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nthoxylum species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광양제철소와 인근주변의 관속식물 현황과 분포 (Vascular Plants of Status and Distribution of the Site around and Kwangyang Manufacture)

  • 오현경;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9-75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is site was listed 360 taxa; 86 families, 229 genera, 311 species, 42 varieties and 7 forms.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40 taxa; 2 taxa(Crypsinus hastatus, Prunus yedoensis) in class V, Patrinia rupestris in class IV, 6 taxa(Elymus mollis, Carex laticeps, Poncirus trifoliata, Melia azedarach var. japonica, Koelreuteria paniculata, Crepiastrum lanceolatum) in class III, Cirsium schantarense in class II, 30 taxa(Lygodium japonicum, Pteris multifida, Phacelurus latifolius, Asparagus cochinchinensis, Ficus erecta, Machilus thunbergii, Zanthoxylum planispinum, Euphorbia esula, Mallotus japonicus, Cayratia japonica, Camellia japonica, Glehnia littoralis, Lysimachia fortunei, Messerschmidia sibirica, Ixeris repen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4 families, 34 genera, 41 species, 1 varieties, 42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20.3% of all 207 taxa vascular plants.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2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Phacelurus latifolius, Crypsinus hastatus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7 taxa were recorded; Populus tomentiglandulosa, Filipendula glaberrima, Prunus yedoensis, Forsythia koreana, Paulownia coreana, Weigela subsessilis, Carpinus coreana. So, wild plants disturbing ecosystem like Solanum carolinense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have been increasing, it needs continuing control and conservation measures on the plant ecosystem.

북한산 정릉계곡의 자연환경훼손에 관한 연구 -등산로와 휴식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jury of Nature Environment in Chongnung Valley of Mt. Puk'an -In the Case of Trail and Rest Area-)

  • 최송현;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3-99
    • /
    • 1994
  • To compare basic information and to inspect impacts situations between 1987 and 1992, this study was executed in Chongnung valley of Mt. Puk'an.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through the change of plant species diversity, some methods were applied and analyzed such as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belt-transect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der to find environmental impacts by visitor, the degree of environmental impacts class that was proposed by Kwon(1991) was implicated. In 4 sites, total area of over impact class 2 is 86,692$m^2$ and area of impacts class 4-6 that is impossible to recover naturally is 36,856$m^2$. Totally, the impacted area was profound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gainst 1987's. 2. In the vegetation change by visitor's impacts, species diversity was rapidly decreased as nearer the campsite and trail. And in the basal area and coverage, lower layer species was sensitively changed. Trampling-resistent species is as following; Robinia pseudoacacia, Lespedeza cyrtobotrya, Staphylea bumalda, Clerdendron trichotomum, Stephanandra incisa, Rubus crataegifolius, Lespedeza maximowiczii, Weigela subsessilis, Rosa multiflora, Zanthoxylum schinifolium, Lindera obtusiloba, Callicarpa japonica, Sorbus alnifolia, Symplocos mongolica and so on. In the results of soil hardness test, that was decreased as far away from campsite and trail. 3. In the 4 sites selected in Chongnung valley of Puk'ansan Natioal Park, management plans was largely divided 4 category, such as trail improvement, facilities setting, ecotone vegetation establishment, and vegetation rehabilitation. And a suggestion was provided to each site.

  • PDF

Non Timber Forest Products Sold in the Markets of Itanagar Capital Region, Arunachal Pradesh, India

  • Soyala Kashung;Subu Angkha;Tejashwini Gajurel;Tage Yakang;Pinaki Adhikary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3호
    • /
    • pp.155-166
    • /
    • 2023
  • Consumption and selling of Non Timber Forest Products (NTFPs) are important means to meet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improve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 rural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tatus and utilization pattern and assess the economic value of NTFPs sold in the markets of the Itanagar Capital Region (ICR) of Arunachal Pradesh. Five major markets with 182 vendors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94 plant-based products under 63 species belonging to 32 families were found to be sold in the markets. Species like Acmella oleracea, Clerodendrum glandulosum, Dioscorea alata, Houttuynia cordata, Phoebe goalparensis, Piper pedicellatum, Zanthoxylum rhetsa, etc. are found to be highly preferred and have a higher demand in the local markets. The edible products of species like Piper pedicellatum and Phoebe goalparensis though highly consumed in the study area, are used only within the region, and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mands of the species are nil. The animal-base products are not included in the study.

편백인공림(人工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구관효;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93-407
    • /
    • 1991
  •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편백에 대(對)한 효과적(效率的)인 조림(造林), 무육(撫育) 및 갱신방법(更新方法)을 적용(適用)하기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를 얻고자 상층(上層)편백과 중(中), 하층(下層)편백의 밀도(密度), 출현종조성(出現種組成), 그리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을 용약(要杓)하면 다음과 같다. 1. 편백임내(林內)에서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이 높은 수종(樹種)은 사스레피나무, 개옻나무, 편백, 비목, 서어나무, 때죽나무, 가막살나무, 초피나무, 청미레덩굴 등(等)이었으며, 편백치수(稚樹)의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은 하층(下層)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중층(中層)에서는 그 값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2. 상층(上層)편백의 기저면적(基底面積)과 중(中), 하층(下層)의 편백천연치수(天然雉樹)의 밀도간(密度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어 상층(上層)편백의 피도(被度)가 하층(下層) 편백의 밀도(密度)에 유의적(有意的)인 영향(影響)을 주었다. 3. Raunkiaer의 빈도분포(頻度分布)는 하층(下層)보다 중층식생(中層植生)에서 A급(級)과 B급(級)의 비율(比率)이 높았다. 4. Morisita 지수(指數)에 의(依)하면 편백, 개옻나무, 비목, 청미레덩굴, 작살나무, 생강나무는 하층(下層)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 하지만 중층(中層)에서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였으며, 사스레피나무, 가막살나무는 중(中), 하층(下層) 모두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하고 있었고 서어나무, 초피나무, 소태나무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고 있었다. 5. 출현종수(出現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동부지역(東部地域) 조사구(調査區)보다 서부지역(西部地域) 조사구(調査區)에서 증가(增加)되였다. 6. 종다양도(種多樣度) 지수(指數)는 중층(中層)보다 하층(下層)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하층(下層)이 중층식생(中層植生)보다 출현종간(出現種間) 개체수(個體數)가 균일(均一)하게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7. 유사도(類似度) 지수(指數)를 사용(使用)한 cluster 분석(分析)에서 내륙지역(內陸地域) 조사구(調査區)와 해안지역(海岸地域) 조사구(調査區)로 구분(區分)되었다. 8. 상이도(相異度) 지수(指數)를 이용(利用)한 ordination 분석(分析)에서 중층(中層)과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분리(分離)되었고, 중층(中層)보다는 하층식생(下層植生)이 더 진행(進行)된 천이상태(遷移狀態)를 보였다. 9. 편백임분내(林分內)에서 사스레피나무는 쇠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노각나무, 팥배나무, 대패집나무, 천선과나무, 마삭줄 등(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고, 초피나무, 서어나무, 담쟁이덩굴과는 부(負)의 상관(相關) 보였다. 10. 편백림(林)의 생산성추정(生産性推定)에서 SC와 VP값은 상층(上層)편백이 94.51%, 99.63% 이었으며, 중층식생(中層植生)은 5.49%, 0.37%를 나타내었는데 그 중(中)에서 사스레피나무, 비목, 개옻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으로 물질생산성(物質生産性)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초피와 산초의 화학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 고영수;한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1996
  • 야생식량 자원으로서 활용의 여지가 많은 초피와 산초의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단백질은 초피 과피 및 종자가 각각 11.51%, 13.65%로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약간 높았다. 조지방은 산초 종자가 37.78%로 가장 높았다. 중성지질의 경우 산초 종자가 61.2%로 가장 높았으며 산초 과피는 36.1%로 가장 낮았다. 당지질은 산초 과피가 59.8%로 가장 높았고 산초 종자가 24.7%로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산초 종자가 14.1%로 특히 높아, 초피 종자(2.8%)의 약 4배였다. TG의 chromatogram은 초피과피의 경우 $C_{42}$, $C_{46}$, $C_{48}$, $C_{50}$, $C_{52}$$C_{54}$ 등 6개의 peak가 나타났으며 $C_{42}$의 함량이 높았고, 산초 과피는 $C_{42}$, $C_{46}$, $C_{48}$, $C_{50}$$C_{56}$의 5개 peak가 나타나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C_{42}$, $C_{46}$, $C_{50}$, 이 함유되어 있었다. 초피 종자의 경우는 $C_{42}$, $C_{52}$가, 산초 증자는 $C_{42}$, $C_{50}$이 나타나 4개 시료의 공통적인 TG는 $C_{42}$임을 알 수 있었다. 필수지방산의 총량은 산초 과피가 59.4%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linolenic acid는 44.5%, linoleic acid는 14.9%였다. 산초과피에서 ${\beta}-sitosterol$만이 동정되었고, 나머지 3개 시료에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을 동정하였다. 4개의 시료에 모두 ${\alpha}-tocopherol\;acetate$${\alpha}-tocopherol$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alpha}-tocopherol\;acetate$의 함량은 초피 과피와 종자가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높았으며, 4개 시료 모두에서는 ${\alpha}-tocopherol$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환원당은 초피 종자(4.19%)와 산초 종자(2.89%)가 초피 과피와 산초 과피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사포닌은 4개 시료 모두에 함유되어 있었으며, 초피 과피가 7.20%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중에서는 K의 함량이 모든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초피 과피에 citric acid가 0.078%, ${\alpha}-ketoglutaric\;acid$가 0.696% 함유되어 있었으며, 산초 과피에 ${\alpha}-ketoglutaric\;acid$가 0.475% 함유되어 있었다. 모든 시료에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과 glutamic acid였다. 함량이 많은 총 아미노산의 순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val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산초 종자의 glutamic acid의 함량이 2.39%로 매우 높았다. 4개의 시료중에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정유성분은 limonene(30.1-66.8%),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cineol 등의 순이었으며 citronellal의 함량이 산초 종자에서 22.0%로서 나머지 시료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isopulegol의 함량은 초피 과피에서 45.2%로서 나머지 시료의 함량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linalool함량도 초피 과피에서 9.5%로 훨씬 높았다. 또한 terpinene-4-o1은 초피 과피 및 종자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으나, 산초 과피에서는 1.1%, 산초 종자에서는 0.8%의 함량을 보여 주었다.

  • PDF

지리산 웅석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ongseokbong in the Jirisan(Mt.))

  • 안현철;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7-555
    • /
    • 2010
  •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에 인접한 웅석봉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밤머리재-웅석봉구간에 방형구($400m^2$) 25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떡갈나무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웅석봉지역의 식생은 신갈나무가 가장 우점하고, 다음으로 떡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등이 우점하고 있었다. 이 지역에서 굴참나무, 소나무가 부분적으로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점차적으로 소나무의 상대우점치는 작아지는 반면에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우점치가 점차 커져 전형적인 신갈나무, 굴참나무, 떡갈나무의 혼효림으로 천이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나무와 산초나무, 생강나무, 신갈나무와 진달래, 쪽동백나무와 철쭉, 쇠물푸레와 산초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과 물푸레나무, 층층나무와 히어리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떡갈나무와 신갈나무, 비목나무와 신갈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와 낙엽송, 굴참나무, 노린재나무와 진달래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 지수는 0.09832~1.1102 범위로 나타났다.

화강암질 풍화토 절토비탈면의 식생구조 분석 - 경상도와 전라도 임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Decomposed Granite Cut-slope - In case study on forest road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

  • 송호경;박관수;이준우;이미정;김효정;권오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proper species for early stage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s cut-slope. From one to fourteen year elapsed forest roads in eight regional area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sample plots were selected, and their vegetation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soil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in the granite weathering soils were below 0.4%, 0.03%, 12.4%, and above 1.2g/$cm^3$,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soil was not good for plant growth.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species in the granite forest roads were the elapsed year, elevation, and cut-slope aspect. Invaded species with high frequency in the forest road cut-slope ordered Pinus densiflora, Lespedeza bicolor, Rubus crataegifolius, Alnus hirsuta, Youngia denticulata, Patrinia villos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Zanthoxylum schinifolium, and Dactylis glomerata. Herbs seeded in earth stage such as Dactylis glomerata, Eragrostis curvula, Festuca arundinacea, Lespedeza sp., and Amorpha fruticosa had changed into perennial herbs and shrubs such as Youngia denticulata, Patrinia villosa, Aster scaber, Patrinia scabiosaefolia, Melica onoei,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Pueraria thunbergiana, Stephanandra incisa, and Clematis apiifolia, and had changed into plants such a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keiskeana, Miscanthus sinensis, Pinus densiflora, Rhododendron mucronulatum, Rubus crataegifoliu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according to elapsed year of forest roads. Leguma such as Lespedeza sp., Pueraria thunbergiana, Amorpha fruticosa, etc., herbs such as Artemisia keiskean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iscanthus sinensis, etc., and woody plants such as Pinus densiflora, Rubus crataegifolius, Rhododendron mucronulatum, etc., with foreign herbs were considered as proper species for replantation in granite forest road cut-slope.

RCP4.5와 8.5 시나리오를 이용한 온량지수 변화에 따른 서울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The Study of Adaptable Plant Species to the Change of Warmth Index by Using RCP4.5 and RCP8.5 Scenarios in Seoul City)

  • 공석준;김정섭;양금철;김경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3-282
    • /
    • 2015
  • 본 연구는 RCP 4.5와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서울시 온량지수 변화를 추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적응 가능한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서울시의 온량지수 변화의 차이는 있었으나 냉온대 남부림에서 난온대림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0년부터 2099년까지 서울시 온량지수 분포변화를 예측한 결과에 따른 적응 가능한 식물종은 교목층에 졸참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상수리나무, 때죽나무, 곰솔 등 6종이었으며, 관목층에는 쥐똥나무, 조록싸리, 개옻나무, 작살나무, 산딸기, 찔레꽃, 초피나무 등 7종이었고, 초본층은 주름조개풀, 고사리, 닭의 장풀 등 3종, 덩굴성식물에는 청미래덩굴, 댕댕이덩굴, 담쟁이덩굴, 인동, 계요등, 노박덩굴, 사위질빵, 멍석딸기, 마, 으름, 마삭줄 등, 등 11종을 포함하여 총 27종이 공통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온량지수의 변화에도 적응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초례산의 산화지와 비산화지의 식물군집구조 및 토양성분의 동태 (Dynamics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the Mt. Ch’olye-san)

  • Sim, Hak-Bo;Woe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17-430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lant community during the secondary succession and the dynamics of soil properties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of Mt. Ch’oly-san. Owing to the forest fire occurred on April, 1989, th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composed of 53 and 49 specie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based on SDR4 of the burned sites were lespedeza cyrtobotrya (89.62),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62.50), and Carex humilis (58.73), Quercus serrata (43.33). In contrast, Pinus densiflora (83.56), Lespedeza cyrtobotrya (55.57),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51.88) and Carex humilis (50.41) were dominant in the unburned area.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indices of similarity ($CC_S$) between the two areas were 0.74. Degree of succession (DS) was 604 in the burned area and 802 in the unburned area. From these facts, it is assumed that the succession is rapidly progressing because of the recovery of vegetation. The species diversity ($\={H}$) and evenness index(C)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were 0.15 and 0.18, respectively. Red pine tree did not resprout after scorch by the forest fire, but Lespedeza, Quercus, Rhododendron, Albizzia, and Zanthoxylum resprouted from the roots and trunks after the forest fire. It seems that these species are the fire-resistant species. Soil properties such as soil pH, conte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us, total nitrogen, tatal carbon, exchangeable potssium, sodium, calcium, and magnesium increased due to forest fire. These results suggest the intensity of forest fire in the study area was relatively weak. Monthly changes of soil properties were of little significance except for some cases.

  • PDF

다용도 수종의 생태환경 분석에 의한 조림적지 도출 (Deriving Suitable Place for Forestation by Ecological Environment Analysis of Multi-use Tree Species in Chungbuk Province)

  • 신창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55-561
    • /
    • 2006
  • 수종간 독립성 검정결과 상수리-산초나무 외에는 지역별로 유의한 종간 상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수종간 생태적 지위의 공유관계는 수종간의 친화력뿐만 아니라 생육환경에 의한 영향도 큰 것으로 해석된다. 환경요인을 독립변수로 한 군집분석결과 물푸레나무는 화살나무, 노간주나무, 떡갈나무, 산초나무, 개옻나무 등과 같은 집단(물푸레나무-개옻나무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음나무는 느릅나무, 당단풍, 병꽃나무, 물갬나무 등(음나무-느릅나무 그룹)과, 고로쇠나무는 두릅나무, 거제수나무, 서어나무 등과 같은 집단(고로쇠나무-거제수나무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환경요인과 군집간의 상관분석결과 지형, 해발고, 사면방향, 경사, 출현종수 등의 환경요인 중 지형과 해발고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쇠나무-거제수나무 그룹은 해발고가 높은 계곡부${\sim}$사면하부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나무-느릅나무 그룹과 물푸레나무-개옻나무 그룹 수종들은 지형적인 적응력이 높아 넓은 면적에 산발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