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hu Xi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2초

회재(晦齋) 『봉선잡의(奉先雜儀)』의 예학사적(禮學史的) 의의(意義) - 16세기 제례서(祭禮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i-thought at the Lee-Eonjeok's Bongseonjabui)

  • 도민재
    • 동양고전연구
    • /
    • 제72호
    • /
    • pp.185-2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봉선잡의(奉先雜儀)"가 지닌 예학사적(禮學史的) 의의(意義)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봉선잡의"와 조선조 16세기에 저술된 대표적인 제례서(祭禮書)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봉선잡의"가 조선조(朝鮮朝) 예학사(禮學史)에서 지니는 가치와 의미를 도출해 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먼저 "봉선잡의"의 구성과 내용 특징을 살펴보고, "봉선잡의"와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제례(祭禮)" 및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행사의절(行祀儀節)",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제의초(祭儀?)"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당시 조선사회에서 "주자가례(朱子家禮)"로 대변되는 유교의례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봉선잡의"를 비롯한 16세기에 저술된 제례서들은, "주자가례"의 수용과정에서 모두 시속(時俗)이나 국제(國制)의 절차와 "주자가례"를 절충하여 제례의 행례절차(行禮節次)를 제시했다. 이현보의 "제례"는 '복일(卜日)'이나 제찬(祭饌)의 진설 등에서 시속(時俗)이나 국제(國制)를 많이 따르고 있는데, "봉선잡의"는 이에 비해 좀더 "가례"의 내용에 충실하게 저술되었다. 송기수의 "행사의절"은 제례의 행례(行禮)시에 행해야할 필요한 내용만을 요약해서 정리하여, '복일(卜日)' '제계(齊戒)' '설위진기(設位陳器)' '구찬(具饌)' 등의 절차를 생략했다. 이이의 "제의초"는 "제례"나 "행사의절" 보다는 "가례"의 원칙을 더 많이 따르고 있으나, "봉선잡의"에 비해서는 국제와 시속을 더 많이 반영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이처럼 조선조 16세기에 저술된 제례서는 "가례"를 기준으로 하면서도 국제와 시속을 많이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16세기에 나온 제례서 역시 "가례"와 국제 또는 시속 중에서 어느 쪽에 더 충실한 경향성을 보이는가에 대해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는데, "봉선잡의"는 16세기에 나온 제례서들 중에서 "가례"의 형식이나 내용에 가장 충실한 예서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선잡의"는 조선조에 성리학적 예제(禮制)인 "가례"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습속과 다른 부분을 국제 및 시속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진 예서다. 특히 "봉선잡의" 하권에서 "예기(禮記)"와 "논어(論語)"를 인용하여 제례의 본질(本質)과 의미(意味)에 대해 논한 것은, "가례"와 시속의 차이를 예경(禮經)을 기준으로 절충하고 조화하여 시의성(時宜性) 있는 예법을 추구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하겠다. "봉선잡의"가 지닌 예학사적 의미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례"에 관한 조선조 최초의 구체적인 성과물이다. 둘째, 제례의 행례(行禮)과정 뿐 아니라, 이론과 실제를 모두 다루고 있는 예서다. 셋째, "가례"의 편차와 형식을 따르면서도, 당시 조선사회의 상황에 알맞게 적용하여 국제 및 시속과의 조화를 모색한 예서다. 넷째, 후대에 나온 예서들처럼 "가례" 일변도의 태도가 아닌, 제례의 본질적 의미에 중점을 두고 서술된 예서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揚雄) 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Yang Xiong (揚雄) Held by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 조민환
    • 대순사상논총
    • /
    • 제37집
    • /
    • pp.297-328
    • /
    • 2021
  • 본 논문은 미시적 차원에서 조선조 유학자들이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을 어떤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했는가 규명하고, 이런 규명을 통해 조선조 유학자들의 학문 경향의 상이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첫째 양웅의 처세술을 '망대부(莽大夫)'라고 평가한 것에 대한 견해, 둘째 양웅의 문학성 및 문학작품에 대한 견해, 셋째 양웅의 저술에 대한 견해, 넷째 양웅의 선악혼재설에 대한 견해, 다섯째 후대 인물들의 양웅 평가에 대한 견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 평가에는 주희(朱熹)가 양웅이 왕망(王莽)에게 대부 벼슬한 것을 '망대부'라고 비판한 것과 정호(程顥)가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 것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조선조 유학자들은 자신이 어떤 학파에 속하고 어떤 세계관을 갖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와 이해에는 각 인물들이 지향한 세계관과 진리인식의 차이점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런 부정은 대부분 주자학을 존숭하는 유학자들에서 나타났다. 예를 들면 홍직필(洪直弼), 위백규(魏伯珪), 김원행(金元行), 이상정(李象靖)이 그 예다. 영조같은 제왕의 경우도 유사성을 띤다. 다음은 양웅을 긍정하는 경우다. 이 경우는 다시 두가지 견해로 나타난다. 하나는 양웅에 대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거론하는 선택적 차원에서 양웅을 일정 정도 긍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허균(許筠)의 이해가 그것이다. 긍정하는 또 다른 견해는 다시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주자학의 훈도를 깊이 받지 않은 경우다. 서거정(徐居正), 성현(成俔)이 그 예다. 둘째, 실학적 사유를 견지한 경우다. 이익(李瀷)이 그 예다. 셋째 진리다원성을 주장하는 경우다. 장유(張維)가 그 예다. 다만 인성론과 관련해서는 모든 유학자들은 맹자의 성선설을 인정하면서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다. 이상 본 바와 같이 미시적 관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에서 한 인물이 어떤 세계관과 사상을 견지하고 존숭하느냐의 차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양웅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달랐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Ki Ho School of Neo-Confucianism on Yi Xue Qi Meng in Later Chosun Period)

  • 이선경
    • 한국철학논집
    • /
    • 제35호
    • /
    • pp.275-308
    • /
    • 2012
  • 이 글은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대체로 한원진을 중심으로 그의 동료, 문인들에 의해 연구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퇴계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이황 "계몽전의"이후, 16세기말로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진데 비하여,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18세기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그 이전과 이후에는 비중있는 연구저작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본고에서 채택한 주제는 3가지로, 그들의 태극론,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 "본도서"의 이른바 '오위상득설'이 그것이다. 태극론의 경우 기호성리학파는 "역학계몽"의 상수적 태극을 이기지묘의 이기론과 인기질의 인성론을 바탕으로 해명하는 독특성을 보여준다.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에 있어서는 기호성리학파내부에서도 논의가 분분하여 명쾌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그들은 종래 주희와 호방평이 하도와 복희팔괘횡도, 복희팔괘원도를 종합하여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던 시도를 유보한다. 한원진은 하도와 원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쾌하게 설명해내는 방식을 취하고, 이는 그의 동료문인들에게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전통적 진리체계의 보편성에 대한 의식의 균열을 내포하며, 이러한 기류는 홍대용과 같은 기호실학자들에 의해 전통과학과 진리체계가 부정되면서, 19세기 "역학계몽"연구가 지속되지 못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가설이다.

중국 『무이구곡도』 3폭(幅)의 비교 분석을 통해 본 18세기 무이산 구곡계(九曲溪)의 경물 인지특성 (An Analysis of the Landscap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ugok Stream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Based on the Comparison of China's 『Wuyi-Gugok Painting』)

  • 정조하;노재현;강정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2-82
    • /
    • 2019
  • 중국 청나라 중기에 제작된 『산수분계지도(山水分界之圖): A』, 『무이산구곡계전도(武夷山九曲溪全圖): B』 그리고 『무이산십팔경도(武夷山十八景圖): C』 등 3폭의 『무이구곡도』를 대상으로, 그림에 명기된 명칭을 조사한 뒤 문헌조사를 병행하여 경처와 경물유형, 이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후 각 곡별 경물 유형수와 경물수를 바탕으로 한 경물풍부도와 경관유사도 분석을 통해 18C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 인지특성을 살펴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이산지』의 명소 유형에 대한 묘사에 따르면, 3폭 그림 중 경물 명칭은 총 41개 유형으로 집계되었는데, 이 중 암(岩)·봉(峰)·석(石) 등 3개 경물이 차지하는 경관적 비중이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데이터에 따르면 무이구곡의 경관 중 암·봉·석의 수가 절반 이상으로 이는 단하지모(丹霞地貌) 등으로 이루어진 무이산의 지모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구곡계 경관은 다양하고 심상이 풍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상의 주 대상장인 제1곡 대왕봉과 만정봉, 제2곡 옥녀봉, 제3곡 소장봉, 제4곡 대장봉, 제5곡 대은병과 무이정사 그리고 제6곡 선장봉과 천유봉은 경물풍부도(景觀豐富度)가 탁월한 반면, 7~9곡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곡별 경관이미지 조사 결과, 구곡계의 인문경관 심상 형성에는 무이산과 관련된 신화 및 전설에서 비롯된 특이성으로 인해 경관 인지도가 매우 높았다. 특히 제1곡과 제5곡은 무이군을 바탕으로 한 도교문화와 주자의 성리문화와 관련한 석각문화, 주유문화(舟遊文化)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넷째, 41가지 경물 유형에 따른 경관유사도 분석 결과, A와 C의 유사도가 매우 높았으며 형태묘사 및 원근 표현관계가 매우 흡사함을 볼 때, 한쪽 그림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3폭의 그림에 묘사된 경물명은 오랜 시간 동안 전승, 누적된 신화 및 전설 그리고 경물의 이름붙이기를 통해 최소한 18C 전반 이전에 이미 정착·형성되어 인지되어 온 문화경관임이 확인된다. 다소의 순위 차이는 있으나 3폭 모두에 출현하는 경물 유형은 '석'이 21개소, '암'이 20개소, '봉'이 17개소로 석, 암, 봉은 무이산 구곡계의 경관성을 견인하고 있다. 다섯째, A와 C에서는 선조대(仙釣臺/태(台))가 제4곡도에 묘사되어 있지만, 한국에서는 제3곡의 경물명칭으로 알려지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또한 1곡의 승진동(升眞洞), 7곡의 석당사(石堂寺)는 그림 A·B·C 모두에서 묘사되고 있지 않는 점은 특이하며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Comparison Different Methods of Intraoperative and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 Meta-analysis

  • Huang, Jin-Yu;Xu, Ying-Ying;Sun, Zhe;Zhu, Zhi;Song, Yong-Xi;Guo, Peng-Tao;You, Yi;Xu, Hui-M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379-4385
    • /
    • 2012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PC) for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to compare effects between different regimens of IPC. Metho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mparing the effects of surgery plus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with surgery alone or comparing the efficacy between different regimens of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were searched for in Medline, Embase, Pubmed, the Cochrane Library and the Chinese BioMedical Disc and so on by two independent reviewers. After quality assessment and data extraction, data were pooled for meta-analysis using RevMan5.16 software. Tests of interaction were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of effects among subgroups grouped according to different IPC regimens. Results: Fifteen RCTs with a total of 1713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ere included for quality assessment and data extraction. Ten studies were judged to be of fair quality and entered into meta-analysis. Hyperthermic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R=0.60, P<0.01), hyperthermic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plus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R=0.47, P<0.01) and normothermic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HR=0.70, P=0.01) were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verall survival. Tests of interaction showed that hyperthermia and additional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did not impact on its effect. Further analysis revealed that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remarkably decrease the rate of postoperative hepatic metastasis by 73% (OR=0.27, 95% CI=0.12 to 0.67, P<0.01). However,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increased risks of marrow depression (OR=5.74, P<0.01), fever (OR=3.67, P=0.02) and intra-abdominal abscess (OR=3.57, P<0.01). Conclusion: The present meta-analysis demonstrates that hyperthermic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and normothermic intraoperative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should be recommended to treat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ecause of improvement in overall survival.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intraperitoneal chemotherapy can increase the risks of marrow depression, intra-abdominal abscesses, and fever.

Fenofibrate Increases Radiosensitivity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via Inducing G2/M Arrest and Apoptosis

  • Liu, Jia;Ge, Yang-Yang;Zhu, Hong-Cheng;Yang, Xi;Cai, Jing;Zhang, Chi;Lu, Jing;Zhan, Liang-Liang;Qin, Qin;Yang, Yan;Yang, Yue-Hua;Zhang, Hao;Chen, Xiao-Chen;Liu, Zhe-Ming;Ma, Jian-Xin;Cheng, Hong-Yan;Sun, Xin-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649-6655
    • /
    • 2014
  • Radiation therapy is an important treatment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However, how to promote radiation sensitivity in HNSCC remains a challen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adiosensitizing effects of fenofibrate on HNSCC and explore the underlying mechanisms. HNSCC cell lines CNE-2 and KB were subjected to ionizing radiation (IR),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enofibrate treatment. Cell growth and survival, apoptosis and cell cycle were evaluated. In addition, CNE-2 cells were xenografted into nude mice and subjected to IR and/or fenofibrate treatment. The expression of cyclinB and CDK1 was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Our results showed that fenofibrate efficiently radiosensitized HNSCC cells and xenografts in mice, and induced apoptosis and G2/M arrest via reducing the activity of the CDK1/cyclinB1 kinase complex. These data suggest that fenofibrate could be a promising radiosensitizer for HNSCC radiotherapy.

두풍(頭風)과 편두통(Migraine)에 대(對)한 동서의학적(東西醫學的) 문헌고찰(文獻考察) (The biblographical study on $T{\acute{o}}u\;f{\bar{e}}ng$ and Migraine -(Comparative study between Oriental and Western Medicine)-)

  • 오소조;정지천;이원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9-138
    • /
    • 1993
  • This report on the $T{\acute{o}}u\;f{\bar{e}}ng$ and Migraine comes to conclude, through the study of the Oriental- Western medical references, as follow; 1. First, $T{\acute{o}}u\;f{\bar{e}}ng$ and Migraine had some concurrencies that both the two symptoms have appeared severe and recurrent headache and more often to the female. 2 Many of them e.g. Sensory disturbance, Vertigo, Nausea, Vomiting, Tinnitus etc. in the prodrome and main symptom of $T{\acute{o}}u\;f{\bar{e}}ng$ and Migraine were identical, especially the symptom of the $f{\bar{e}}ng\;t{\acute{a}}n\;t{\acute{o}}u\;t{\grave{o}}ng$ was similar to the prodrome of the Migraine. We could find out the semilarity of the symptoms through that Migraine is proximately set in unilateral, and $Pi{\bar{a}}nT{\acute{o}}u\;f{\bar{e}}ng$ is so called alias $B{\grave{a}}n\;bi{\bar{a}}n\;t{\acute{o}}u\;t{\grave{o}}ng$. 3. The pathogeny of $T{\acute{o}}u\;f{\bar{e}}ng$ include the case of ‘$f{\bar{e}}ng\;xi{\acute{e}}\;r{\grave{u}}\;n{\bar{a}}o$’, the patient feeling weak condition, $T{\acute{a}}n,\;T{\acute{a}}nshi,\;T{\acute{a}}nhu{\breve{o}},\;Y{\grave{u}}q{\grave{i}}$, etc. and, ‘$t{\acute{a}}n\;zhu{\grave{o}}\;sh{\grave{a}}ng\;y{\acute{a}}o$’, ‘$G{\bar{a}}n\;y{\acute{a}}ng\;hu{\grave{a}}\;f{\bar{e}}ng$’. There were variable that $F{\bar{e}}ng,\;Xu{\grave{e}},\;F{\bar{e}}ngr{\grave{a}},\;F{\bar{e}}ngx{\bar{u}},\;Xu{\grave{e}}x{\bar{u}},\;Hu{\check{o}}$ in the left, and $t{\acute{a}}n,\;R{\grave{e}},\;t{\acute{a}}nr{\grave{e}},\;Qir{\acute{a}}$ in the right partial pathogeny. It was referred $Sh{\grave{a}}o\;y{\acute{a}}ng\;j{\bar{i}}ng$, $Ju{\acute{e}}\;y{\bar{i}}n\;j{\bar{i}}ng$, $Y{\acute{a}}ng\;m{\acute{i}}ng\;j{\bar{i}}ng$, $T{\grave{a}}i\;y{\acute{a}}ng\;j{\bar{i}}ng$ in connection with the Meridian system. And otherwise the primary cause of Migraine is still unknown to us. Heredity is probably important, but the mode of transmission is uncertain. Recently, the important assumption is the vasomotor change caused by vasoconstrictors like that norepinephrine, epinephrine, and serotonin etc.

  • PDF

Dose-Dependent Associations between Wine Drinking and Breast Cancer Risk - Meta-Analysis Findings

  • Chen, Jia-Yan;Zhu, Hong-Cheng;Guo, Qing;Shu, Zheng;Bao, Xu-Hui;Sun, Feng;Qin, Qin;Yang, Xi;Zhang, Chi;Cheng, Hong-Yan;Sun, Xin-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221-1233
    • /
    • 2016
  • Purpose: To investigate any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wine and breast cancer risk. Materials and Methods: We quantitatively assessed association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based on evidence from observational studies. In May 2014, we performed electronic searches in PubMed, EmBase and the Cochrane Library to identify studies examining the effect of wine drinking on breast cancer incidence. The relative risk (RR) or odds ratio (OR) were used to measure any such association. Results: The analysis was further stratified by confounding factors that could influence the results. A total of twenty-six studies (eight case-control and eighteen cohort studies) involving 21,149 cases were included in our meta-analysi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wine drinking wa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A 36% increase in breast cancer risk was observed across overall studies based on the highest versus lowest model, with a combined RR of 1.0059 (95%CI 0.97-1.05) in dose-response analysis. However, 5 g/d ethanol from wine seemed to have protective value from our non-linear model.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wine drinking is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in a dose-dependent manner. High consumption of wine contributes to breast cancer risk with protection exerted by low doses.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for clarification.

Sensitivity of Plasmodium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in Hainan Island, China

  • Wang, Shan-Qing;Wang, Guang-Ze;Li, Yu-Chun;Meng, Feng;Lin, Shi-Gan;Zhu, Zhen-Hu;Sun, Ding-Wei;He, Chang-Hua;Hu, Xi-Min;Du, Jian-We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1호
    • /
    • pp.35-41
    • /
    • 2015
  • Pyronaridine and artesunate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falciparum malaria treatment. However, pyronaridine is rarely used in Hainan Island clinically, and artesunate is not wide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Instead, conventional antimalarial drugs, chloroquine and piperaquine, are used, explaining the emergence of chloroquine-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d the sensitivity of P.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used in Hainan Island for rational drug therapy. We performed in vivo (28 days) and in vitro tests to determine the sensitivity of P. falciparum to antimalarial drugs. Total 46 patients with falciparum malaria were treated with dihydroartemisinin/piperaquine phosphate (DUO-COTECXIN) and followed up for 28 day. The cure rate was 97.8%. The mean fever clearance time ($22.5{\pm}10.6hr$) and the mean parasite clearance time ($27.3{\pm}12.2hr$)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different genders, ages, temperatures, or parasite density (P>0.05). The resistance rates of chloroquine, piperaquine, pyronarididine, and artesunate detected in vitro were 71.9%, 40.6%, 12.5%, and 0%, respectively (P<0.0001). The resistance intensities decreased as follows: chloroquine>piperaquine>pyronarididine>artesunate. The inhibitory dose 50 ($IC_{50}$) was $3.77{\times}10^{-6}mol/L$, $2.09{\times}10^{-6}mol/L$, $0.09{\times}10^{-6}mol/L$, and $0.05{\times}10^{-6}mol/L$, and the mean concentrations for complete inhibition (CIMC) of schizont formation were $5.60{\times}10^{-6}mol/L$, $9.26{\times}10^{-6}mol/L$, $0.55{\times}10^{-6}mol/L$, and $0.07{\times}10^{-6}mol/L$, respectively. Dihydroartemisinin showed a strong therapeutic effect against falciparum malaria with a low toxicity.

Adjuvant Radiotherapy after Breast Conserving Treatment for Breast Cancer:A Dosimetric Comparison between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and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 Liu, Zhe-Ming;Ge, Xiao-Lin;Chen, Jia-Yan;Wang, Pei-Pei;Zhang, Chi;Yang, Xi;Zhu, Hong-Cheng;Liu, Jia;Qin, Qin;Xu, Li-Ping;Lu, Jing;Zhan, Liang-Liang;Cheng, Hong-Yan;Sun, Xin-C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257-3265
    • /
    • 2015
  • Background: Radiotherapy is an important treatment of choice for breast cancer patients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and we compare the feasibility of using dual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2), single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VMAT1) and Multi-beam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M-IMRT) on patients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breast cancer (half right-sided and half left-sided) treated by conservative lumpectomy and requiring whole breast radiotherapy with tumor bed boost were planned with three different radiotherapy techniques: 1) VMAT1; 2) VMAT2; 3) M-IMRT. The distributions for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and organs at risk (OARs) were compared. Dosimetries for all the techniques were compared. Results: All three techniques satisfied the dose constraint well. VMAT2 showed no obvious difference in the homogeneity index (HI) and conformity index (CI) of the PTV with respect to M-IMRT and VMAT1. VMAT2 clearly improved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can also decrease the mean dose and V5Gy of the contralateral lung. The mean dose and maximum dose of the spinal cord and contralateral breast were lower for VMAT2 than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very low dose distribution (V1Gy) of the contralateral breast also showed great reduction in VMAT2 compared with the other two techniques. For the ipsilateral lung of right-sided breast cancer, the mean dos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VMAT2 compared with VMAT1 and M-IMRT. The V20Gy and V30Gy of the ipsilateral lung of the left-sided breast cancer for VMAT2 showed obvious reduction compared with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heart statistics of VMAT2 also decreased considerably compared to VMAT1 and M-IMRT. Conclusions: Compared to the other two techniques, the dual arc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technique reduced radiation dose exposure to the organs at risk and maintained a reasonable target dose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