patients with stomach carcinomas after curative resection. In this context, the WHOQOL reflecting multi-dimensional state of well being could be a useful tool across a variety of cultural and value systems in the world.

  • PDF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Visual textuality of stereoscopic 3D animation)

  • 전경란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31-45
    • /
    • 2010
  •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입체영상 콘텐츠의 중요한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주요 애니메이션 기업들이 앞으로 모든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을 입체 방식으로 제작하기로 하는 등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기존 3D 애니메이션 콘텐츠 영역을 급속히 대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영상 영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을 고찰하고, 그것이 지닌 미학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스크린 밖의 공간은 물론 스크린 안의 공간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입체효과를 구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이야기 소재, 이야기 구조, 캐릭터 디자인, 장면의 구성 등의 차원에서 입체 효과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은 가상현실 체험의 강조, 시각 경험을 넘어서는 육체적 다감각성을 구현하는 영상미학을 구현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입체기술이 영상에 어떤 시사점을 안고 있는지 정리하고, 3D 애니메이션의 특정한 속성과 문화적 함의를 탐구하며, 나아가 실제 3D 입체 애니메이션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3D 입체 애니메이션이 지닌 영상 특징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미학은 무엇이며, 어떤 사회문화적 함의를 안고 있는지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