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Yang Xiong (揚雄) Held by Korean 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揚雄) 이해에 관한 연구

  • Jo, Min-hwan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1.01.31
  • Accepted : 2021.04.05
  • Published : 2021.04.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find out from what perspectiv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evaluated and understood Yang Xiong's guiding principles and literature at the micro level and to reveal the academic trends of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This topic is approached as follows: first, an evaluation of Yang Xiong's way of living as a 'senior state official of Wang Mang (the controversial Emperor of the short-lived Xin Dynasty)'; second, Yang Xiong's literary character and his literary works; third, Yang Xiong's writing style; and fourth, Yang Xiong's view of good and evil. These can be summarized in three main ways: One is to agree with Zhu Xi's criticism of Yang Xiong as a 'senior state official of Wang Mang' and dismiss his guiding principles, academic achievements, literature, and other accomplishments. Most of these negatives have been found in Confucian scholars who are especially enthusiastic about theology. Examples include Hong Jikpil, Wi Baekgyu, Kim Wonhaeng, and Lee Sangjeong. In the case of kings such as King Yeong-Jo, the assessment of Yang Xiong is quite similar. The following assessments of Yang Xiong are positive though. Positive assessments are presented from two different views. One is a balanced approach that cover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Yang Xiong. For example, Heo-Kyun's understanding. Another positive view can be analyzed from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case is when the scholars assessing Yang Xiong were not deeply influenced by Zhu Xi's criticism of him. Seo Geojeong and Seong-Hyeon are examples. The second case are those that broke away from theology or adhered to Silhak [Practical Studies]. Yi-Ik is an example. Third, assessments from scholars who posited that truth was of a pluralistic nature. Jang-Yu is an example of such scholars. Regarding theories of human nature; however, there was consensus among Confucian scholars that Mengzi held that human nature is good, and thereby it was common to criticize Yang Xiong's theory that human nature was a mixture of good and evil. From an ideal micro perspective,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different assessments of Yang Xiong show that their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f Yang Xiong differed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differing worldviews and ideas.

본 논문은 미시적 차원에서 조선조 유학자들이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을 어떤 관점에서 평가하고 이해했는가 규명하고, 이런 규명을 통해 조선조 유학자들의 학문 경향의 상이점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런 점을 첫째 양웅의 처세술을 '망대부(莽大夫)'라고 평가한 것에 대한 견해, 둘째 양웅의 문학성 및 문학작품에 대한 견해, 셋째 양웅의 저술에 대한 견해, 넷째 양웅의 선악혼재설에 대한 견해, 다섯째 후대 인물들의 양웅 평가에 대한 견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조선조 유학자들의 양웅 평가에는 주희(朱熹)가 양웅이 왕망(王莽)에게 대부 벼슬한 것을 '망대부'라고 비판한 것과 정호(程顥)가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 것에 영향을 받는다. 하지만 조선조 유학자들은 자신이 어떤 학파에 속하고 어떤 세계관을 갖는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와 이해에는 각 인물들이 지향한 세계관과 진리인식의 차이점이 담겨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양웅의 처세술, 학술, 문학 등 모든 것을 부정하는 것이다. 이런 부정은 대부분 주자학을 존숭하는 유학자들에서 나타났다. 예를 들면 홍직필(洪直弼), 위백규(魏伯珪), 김원행(金元行), 이상정(李象靖)이 그 예다. 영조같은 제왕의 경우도 유사성을 띤다. 다음은 양웅을 긍정하는 경우다. 이 경우는 다시 두가지 견해로 나타난다. 하나는 양웅에 대한 긍정과 부정을 동시에 거론하는 선택적 차원에서 양웅을 일정 정도 긍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허균(許筠)의 이해가 그것이다. 긍정하는 또 다른 견해는 다시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첫째 주자학의 훈도를 깊이 받지 않은 경우다. 서거정(徐居正), 성현(成俔)이 그 예다. 둘째, 실학적 사유를 견지한 경우다. 이익(李瀷)이 그 예다. 셋째 진리다원성을 주장하는 경우다. 장유(張維)가 그 예다. 다만 인성론과 관련해서는 모든 유학자들은 맹자의 성선설을 인정하면서 양웅의 '선악혼재설'을 비판한다. 이상 본 바와 같이 미시적 관점에서 양웅에 대한 조선조 유학자들의 서로 다른 평가에서 한 인물이 어떤 세계관과 사상을 견지하고 존숭하느냐의 차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양웅에 대한 이해와 평가가 달랐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奇大升, 「高峯全書」, 한국문집총간본a040, 한국고전번역원.
  2. 金昌協, 「農巖集」, 한국문집총간본a162, 한국고전번역원.
  3. 徐居正, 「四佳文集補遺」, 한국문집총간본a011, 한국고전번역원.
  4. 成俔, 「虛白堂文集」, 한국문집총간본a014, 한국고전번역원.
  5. 朴世堂, 「西溪集」, 한국문집총간본a134, 한국고전번역원.
  6. 申欽, 「象村稿」, 한국문집총간본a072, 한국고전번역원.
  7. 魏伯珪, 「存齋集」, 한국문집총간본a243, 한국고전번역원.
  8. 李德懋, 「靑莊館全書」, 한국문집총간본a258, 한국고전번역원.
  9. 李象靖, 「大山集」, 한국문집총간본a227, 한국고전번역원.
  10. 李珥, 「栗谷全書」, 한국문집총간본a044, 한국고전번역원.
  11. 張維, 「谿谷漫筆」, 한국문집총간본a092, 한국고전번역원.
  12. 黃玹, 「梅泉集」, 한국문집총간본a348, 한국고전번역원.
  13. 許筠, 「惺所覆瓿稿」, 한국문집총간본a074, 한국고전번역원.
  14. 徐居正, 「四佳文集補遺」, 한국문집총간본a011, 한국고전번역원.
  15. 洪直弼, 「梅山集」, 한국문집총간본a295, 한국고전번역원.
  16. 이연승, 「양웅: 어느 한대 지식인의 고민」 파주: 태학사, 2007.
  17. 揚雄 撰.司馬光 集注.류사오쥔(劉韶軍) 點校, 「태현집주」, 조민환 역주, 고양: 학고방, 2017.
  18. 鈴木由次郞, 「太玄易の硏究」, 東京: 明德出版社, 1964.
  19. 萬志全, 「揚雄美學思想硏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8.
  20. 葉幼明 注釋.周鳳五 校閱, 「新譯揚子雲集」, 臺北: 三民書局印行, 1997.
  21. 王靑, 「揚雄評傳」,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2000.
  22. 鄭萬耕, 「太玄校釋」,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1989.
  23. 鄭萬耕, 「揚雄及其太玄」,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