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onotic infectio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1초

Detection and genotyping of Giardia intestinalis isolates using intergenic spacer (IGS)-based PCR

  • Lee, Jong-Ho;Lee, Jong-Weon;Park, Soon-Jung;Yong, Tai-Soon;Hwang, Ui-Wo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343-353
    • /
    • 2006
  • Giardia intestinalis infections arise primarily from contaminated food or water Zoonotic transmission is possible, and at least 7 major assemblages including 2 assemblages recovered from humans have been identified. The determination of the genotype of G. intestinalis is useful not only for assessing the correlation of clinical symptoms and genotypes, but also for finding the infection route and its causative agent in epidemiological studies. In this study, methods to identify the genotypes more specifically than the known 2 genotypes recovered from humans have been developed using the intergenic spacer (IGS) region of rDNA. The IGS region contains varying sequences and is thus suitable for comparing isolates once they are classified as the same strai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cysts isolated from the feces of 5 Chinese, 2 Laotians and 2 Koreans infected with G. intestinalis and the trophozoites of WB, K1, and GS strains cultured in the laboratory, respectively. The rDNA containing the IGS region was amplified by PCR and cloned.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3' end of IGS region was determined and examined by multiple alignment and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IGS region, 13 G. intestinalis isolates were classified to assemblages A and B, and assemblage A was subdivided into A1 and A2. Then, the primers specific to each assemblage were designed, and PCR was peformed using those primers. It detected as little as 10 pg of DNA, and the PCR amplified products with the specific length to each assemblage (A1, 176bp; A2, 261 bp; B, 319 bp) were found. The PCR specific to 3 assemblages of G. intestinalis did not react with other bacteria or protozoans, and it did not react with G. intestinalis isolates obtained from dogs and rats. It was thus confirmed that by applying this PCR method amplifying the IGS region, the detection of G. intestinalis and its genotyping can be determined simultaneously.

광주지역 도축 돼지 및 가공품 E형 간염 실태 조사 (Screening of slaughter pig and pork products for hepatitis E virus in Gwangju and nearby areas)

  • 정하진;김지연;최인수;성창민;박자윤;박지영;안아진;곽진주;장미선;서계원;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3-29
    • /
    • 2020
  • Hepatitis E Virus (HEV) infection is a worldwide disease and the primary cause of acute viral hepatitis in the world. It can be isolated from many different species including pigs. HEV is a zoonotic pathogen and foodborne disease. The main animal reservoir is domestic pigs. It is usually asymptomatic in pig but it is a public health concern, causing acute hepatitis in humans of varying sever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presence of HEV in pig and pork product. One hundred feces and one hundred fifty serum samples were randomly collected from pigs in slaughterhouses in Gwangju from November in 2018 to February in 2020. In addtion, seventy-five pork products were collected from markets in Gwangju. Feces and pork product sampl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HEV RNA using an reverse-transcription realtime PCR (RT-qPCR) assay. Serum samples were tested for the presence of HEV-specific IgG antibodies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HEV antigen and antibody positive rates were 3.0% (3/100) and 19.3% (29/150), respectively, in Gwangju and nearby areas such as Jeonnam and Jeonbuk. However, HEV antigen was not detected from any of pork product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HEV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because HEV was sporadically detected in Gwangju and nearby areas.

제주 노루와 진드기에서 타일레리아 감염 조사 (Investigation of Theileria sp. from Ticks and Roe Deer (Capreolus pygargus) in Jeju Island)

  • 문경하;이상;최창용;김소연;강창완;이경갑;윤영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10
    • /
    • 2014
  •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는 육지부 다른 종으로 대부분이 진드기에 심하게 감염되어 있다. 제주노루가 진드기 매개질병에 감염 및 다른 야생동물이나 가축에게 질병을 전파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야생동물구조센에서 구조 및 치료되는 제주노루 23마리의 혈액과 진드기를 대상으로 진드기 종을 동정하고 주혈원충 감염을 확인하였다. 구조된 노루의 대부분은 심하게 진드기에 감염되었고 모두가 작은소참진드기(100%)였다. 감염노루 혈액과 진드기를 대상으로 주혈원충에 대한 PCR, RFLP 및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혈액시료 모두(100%)에서 Theileria luwenshuni로 확인되었으며, 진드기에서는 23개군중 8개군(34.8%)에서 확인되었다. 제주 노루 감염 진드기는 주로 작은소참진드기며, 이들이 T. luwenshuni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감염에 따른 혈액 및 혈청학적 검사에서 정상소견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사람이나 가축으로 질병을 전파할 수 있는 진드기 매개질병 보균숙주로서 가능성이 있음으로 지속적인 조사 관찰이 필요하다.

광학 현미경 및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적용한 한우의 Enterocytozoon bieneusi 역학조사 (Occurrence of Enterocytozoon bieneusi in Korean Native Cattle Examined by Light Microscopic and Molecular Methods)

  • 이존화;김남수;전병우;손화영;류시윤;신현진;박지연;김현철;허진;조정곤;박배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
    • /
    • 2010
  • 미포자충인 Enterocytozoon bieneusi는 최근에 AIDS 환자에 기회감염 되는 병원체로 부각되었다. 이 병원체는 여러 동물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인수공통 기생충으로서 특별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충남, 대전, 전북 지역의 도축장으로부터 특별한 증상을 보이지 않은 건강한 한우 총 1,729 마리의 직장변을 취하여 E. bieneusi의 감염율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Trichrome 염색 변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하였다. Trichrome 염색변법을 적용한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194 (11.28%) 개체에서 미포자충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3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한편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한 시험에서는 79 (4.59%) 개체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으며, 이 역시 3월에 가장 높은 감염율을 나타내었다.

기생충의 보조숙주로서의 한국산 연체동물 감염 실태: 기후변화에서 병원체 전파의 영향에 대한 고찰 (Korean molluscs as auxiliary hosts for parasites: A study of implications for pathogen transmission in a changing climate)

  • 박갑만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산 연체동물의 감염 병원체의 실태와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질병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연구 보고된 문헌을 고찰하였다. 야생동물은 인체에 기생하는 인수공통전염병 기생충에 대한 중간숙주, 보유숙주 및 연체숙주로 제공되고 있다. 흡충류는 연체동물의 흔한 기생충이며 거의 모든 흡충류는 그들의 생활사에서 1차숙주로서 패류에 감염되며, 대부분은 또 다른 숙주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기생충의 생태학에 대한 보조숙주로서의 중요성은 논의된 바 없다. 최근에 기후변화의 관점에서 많은 기생성 질병이 역학적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한국산 연체동물을 대상으로 연구 보고된 문헌을 중심으로 기생성 병원체를 가진 종들을 조사 한 결과 전체 21종의 패류가 매개 기생체를 가지며, 이들 패류 21종이 가지고 있는 병원체는 모두 39종류로 확인되었다. 이 중 담수패류가 15종 그리고 해산패류에서 6종으로 나타났다. 담수패류 중 다슬기과의 다슬기 (Semisulcospira livertina) 에서 페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가장 많은 11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쇠우렁이 (Parafossarulus manchouricus) 에서는 간흡충, 동양배반흡충, 메기장흡충, 오리오목흡충, 일본극구흡충 등 11종류, 다슬기류 (Semisulcospira sp.) 에서는 폐흡충, 요코가와흡충, 가시입이형흡충 등 10종류, 염주알다슬기(Koreanomelania globus) 에서는 메기소식흡충 등 7종류, 바지락 (Tapes philippinarum) 에서는 Cercariae tapidis 등 3 종류 그리고 나머지 패류에서 1-2 종류의 기생성 병원체를 보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앞으로 홍수나 가뭄과 같은 극심한 기후변화가 일어난다면 담수패류는 기생성 매개자로서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in Ticks in the Republic of Korea

  • Kang, Jun-Gu;Cho, Yoon-Kyoung;Jo, Young-Sun;Han, Sun-Woo;Chae, Jeong-Byoung;Park, Jung-Eun;Jeong, Hyesung;Jheong, Weon-Hwa;Chae, Joon-Seo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60권1호
    • /
    • pp.65-71
    • /
    • 2022
  •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is a zoonotic, tick-borne RNA virus of the genus Bandavirus (Family Phenuiviridae), mainly reported in China,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898 adult and nymphal ticks of species Haemaphysalis longicornis (94.2%), Haemaphysalis flava (5.0%), Ixodes nipponensis (0.8%), and 1 specimen of Ixodes ovatus, were collected from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between April 2016 and June 2018. A single-step reverse transcriptase-nested PCR was performed, targeting the S segment of the SFTSV RNA. Total infection rate (IR) of SFTSV in individual ticks was found to be 6.0%. Based on developmental stages, IR was 5.3% in adults and 6.0% in nymphs. The S segment sequences obtained from PCR were divided into 17 haplotypes. All haplotypes were phylogenetically clustered into clades B-2 and B-3, with 92.7% sequences in B-2 and 7.3% in B-3.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the Korean SFTSV strains were closer to the Japanese than the Chinese strains. Further epidemiolog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FTSV and its transmission cycle in the ecosystem.

수입 관상어에서 분리한 motile aeromonads의 특성 (Characters of motile aeromonads isolated from imported ornamental fish)

  • 진세윤;고창용;이예지;정윤희;주성철;김은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9-96
    • /
    • 2017
  •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담수관상어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므로 외래 병원체 및 항생제 내성균의 유입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에 상재하는 균으로 인수공통 감염이 가능하며 어류에 조건성병원균으로 작용하는 Aeromonas hydrophila를 다양한 수입 담수관상어로부터 분리하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입 후 1일 이내의 관상어를 수족관으로부터 수집하여 0.5% NaCl을 포함하는 TSA 배지에 간, 신장, 비장을 도말하여 세균을 분리하였다. 세균의 형태, 생화학적 특성 및 starch- ampicillin agar (SA)에서의 clear zone 형성 유무에 근거하여 분리 균의 약 70%인 226 균주가 Aeromonas spp.로 확인되어 이들의 분리 빈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들 중 9균주를 선택하여 16S rRNA gene의 sequence를 분석한 결과 모두 A. hydrophila로 동정되었으며 API 20E test에서 대부분의 분리 균주는 amygdalin, D-melibiose, D-sucrose, trisodium citrate, L-arabinose 이용에서 표준 균주와 차이를 보였다. 10종의 항균제에 대한 분리 균주의 감수성을 디스크 확산법으로 확인한 결과 amoxycillin, ampicillin에 대해서는 모든 균주가 저항성이었고 florfecicol에 대해서는 모두 감수성이었다. 그러나 7균주는 tetracycline 계통의 항균제와 erythromycin, nalidixic acid 등에 복합내성을 보였다. A. hydrophila로 동정된 9개 분리 균주를 금붕어에 인위 감염을 실시한 결과, 3 균주는 5일 이내에 60~80%의 폐사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약제내성이면서 독력이 있는 Aeromonas가 수입관 상어를 따라 국내로 유입되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수입상에서 소비처로 판매되기 전의 방어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