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giber officinale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6초

생강 추출획분의 대두유 및 흰쥐 간 마이크로좀 지질 과산화 억제 효과 (Effect of Ginger Fractions for Inhibition of Soybean Oil and Rat Liver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 백숙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65-369
    • /
    • 1995
  • 본 연구는 생강의 추출획분 즉,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을 얻어서 각 획분에 존재하는 진저롤의 함량과 대두유 및 간 마이크로좀에서 지질과산화의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생강에서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을 추출하여 HPLC를 사용하여 진저롤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49.50, 20.74, 21.43와 93.70%였다. 이 4가지의 추출획분을 대두유에 0.2%(w/w)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45$^{\circ}C$에서 저장하여서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본 결과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및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이 각각 2.60, 2.33, 2.07, 2.75이었고, 0.02% 농도의 BHT첨가군은 RAE가 1.74였다. 각 획분의 흰쥐 간의 마이크로좀의 지질과산화 억제율은 핵산,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이 350 $\mu\textrm{g}$/$m\ell$의 반응액농도에서 각각 93, 92, 86%의 억제율을 나타냈고, 핵산-에테르획분(1 : 1, v/v)은 20 $\mu\textrm{g}$/$m\ell$의 낮은 반응액농도에서 89%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 PDF

식용식물 추출물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의 검색 및 분리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holesterogenic Substances from Edible Plant Extracts)

  • 박정로;박종철;최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6-241
    • /
    • 1997
  • 일부 식용식물 추출물의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탐색한 결과 파, 마늘, 호박의 물 추출물에서 $10{\sim}14%$의 저해활성이 관찰되었고 그외 부추, 생강 등의 물 추출물도 약간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의 경우는 참취, 마늘, 생강, 미나리, 신선초 등에서 $51{\sim}29%$의 강한 저해활성이 관찰되었고, 그 외 느타리, 호박, 양송이, 고추, 토란줄기, 부추, 당근 등에서도 $12{\sim}3%$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저해활성이 비교적 높은 신선초의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의 차이에 따라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층의 순서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n-butanol, chloroform, 물층에서도 비교적 높은 저해 활성이 보였다. 신선초의 methanol 추출물 분획 중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hyperoside와 luteolin $7-O-{\beta}-D-glucoside$를 순수 분리하여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luteolin-7-O-glucoside는 $30{\mu}M$ 농도에서 65.5%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hyperoside는 14.8%의 비교적 약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소음인(少陰人)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의 기원, 변천과정 및 구성 원리 (The Origin, Change,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 송은영;이의주;이준희;고병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12
  • 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changes and composi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2. Methods : 1) Analyzed the context of the progressive transform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related passages from "Donguibogam (東醫寶鑑)", "Donguisusebowon Chobongwon (東醫壽世保元 草本卷)", "Donguisusebowon Gabobon (東醫壽世保元 甲午 本)", "Donguisusebowon Sinchukbon (東醫壽世保元 辛丑本)", "Dongmuyugo (東武遺稿)" 2)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tilization of Soeumin's Bojungikgi-tang in pre-existing manuscripts according to pathological pattern and more specifically at a pathological stage. 3) Analyzed the total primary effect of the herbs as a prescriptive category, as well as the herbal properties of each component. 3. Results and Conclusions : 1) Originally Dongwo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as a stomach & spleen organ tonifying medicine so it was easily applied and established as a prescription appropriate for Soeumin constitutional types with a weaker spleen organ. 2) From Gabobon(甲午本), Soeumin's Bojungikgi-tang was modified, excluding Bupleurum falcatum(柴胡), Cimicifuga heracleifolia (升麻) and substituting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which are herbs appropriate for the Soeumin constitutional type. 3) In the Gabobon(甲午本), the Gegi-tang which has yang raising properties is included i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Sinchukbon(辛丑本), the Gegi-tang of the Soeumin's Bojungikgi-tang in the Gabobon was excluded and the Gegi-tang mutated into Hwangigyeji-tang. 4) In the Gabobon(甲午本), a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prescribed for Soeumin disease regardless of favorable-unfavorable patterns and mild-severe patterns, the stage of the disease when to prescrib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not clarified. 5)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as Soeumin's prescriptions have been obvious, the soeumin's Bojungikgi-tang was applied to Mang-yang disease with Hwangigyeji-tang and Seungyangikki-tang 6)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the Soeumin's Bojungikgi-tang has been applied to parients having both exterior-heat Mang-yang disease and Greater-yin disease, at the same time. 7) As of the Sinchukbon(辛丑本) edition, finally, the Soeumin's Bojungikgi-tang formula has been established as gathering Qi and middle tonification with Panax ginseng(人蔘), Astragalus membranaceus(黃芪), keeping the spleen healthy with Artractylodes japonica(白朮), keeping the spleen strong with Angelica acutiloba(當歸), rooting the spleen with Citrus reticulata(陳皮), raising Yang and middle jiao with Teucrium chamaedrys(藿香), Ophiopogon japonicus(蘇葉), middle tonification with Glycyrrhiza glabra(甘草灸), Zingiber officinale(生薑), Zizyphus jujuba(大棗).

천연식품성분에 의한 발암성 니트로사민생성인자 분해작용 l. 야채유출물의 아질산염 분해작용 (Degradation of Carcinogenic Nitrosamine Formation Factor by Natural Food Components 1.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Vegetable Extracts)

  • 김동수;안방원;염동민;이동호;김선봉;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3-468
    • /
    • 1987
  • 일상 식생활에서 널리 섭취하고 있는 야채류를 사용하여 니트로사민의 직접적인 생성인자인 아질산염 분해작용에 관하여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늘, 산초, 생강, 양파 및 파 둥은 수용성획분에서 당근은 methanol 가용성획분에서 각각 아질산염 분핵능이 높게 나타났다. 2. 반응용액의 pH변화에 따른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가장 컸으며, pH가 증가할수록 분해능은 감소하였다. 3. 각 시료를 10mg씩 취하여 얻은 아질산염 분해능을 동량의 L-ascorbic acid와 비교한 경우, 마늘과 산초가 수용성획분에서 L-ascorbic acid와 거의 비슷한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4. 각 시료를 $NaBH_4$로 처리하여 환원능을 소실시킨 후에 측정한 아질산염 분해능은 pH 1.2에서 시료 모두 모두 그 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 PDF

생강의 첨가가 분쇄막창의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torage Characteristics of Pork Rectum by Additio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 최원석;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56-961
    • /
    • 2014
  • 신선한 암퇘지의 막창부위에 지방을 제거하고 파쇄기로 잘게 부수어 가열하지 않은 것과 $100^{\circ}C$의 autoclave에서 10분간 가열한 것에 분쇄한 생강을 1, 5 및 10%가 되게 첨가하여 polyethylene film으로 1차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2차 포장한 다음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 중 pH는 첨가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열한 막창이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BA가는 각각 0.1 mg/kg과 0.25 mg/kg으로 가열 막창이 생막창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두 처리구에서 모두 생강의 첨가가 TBA-value의 상승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연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생강의 첨가로 감소하였으며, 30~40 mg%의 초기부패 판정기준을 고려할 때 생막창은 $5^{\circ}C$에서 4일, 가열막창은 6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BN 함량을 기준으로 10% 생강의 첨가는 가열막창의 저장기간을 4일 가량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icrobial Population, Methane Emission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In vitro

  • Kim, E.T.;Kim, C.H.;Min, K.S.;Lee, S.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06-81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methanogenesis and rumen microbial diversity in in vitro. Plant extrac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Wormwood, Allium sativum for. Pekinense; Garlic, Allium cepa; Onion, Zingiber officinale; Ginger, Citrus unshiu; Mandarin orange, Lonicera japonica; Honeysuckle) were obtained from the Plant Extract Bank a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The rumen fluid was collected before morning feeding from a fistulated Holstein cow fed timothy and commercial concentrate (TDN; 73.5%, crude protein; 19%, crude fat; 3%, crude fiber; 12%, crude ash; 10%, Ca; 0.8%, P; 1.2%) in the ratio of 3 to 2. The 30 ml of mixture, comprising McDougall buffer and rumen liquor in the ratio of 4 to 1, was dispensed anaerobically into serum bottles containing 0.3 g of timothy substrate and plant extracts (1% of total volume, respectively) filled with $O_2$-free $N_2$ gas and capped with a rubber stopper. The serum bottles were held in a shaking incubator at $39^{\circ}C$ for 24 h. Total gas production in all plant extracts was high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total gas production of ginger extract was highest (p<0.05). The methane emission was highest (p<0.05) at control, but lowest (p<0.05) at garlic extract which was reduced to about 20% of methane emission (40.2 vs 32.5 ml/g DM). Other plant extracts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methane emissions (wormwood; 8%, onion; 16%, ginger; 16.7%, mandarin orange; 12%, honeysuckle; 12.2%). Total VFAs concentration and pH were not influenced by the addition of plant extracts. Acetate to propionate ratios from garlic and ginger extracts addition samples were lower (p<0.05, 3.36 and 3.38 vs 3.53) than that of the control. Real-time PCR indicted that the ciliate-associated methanogen population in all added plant extracts de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fibrolytic bacteria population increased. In particular, the F. succinogens community in added wormwood, garlic, mandarin orange and honeysuckle extract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others. The addition of onion extract increased R. albus diversity, while other extracts did not influence the R. albus community. The R. flavefaciens population in added wormwood and garlic extracts decreased, while other extracts increased its abundance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lant extracts used in the experiment could be promising feed additives to decrease methane gas emission from ruminant animals while improving ruminal fermentation.

뇌경색 입원환자대상으로 한약과 Warfarin 의 복합 투여시 미치는 Prothrombin Time (INR) 의 변화에 대한 후향적 단면연구 (A Retrospective Sectional Study about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Herbal Medicines and Warfarin on Prothrombin Time(INR) in Stroke Patients)

  • 이상헌;김영석;강철호;송문구;두호경;안세영;안영민;이병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64-472
    • /
    • 2007
  • Objectives : Nowadays the combined use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and western biomedical medicines has been prevalent but controversial. Warfarin has been much reported to interact with some herbal medicines so that it influences prothrombin time(PT) &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INR).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how much warfarin interacts with herbal medicines during treatment of stroke patients Methods : This was a ret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of 53 patients whowere treated with concomitant treatment of herbal medicines & warfarin. They were within normal limit in liver function, renal function, hematocrit, hemoglobin, and platelet count at first admission lab. We classified them into 2 classes: study group (taking herbal medicines including Panax ginseng, Angelica sinensis, Zingiber officinale, Salvia miltiorrhiza that were reported to interact with warfarin to impact PT (INR) and control group (taking other herbal medicines). We followed up PT (INR) at 5-10 days interval with AST, ALT, BUN, creatinine, hematocrit, hemoglobin, and platelet count. Results : AST, BUN, creatinine, hemoglobin, hematocrit, and platelet count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between first and final tests during the admission period. Only AL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control group. Neither baseline nor peak PT (IN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However, only warfarin dos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T and INR (r=0.810, r=0.798, p<0.01). Conclusions : It was concluded that PT(INR) was not influenced with herbal medicines and warfarin but by far dependent on warfarin dose in stroke patients restricted with normal liver function, renal function, and hematocrit, hemoglobin, and platelet count. Further prospective study is needed on larger samples to conclude that the combined therapy of herbal medicines and warfarin is safe.

  • PDF

마늘과 생강의 항균성 및 증류성분 (Antimicrobial Activity and Distilled Components of Garlic(Allium sativum L.) and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 지원대;정민선;정현채;이숙정;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514-518
    • /
    • 1997
  • 향신료 중에서 항균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그 저해 양상 및 작용 기구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대표적인 향신료인 마늘과 생강을 대상으로 하여 각종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항균성을 확인하는 한편, 이들의 증류 성분을 추출, 분리, 동정하였다. 마늘의 각종 추출물은 대체로 Gram 양성균보다는 Gram 음성균에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효모에 대해서도 매우 강한 항균성을 보였는데, 추출에 사용된 용매 중에는 에테르를 사용한 추출물에서 비교적 강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생강의 경우도 항균성 물질은 에테르를 용매로 사용할 때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마늘과 생강의 증류 성분을 SDE장치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GC/MSD와 Kovat's retention index로 분석한 결과, 각각 13종과 21종이 동정되었다. 마늘에는 함황화합물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고, 생강에는 탄수화물이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특징적 방향에 기여하는 성분으로는 di-2-propenyl disulfide, methyl 2-propenyl disulfide, 2-vinyl-4H-1,3-dithiirane 및 3,3'-thiobis-1-propene이었고, 생강의 특징적 방향에 기여하는 성분으로는 ${\alpha}-zingibirene$, ${\beta}-phellandrene$, ${\beta}-sesquiphellandrene$ 및 camphene이었다.

  • PDF

퇴행성 골관절염에 대한 HPL-04의 효과 (Effects of HPL-04 on Degenerative Osteoarthritis)

  • 나지영;송기쁨;김석호;권영배;김대기;이준경;조형권;권중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0-3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PL-04가 골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 약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HPL-04는 연골세포 생존율과 연골형성과 관련된 collagen type II, SOX 9 그리고 aggrecan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성 인자와 관련 있는 MMP-2, 9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HPL-04는 MIA에 의해 유도된 퇴행성 골관절염에서 관절연골의 파괴와 골 침식 등 연골의 변성을 억제했으며 proteoglycan의 소실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HPL-04가 부작용이 적고 약리효과가 뛰어나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마늘, 생강, 양파 즙의 항산화능과 항균작용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Juice from Garlic, Ginger, and Onion)

  • 정경애;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4-139
    • /
    • 2013
  • 기능성이 우수한 향신 채소로서, 마늘, 생강, 양파를 이용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 재료나 천연 보존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이들의 생즙을 이용하여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마늘, 생강, 양파 즙의 수율은 각각 28.2% (v/w), 24.3%, 38.3%로서 양파가 가장 높았으나 총 폴리페놀함량은 각각 1,254, 1,523, 412 mg/100 g으로 생강즙이 가장 높았다. 마늘과 생강 즙 원액의 전자공여능은 95~98%였으며, 40% 희석액에서도 9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OD유사활성능 역시 64~67%로서 활성이 높았으나 양파즙은 마늘과 생강에 비하여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이 약간 낮았다. 마늘과 생강, 양파 즙 원액의 아질산염소거능은 각각 56.5%, 52.4% and 50.2%였다. 마늘즙은 실험에 사용한 4종류의 식중독세균(E. coli, Sal. typhimurium, L. monocytogenes, S. aureus)에 대하여 항균작용이 있었으며 특히 Sal. typhimurium에 대하여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마늘, 생강, 양파는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우수한 항균작용과 항산화능을 나타내어 식품에 첨가하면 천연보존료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건강식품 개발을 위한 재료로서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