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gbee 통신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초

유비쿼터스 혈압 측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biquitous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 김정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43-15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인체의 혈압을 측정하여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혈압 측정 단말기 자료 수집 베이스 노드, 의료 정보 수집 서버로 구성된다. 구현된 단말기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을 통하여 센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TinyOS가 내장되어 있는 초소형 보드로 설계되었다. 자료 수집 베이스 노드는 무선 리눅스 단말기로 구성되어 서버로 무선 랜을 통하여 센싱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의료 정보 수집 서버는 단말기에서 얻은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며 긴급 상황 발생 시 연계된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보고하도록 설계되었다. 실험 결과 지그비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센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비궈터스 헬스 케어 시스템이 구현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지그비 기술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설계 (A Game System Design for Local Wireless Network using Zigbee Technology)

  • 강성관;김관웅;김홍기;안태홍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5-102
    • /
    • 2011
  • 현재 와이파이가 지원되는 스마트폰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스마트 폰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 콘텐츠 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와이파이가 지원되지 않거나 블루투스 환경만을 제공하는 피처폰이나 기타 멀티미디어 기기 등에서는 네트워크 콘텐츠를 제공하기 힘든 환경이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기술보다도 저전력, 저가격, 사용의 용이성, 다채널,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는 지그비 기술을 이용하였다. 근거리 네트워크 게임에 지그비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 컨텐츠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oRa 기술 및 각 국가별 LoRa 활용사례 분석 (LoRa Technology Analysis and LoRa Use Case Analysis By Country)

  • 마성훈;김병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20
    • /
    • 2019
  • 사물인터넷이 발전으로 초소형 통신장치를 설치한 의류, 스포츠 장비,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활용한 다양한 장거리를 요하는 서비스의 개발로 인하여 기존에 IoT를 위하여 대표적으로 활용되던 Wi-Fi 와 Zigbee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에서의 거리의 한계가 느껴지면서 장거리 통신 기술인 LPWAN에 대한 연구가 진행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LPWAN 기술중 비 대역망 기술인 LoRa 기술의 세부부분들에 대하여 소개하고, 국내와 국외에서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활용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LoRa를 사용하는 실내 및 근거리 게이트웨이를 통한 통신방식에서 장거리 통신방식으로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선센서와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실내 환경 자동 제어 시스템 (Automatic Control System in Room using Zigbee Sensor and Microcontroller Chip)

  • 전병찬;최규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47-154
    • /
    • 2009
  • 최근에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어 기존의 가전기기들이 디지털화 되어 네트워크로 연동됨으로써 가전기기들이 원격제어 되어지는 단계로 진화되고 있다. 또한, 홈 네트워크와 초고속 네트워크 인프라를 연동하여 인터넷상에서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고 모니터링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센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한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기술한다. 저전력, Zigbee센서와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측정하였으며, ATmega128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해 댁내에 있는 각 장치(온도,조도,습도)등을 사용하였으며 가습기, 선풍기 등을 제어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무선센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의 기반으로 인해 홈 네트워크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홈 네트워크 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할 수가 있다.

  • PDF

지그비 센서를 활용한 가상현실 제어 (Sensing and Control Virtual Environment Using Zigbee Sensor Technology)

  • 주재홍;이현철;허기택;김은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7
    • /
    • 2007
  • 가상현실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하드웨어 성능의 향상으로 가상현실 시스템이 게임, 방송, 교육, 문화 콘텐츠 등에 대중적으로 널리 활용되면서, 사용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면서 가상현실을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과 상호작용을 위해 지그비(Zigbee)와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로 구성된 ZA센서를 개발하고, ZA센서와 무선통신 모듈로 가상현실 시스템과 통신을 하면서 상호작용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센서의 움직임에 따른 가상환경 제어 응용을 구현함으로써 개발된 시스템의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 PDF

지그비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가상 백본 설계 (Design of the Energy Efficient Virtual Backbone Construction in the Zigbee Network)

  • 김보남;이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413-2418
    • /
    • 2007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하여 분산적(distributed)이며 지역적인(localized) 방법으로 가상 백본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라우팅이나 메시지 broadcast와 같은 목적으로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상 백본을 구성하기 위하여 연결 Dominating set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네트워크의 전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결 Dominating set은 최대로 작은 수의 노드로 가상 백본을 구성는 동시에 각 노드들의 에너지 상태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 페이퍼에서는 현재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가장 많이 논의되고 있는 IEEE 802.15.4를 기반으로 한 Zigbee 네트워크에서 differ time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며 가상 백본을 구성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가상 백본 프로토콜의 효율성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증명한다.

그룹형 Zigbee Mesh 네트워크 기반 교통상황인지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ffic Situation Recognition System Based on Group Type Zigbee Mesh Network)

  • 임지용;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723-1728
    • /
    • 2021
  • C-ITS는 차량, 도로 인프라, 운전자, 보행자 등 구성요소 간 교통정보를 수집·관리·제공함으로써 교통 이용 편의, 교통안전을 제고 할 수 있는 지능형교통시스템이다. 국내에서는 C-ITS 사업을 통해 도로인프라가 국내 전역에 구축되고, 실시간 교통정보 제공, 버스운행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로상황 인지·전파 등을 통한 교통안전 중심의 C-ITS를 구축하기에는 첨단도로 인프라 및 정보 연계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공간적 측면에서 시간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교통 인프라 간 정보 연계를 통해 교통흐름과 돌발 사고를 인지할 수 있는 그룹형 Zigbee Mesh 네트워크 기반 교통상황인지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1차적으로 현장에서 사고감지 및 경보 등의 대응이 가능하며, 타 시스템과의 정보 연계를 통해 보다 다양한 교통정보 서비스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모바일 유비쿼터스 헬스케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bile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 이봉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81-793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센서네트워크 및 모바일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센서네트워크 기반의 u-Healthcare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한 u-Healthcare 시스템은 댁내의 무선 센서네트워크, 원격지에 위치하는 헬스케어센터 및 센싱한 생체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환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3 채널 ECG센서, 맥박산소 농도계, 혈압 센서 등 세 가지의 센서를 이용하였다. 각 센서는 mote에 탑재되어 있으며, mote는 센성된 생체신호를 Zigbee 통신을 이용하여 베이스 노드로 전송한다. 베이스 노드는 수신한 신호를 헬스케어 센터로 보내게 되고 헬스케어센터는 이 선호를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처리한다. 처리된 결과를 표준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등 적절한 처방을 환자에게 SMS 또는 웹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환자는 주기적으로 자선의 건강을 체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경증의 건강상의 문제로부터 자신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넷과의 정적 주소 연동 방안 구현 (Implementation of Static Address-Internetworking Scheme between Wireless Sensor Network and Internet)

  • 김정희;권훈;곽호영;도양회;변영철;김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40-49
    • /
    • 2006
  • 집적회로, 무선 통신,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팅 등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실현하고 차세대 IT 산업을 이끌 새로운 기술로서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 점차 주목 받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향후 센서 네트워크는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센서 노드들, 그리고 더 나아가 센서 네트워크 자체도 지속적으로 생성되거나 소멸되면서 기존의 네트워크와 상호 통신하고 주위환경에 맞추어 변화하며 동적으로 진화해 나갈 전망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센서 네트워크와 기존 네트워크간의 상호 연동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센서 네트워크와 인터넷과의 상호 통신을 위한 주소 연동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연동 방안은 응용 계층 게이트웨이 기법과 IP 오버레이 네트워크 기법을 갖추면서 Zigbee 기반 센서 네트워크의 주소 체계와 인터넷의 주소체계인 IP 기반 인터넷 주소 체계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주소를 배정시켜주는 방안이며, 실험을 통해 제안된 연동 방안을 검증한다.

  • PDF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다중 오브젝트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융합연구 (A Study on Multi-Object Control Method Using Smartphone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Methodologies of Convergence Research)

  • 강희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41-347
    • /
    • 2015
  • 애플사의 아이폰 탄생과 함께한 스마트폰의 발전 속도는 매우 짧은 주기로 새로운 기술과 개념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 속도는 '무어의 법칙'과 같이 점점 빨라지고 있으며, 스마트폰 역시 인간생활의 많은 부분을 빠르게 변화 시키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한 오브젝트 제어 기술은 로봇, 홈오토매이션, 스마트오브젝트 등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폰의 오브젝트 제어 기술에는 다중제어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중오브젝트 제어를 위해 블루투스모듈과 지그비모듈의 혼합 이용을 제안하며 그것을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요소와 지그비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현재 스마트폰에 내장된 무선통신기술중 하나인 블루트스모듈을 이용해 다중 오브젝트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스마트오브젝트 시대에 스마트폰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제안으로 디자인 영역확장의 시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