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 Ho School of Neo-Confucianism on Yi Xue Qi Meng in Later Chosun Period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 이해

  • Received : 2012.10.11
  • Accepted : 2012.11.03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studies of Yi Xue Qi Meng(易學啓蒙) performed by the researchers of Neo-Confucianism in Ki Ho region in later Chosun period. Philologically speaking, these studies were mainly performed by Han Won Jin and his colleagues. While the study of Yi Hwang(李滉)'s Qi Meng Zhuan Yi(啓蒙傳疑) performed by the researchers of Toegye(退溪) School lasts from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to the nineteen's century, the Ki Ho(畿湖) scholars' study of Yi Xue Qi Meng are centered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hardly any significant work on this text is found before and after this century. In order to single ou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Ki Ho School of Neo-Confucianism, this article examines three subjects the Ki Ho scholars delved into: (i) their theory of Tai Ji(太極), (ii) their theory of He-Tu(河圖)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and (iii) the so-called Wu Wei Xiang De Shuo(五位相得說) discussed in one of the sections in Yi Xue Qi Meng titled the Source of He-Tu and Luo Shu[本圖書]. The Ki Ho scholars are remarkable in interpreting Tai Ji in Yi Xue Qi Meng in the context of the theory of Li-Qi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ere are differences in opinion among the Ki-Ho scholars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Eventually, they withhold Zhu Xi(朱熹) and Hu Fang Ping(胡方平)'s attempt to synthesize He-Tu, the rectangular diagram of Fu Xi(伏羲)'s eight trigrams, and the circular diagram of Fu Xi's eight trigrams into one single principle. Han Won Jin tries to explain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formation of eight trigrams in terms of the relation between He-Tu and the circular diagram, and his attempt is widely supported by his colleagues. This theory runs counter to traditional model of explaining truth. My conjecture is that such academic trend is further developed by the defenders of Practical Learning such as Hong Dae Yong(洪大容), who vigorously reject traditional system of truth and science, and that it partly explains why the study of Yi Xue Qi Meng ceases in the nineteenth century.

이 글은 조선후기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자료의 측면에서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대체로 한원진을 중심으로 그의 동료, 문인들에 의해 연구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퇴계학파의 "역학계몽"연구가 이황 "계몽전의"이후, 16세기말로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진데 비하여,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는 18세기에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그 이전과 이후에는 비중있는 연구저작들이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기호성리학파의 "역학계몽"연구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본고에서 채택한 주제는 3가지로, 그들의 태극론,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 "본도서"의 이른바 '오위상득설'이 그것이다. 태극론의 경우 기호성리학파는 "역학계몽"의 상수적 태극을 이기지묘의 이기론과 인기질의 인성론을 바탕으로 해명하는 독특성을 보여준다. 하도와 8괘형성에 관한 이론에 있어서는 기호성리학파내부에서도 논의가 분분하여 명쾌하게 일치하지 않는다. 결국 그들은 종래 주희와 호방평이 하도와 복희팔괘횡도, 복희팔괘원도를 종합하여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던 시도를 유보한다. 한원진은 하도와 원도의 관계를 중심으로 양자의 관계를 보다 명쾌하게 설명해내는 방식을 취하고, 이는 그의 동료문인들에게 지지를 받는다. 이러한 과정은 전통적 진리체계의 보편성에 대한 의식의 균열을 내포하며, 이러한 기류는 홍대용과 같은 기호실학자들에 의해 전통과학과 진리체계가 부정되면서, 19세기 "역학계몽"연구가 지속되지 못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는 것이 필자의 가설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