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nthoxylum specie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5초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

  • 김희연;최해진;임상현;허수정;한상섭;김도순;황기환;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8-25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73과(科) 200종(種) 시료로부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 (Brassica napus L.) 에 대한 살초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200종 식물 중 6종 식물 -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등나무(Wistaria floribunda), 산마늘(Allium victorialis), 소리쟁이(Rumex crispus),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a), 참느릅 나무 (Ulmus parvifolia)는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었고 ($GR_{50}$ 값, < $1,000{\mu}g\;g^{-1}$), 17종 식물 - 갈퀴덩굴(Galium spurium), 느티나무(Zelkova serrata), 능소화(Campsis gradiflora), 두충(Eucommia ulmoides), 마가목(Sorbus commixta.), 물참대(Deutzia glabrata),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산오리(Alnus hirsuta),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주엽나무(Gleditsia japonica), 죽단화(Kerria japonica),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olium),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편백(Chamaecyparis obtusa), 할미꽃(Pulsatilla koreana)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GR_{50}$ 값, $1,000-2,000{\mu}g\;g^{-1}$), 나머지 177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낸 식물로부터 분리되는 천연활성물질들은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 제공, 상호대립억제 작용성을 갖는 작물 품종 개발 혹은 개량에의 활용, 그리고 친환경 유기농업용 잡초방제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항바이러스 활성 식물자원 탐색 (Screening of Plant Resources of anti-viral activity)

  • 권두한;김만배;윤도영;이영희;김재화;이희구;최인성;임종석;최용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0
    • /
    • 2003
  • 11종의 약리식물의 수용성 추출물에서 세포독성능과 TGEV와 PEDV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분석하였다. 이들 추출물은 바이러스의 숙주세포로 사용되는 ST세포와 Vero세포에 대해 다른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오가피 추출물은 TGEV에 대한 숙주세포주인 ST 세포에 대해 75.81 %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살나무, 무화과나무, 까마종이, 마황, 창이자 추출물은 20-50% 사이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마황 추출물(35.66%) 이외의 10종의 추출물은 PEDV에 대한 숙주세포주인 Vero 세포에 대해 세포독성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독성이 낮은 식물추출물에서 초피나무, 구지뽕나무, 누리장나무, 고삼 추출물이 TGEV에 대하여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으며, PEDV에 대하여는 초피나무, 조각자나무, 고삼, 까마종이, 마황 추출물에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이중에서 고삼과 초피나무 추출물은 TGEV와 PEDV에 대해서 효과적인 항바이러스능을 나타내었다.

화살, 남천, 차, 초피나무 4유용수종(有用樹種)의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가 포지발아(圃地發芽)와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eed Treatment on Fiel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our useful species, Euonymus alatus, Nandina domestica, Thea sinensis and Zanthoxylum piperitum)

  • 구관효;최재식;윤기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87-96
    • /
    • 1995
  • 새 순(筍)이나 수피(樹皮), 열매 등(等) 식(食) 약용(藥用)으로 이용(利用)하고 있는 화살나무를 비롯한 4수종(樹種)의 종자(種子)에 대하여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을 높이는 방법(方法)을 알아보기 위행 화살나무, 차나무, 초피나무의 종자(種子)는 10월(月) 중순(中旬)에서 11월(月) 중순(中旬) 사이에 채취(採取)하여 정선(精選)한 후(後) Pon-Pon, $H_2O_2$, $GA_3$, 종피파쇄(種皮破碎) 등(等)으로 처리(處理)하여 노천매장(露天埋藏)(119일(日)-134일(日))을 하였다가 3월(月) 29일(日) 시험포지(試驗圃地) 파종(播種)하였으며, 남천 종자(種子)는 11월(月) 하순(下旬에) 채취(採取)하여 Growth chamber에서 저장온도(貯藏溫度)($4^{\circ}C$, $25^{\circ}C$, $32^{\circ}C$), 저장기간(貯藏期間)(7일(日), 15일(日), 21일(日))별(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유리온실(溫室) 내(內)의 파종상자(播種箱子)($55{\times}45{\times}15cm$)에 파종(播種)하여 보관(保管)하던 중(中) 5월(月) 초(初)부터는 노지(露地)에서 관리(管理)하였다. 수종별(樹種別), 종자(種字)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로 발아(發芽) 생장(生長)한 묘목(苗木)을 파종(播種)한 당년(當年) 10월(月) 중순(中旬)에 굴취(掘取)하여 발아율(發芽率)과 유묘(幼苗) 생장(生長)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에서 화살나무는 $GA_3$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67.1%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 처리구(處理區) 18.4%보다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유의적(有意的)인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차나무 종자(種子)는 종피파쇄(種皮破碎)나 $H_2O_2$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와 일반(一般) 노천매장처리구(露天埋藏處理區)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노천매장(露天埋藏) 만으로도 충분한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초피나무 종자(種子)의 경우 Pon-Pon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80.3%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의 12.4% 보다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남천 종자(種子) $32^{\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가 $4^{\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보다 5개월(個月) 정도 조기(早期)에 발아(發芽)되면서 발아율(發芽率)도 높게 나타났다. 포지(圃地)에 파종(播種)한 종자(種子)의 발아최성기(發芽最盛期)는 화살나무(32일(日))>초피나무(49일(日))>차나무(83일(일))>남천(87일(日)) 순(順)이었다. 포지(圃地)에서 발아(發芽)한 실생묘목(實生苗木) 생장량(生長量)은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의 효과(效果)로 발아(發芽)가 빠른 처리구(處理區)에서 양호(良好)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연(年) 생장시간(生長時間) 중(中)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보인 최대생장(最大生長) 기간(期間)은 화살나무는 종자발아(種子發芽) 후(後) 72일(日) 경(傾)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사이이고, 초피나무는 59일(日)째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 사이였으며 차나무는 54일(日)째인 8월(月) 중순(中旬)부터 9월(月) 중순(中旬)사이로 나타났다.

  • PDF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와 천이 - 강원도 임도를 중심으로 -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 of the Decomposed Granite Cut-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angwon-do -)

  • 송호경;박관수;이준우;이미정;이상화;김효정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84-93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s cut-slope. From two to six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four regional areas of Gangwon-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soil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 the decomposed granite soils were below 1.32%, 0.08%, 10.0%, and above 1.24g/$cm^3$,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oil was not good for plant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species in the granite forest roads were the elapsed year, cut-slope, elevation, and cut-slope aspect. Species with high frequency in the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ordered Lespedeza bicolor, Rubus crataegifolius, Pinus densiflora, Lysimachia clethroides, Amorpha fruticosa, Dactylis glomerata, Lespedeza cyrtobotrya, Festuca arundinacea, Spodiopogon sibiricus, Artemisia stolonifera, and Weigela subsessilis. Herbs seeded in earth stage such as Dactylis glomerata, Lolium perenne, and Festuca arundinacea had changed into perennial herbs such as Carex lanceolata, Poa sphondylodes, Patrinia villos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Spodiopogon sibiricus, Melica onoei,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stolonifer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Spodiopogon sibiricus, and those had changed into shrubs such as Rubus crataegifolius and Weigela subsessilis, and those had changed into trees such as Salix hulteni, Salix koreensis, and Fraxinus rhyncholhylla according to elapsed year of forest roads. Legumes such as Lespedeza sp., Pueraria thunbergiana, Amorpha fruticosa, etc., herbs such as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stolonifera,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Spodiopogon sibiricus, Miscanthus sinensis, etc., and woody plants such as Pinus densiflora, Rubus crataegifolius, Weigela subsessilis, Zanthoxylum schinifolium, Rhododendron mucronulatum, etc., with foreign herbs were considered as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Selection of Replantation Species in Roadside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 송호경;전기성;김남춘;박관수;권혜진;이지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2-59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roadside. In the cutting-slope area and upper forest area of the cutting-slope area, sample plots of 46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We found total 90 species in the 46 plots. We found Festuca arundinacea in 27 plots of the 46 plots. We also found Lespedeza bicolor in 26 plots, Eragrostis curvula in 22 plot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 19 plots, Erigeron annuus and Pinus densiflora in 15 plots,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in 14 plots, Miscanthus sinensis in 13 plots, Oenothera odorata, Commelina communis, and Humulus japonicus in 11 plots, Lespedeza cuneata in 10 plots, Salix koreensis and Salix hulteni in 9 plots, Festuca rubra, Youngia denticulata, Aster scaber, and Festuca arundinacea in 8 plot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in 7 plots, Patrinia villosa and Erigeron canadensis in 6 plots, and Setaria viridis, Digitaria sanguinalis, and Dactylis glomerata in 5 plots.The dominancy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Miscanthus sinensis, Pinus densiflora, Festuca arundinacea, Festuca rubr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Erigeron annuus, Lespedeza cuneata, Dactylis glomerata, Salix koreensis, Alnus hirsuta, Pueraria thunbergiana, Medicago sativa,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13.41% 11.87%, 4.88%, 4.56%, 3.38%, 2.29%, 2.14%, 2.14%, 1.99%, 1.95%, 1.54%, 1.47%, 1.44%, 1.37%, 1.15%, 1.13%, 1.07% in the roadside cutting-slope, respectively. The dominancy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Quercus mongolica, Lespedeza bicolor,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Quercus serrata 22.15%, 13.36%, 13.14%, 12.03%, 11.74%, 11.20%, and 11.14% in shrub layer of the upper forest area, respectively. The species of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Rhus trichocarp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Zanthoxylum schinifolium,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Rhamnus davurica, Ligustrum obtusifolium, Lindera erythrocarpa, Rosa multiflora, Rubus coreanus,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Smilax china, Prunus sargentii, and Staphylea bumalda may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cutting-slope area and making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forest area.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와 천이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 of Highway Cutting-slope Area)

  • 송호경;전기성;이상화;김남춘;박관수;이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69-79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highway cut-slope area. In highway cut-slope area, sample plots of 106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1. We found total 172 species in the 106 cutting area of highway. The species of high frequency of highway cut-slope were found in the order of Lespedeza bicolor,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Festuca arundinacea, Erigeron annuus, Lespedeza cuneata,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Eragrostis curvula, Dactylis glomerata, Oenothera lamarckiana, Wistaria floribunda, Humulus japonica, Commelina communis, Miscanthus sinensis, Pueraria thunbergiana, Pinus densiflora, etc. 2. The average vegetation coverage was over 90% in the study sites and the average coverage was 91.4% in the total cut-slope area. The species of high coverage of highway cut-slope area were found in the order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Lespedeza bicolor, Wistaria floribunda, Lespedeza cuneata, Dactylis glomerat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umulus japonica, Pueraria thunbergiana, Robinia pseudoacacia, Poa pratensis, Medicago sativa, Festuca ovina, Pinus densiflora, Parthenocissua tricuspidata, etc. 3. The total coverage in the foreign plants of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Dactylis glomerata, Poa pratensis, Medicago sativa, Coreopsis drummondii and native plants of Lespedeza bicolor, Wistaria floribunda, Lespedeza cuneata, Amorpha fruticosa, Indigofera pseudotinctoria, Lespedeza cyrtobotrya were 57.52%. That i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native herbs and parachute shrubs have delayed because the afforested plants occupy 57.52%. In future, the coverage of foreign herbs have to reduce, and the coverage of the native herbs and parachute shrubs must be increased. 4. The native seed of Artemisia sp., Miscanthus sinensis, Smilax china, Pueraria thunbergiana, Rubus crataegifolius, Rubus parvifolius, Pinus densiflora, Rhus chinensis, Albizzia julibrissin, Rhododendron mucronulatum, Clematis apiifolia, Zanthoxylum schinifolium, Prunus sargentii could be added in the seedling of the temperate south zone highway with the used seeds. The native seed of Artemisia sp., Miscanthus sinensis, Rubus crataegifolius, Rhododendron mucronulatum, Weigela subsessilis, Stephanandra incisa, Rhus chinensis, Pinus densiflora, Salix koreensis, Cocculus trilobus, Populus alba,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Clematis apiifolia, Lindera obtusiloba, Quercus serrata, etc., could be added in the seedling of the temperate middle zone highway with the used seeds. 5. We have some recommendation. The native plants have to growth in the highway cut-slope area instead of foreign plants to have good environmental ecology. The role of the foreign plants should be the plant for the initial several years in the highway cut-slope area. And, the native plants should growth in the next season. 6. We should protect shrubs and trees in the highway slope area because shrubs and trees can be more helpful in stabilizing of the slope area than herbs.

저장기간에 따른 3개 수종의 종자 및 발아 특성 변화 (Changes in the Seed Characters and Germination Properties of Three Tree Species at Different Storage Time)

  • 한심희;김찬수;장석성;이현주;탁우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3-189
    • /
    • 2004
  • 저장 기간이 서로 다른 종자들을 대상으로 저장 기간에 따른 종자 특성 및 발아특성 변화를 조사하고, 적정 저장 기간 및 저장 조건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물푸레나무, 산초나무 및 고추나무의 종자는 -18$^{\circ}C$에서 1년, 3년, 10년간 저장된 것을 이용하였으며, 수종별 종자 및 발아 특성과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 수종의 종자 및 발아 특성은 저장 기간 및 수종별 차이를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물푸레나무와 고추나무 종자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종자의 무게도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산초나무의 10년간 저장 종자의 생중량 감소가 뚜렷하였으며, 충실율도 10년간 저장 후 크게 낮아졌다. 저장기간은 물푸레나무 및 고추나무 종자의 수분함량 또는 고추나무 종자의 생중량과 부의 상관(r=-0.822, p<0.01)을 나타냈다. 3년 이상 저장된 산초나무 종자의 발아율은 15%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3년간 저장된 고추나무 종자의 발아율은 10.1% 이하로 급격히 하락하였다. 또한 평균발아소요일수는 종자 저장기간이 길어지면서 증가하였는데, 10년간 저장된 물푸레나무, 산초나무 및 고추나무 종자의 평균발아소요일수는 11.9일, 5.7일, 9.7일씩 각각 증가하였다. 물푸레나무와 고추나무 종자의 평균발아소요일수는 수분함량과 부의상관을 보여주었으며, 저장기간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종자의 저장기간에 따른 유묘의 생장 및 활력 차이는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개느삼의 분포와 자생지 환경특성 (The natural habitat and distribution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in Korea)

  • 천경식;장수길;이우철;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54-263
    • /
    • 2009
  • 본 연구는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II급과 산림청의 희귀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개느삼의 분포와 자생지 환경을 조사하여 보전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결과 개느삼은 강원도 양구군, 인제군, 철원군, 춘천시 및 홍천군의 14개 지역에 분포하였으며, 주로 해발고도 192-626 m 범위와 경사 $1-45^{\circ}$의 낮은 산지 능선과 사면에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식생조사 결과 14개 지역의 42개 방형구내에 출현한 식물은 총 157종류였다. 자생지 상층수목 중 교목층의 중요치는 소나무와 떡갈나무가 높았으며, 아교목층은 굴참나무, 소나무와 신갈나무, 그리고 관목층은 물푸레나무, 산벚나무, 산초나무, 느릅나무 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초본층은 개느삼이 28.3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둥굴레(10.21%), 큰기름새(7.60%), 삽주(4.77%), 그늘사초(4.13%) 등이 높은 값을 보여 이 종류들이 개느삼과 친화도가 높은 종류로 판단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1.03이었고,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82와 0.16으로 산출되었다. 토양분석 결과 토성은 주로 사양토와 양토가 우세하였고, 포장용수량은 평균 13.28%였으며, 유기물함량은 6.70%, pH는 5.77로 나타났다.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식생 종 조성과 소나무 천연갱신양상 (Understory Species Composition and Pinus densiflora Natural Regeneration in Pinus densiflora Stands Regenerated by Seed-Tree Method)

  • 변성엽;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1호
    • /
    • pp.25-34
    • /
    • 2018
  • 본 연구는 소나무 모수림 시업지를 대상으로 시업에 의한 하층식생 비교 및 갱신 치수의 생장초기과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시업지 12개소(요형지 6개소, 사면부 6개소)와 대조구 6개소를 각각 설치하였으며, 각 조사구에 대해 식생조사 및 각 치수의 절간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수림 시업지의 하층에는 싸리, 산초나무, 광대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 등의 관목성 식물과 억새, 가는잎그늘사초, 큰기름새, 맑은대쑥 등의 초본성 식물, 칡, 청가시덩굴, 마, 다래, 왕머루, 산딸기 등 덩굴성 식물이 상당수 이입하고 있었다. 특히, 덩굴성 식물은 요형지에서 대조구와 사면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이입되고 있었다. 매목조사 결과, 소나무 갱신치수는 비피압목 3,175본/ha, 피압목 7,842본/ha으로 나타났으며, 요형지의 경우, 사면부에 비해 갱신치수의 발생 밀도가 매우 낮았는데, 이는 덩굴성 식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여 이들 덩굴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제거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비피압목과 피압목의 절간생장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비피압목의 절간생장속도는 피압목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갱신치수가 주변 식물과의 경쟁에서 이겨낼 능력을 갖추게 되면 급격한 생장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모수림 시업 초기에는 풀베기작업 등을 통한 집약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안면도 소나무림 내 미세지형구분을 통한 하층식생구조와 소나무 천연갱신 양상 (Vegetation Structure of Lower Stratum and Pinus densiflora Natural Regeneration Features from Micro-topography Classification in Pinus densiflora Forest of Anmyeon-do Island)

  • 변성엽;김현섭;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189-199
    • /
    • 2019
  • 최근 수입 생산을 목표로 한 산림관리에서 생태계 관리를 목표로 하는 산림관리로 패러다임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 친화력이 높은 천연갱신법이 근래에 들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각종 환경인자와 하층식생, 갱신 치수와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구의 설치는 선상조사법을 이용하여 총 50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갱신치수량과 밀접한 관계성을 보인 토양습도에 따라 습지(19개소), 건조지(31개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높은 갱신량을 보인 건조지(157,419본/ha)에서는 졸참나무, 초피나무, 청미래덩굴, 칡 등이 주요 종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갱신량을 보인 습지(57,895본/ha)에서는 국수나무, 밤나무, 조록싸리, 까치수염, 두릅나무, 때죽나무 등이 주요종으로 나타났다. 치수고와 근원경 발달의 분석결과 습지가 건조지에 비해 생장속도가 빨랐으며, 근원경 대비 수고 생장속도는 건조지가 습지에 비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에서 갱신치수는 발아한 후 5년이 경과했을 때 급격한 생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갱신 치수가 주변 식생과의 경쟁 등 생육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면 급격한 생장을 이루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습한 지역에서의 천연갱신 시업 초기에는 건조한 지역에 비하여 풀베기 작업 등의 관리를 보다 집약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