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STERA MARINA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17초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7
    • /
    • 1999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문절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새우류(Caridea), 옆새우류 (Gammaridea) 및 어류 (Pisces) 등 다양하였다. 그 외, 거미불가사리류 (Ophiuroidea), 복족류 (Castropoda), 이매패류 (Bivalvia),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집게류 (Anomura), 등각류 (Isopoda), 주걱벌레 붙이류 (Tanaidacea)등을 소량 먹었다. 문절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작은 체장에서는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주로 먹었다. 그러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먹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새우류, 게류 및 어류의 점유율은 증가하였다. 성어 단계에서는 매우 다양한 먹이생물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는데, 봄과 가을에는 갯지렁이류, 새우류 및 옆새우류의 점유율이 높았으나, 여름과 겨울에는 어느 특정 먹이생물이 우점하지 않고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5-67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붕장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붕장어의 주요 먹이는 어류, 새우류 및 게류였다. 그밖에 옆새우류, 복족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쿠마류, 등각류 등이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붕장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붕장어는 새우류, 어류, 게류 그리고 옆새우류를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와 새우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였고, 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붕장어는 계절에 따른 환경 생물의 조성과는 관계없이 특정 생물을 먹이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어류는 다른 환경 생물에 비해 잘피밭 환경에서 출현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선택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광양만 잘피엽상에 서식하는 바다대벌레류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of Caprellids (Crustacea: Amphipoda) on Blades of Zostera marina in Kwangyang Bay, Korea)

  • 윤성규;변성혜;곽석남;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5-109
    • /
    • 2002
  • 1994년 6월에서 1995년 5월 사이 광양만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Epifaunal sampler를 이용하여 매달 바다대벌레류를 채집하여 종조성과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과 1속 6종의 바다대벌레류가 출현하였다. 그 중 짧은팔바다대벌레 (Caprella tsugarensis)와 허리갈고리바다대벌레 (Csprella kroeyeri)가 각각 전체 개체수의 $53.9\%$$32.1\%$를 차지하며 우점하였다. 출현 종수, 개체수 모두 이른 여름철에 높았고 가을과 겨울철에는 낮아져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다. 이러한 바다대벌레류의 계절변동은 잘피의 생체량 변동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또한 어류의 포식압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Growth and Production of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n a Seagrass (Zostera marina) Bed of Southern Korea

  • Park, Joo Myun;Kim, Ha Won;Kwak, Seok Nam;Riedel, Ralf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89-98
    • /
    • 2021
  • The seagrass habitats are a highly productive marine ecosystem which provides nursery ground and shelter for many fish and invertebrate species.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s one of the most abundant seagrass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The estimation of fish production is key for devising conservation measures and ensuring fish resources sustainability. A total 894 P. nebulosa ranging from 3.83 to 26.5 cm total length (TL) were collected monthly in 2006 with a small beam trawl in a seagrass bed of southern Korea. Growth parameters of P. nebulosa were estimated using the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production was estimated using a general equation which relates daily fish production to ash-free dry weight (AFDW), biomass, and water temperature. The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 was estimated as: Lt = 28.3823(1-e-0.7835(t+0.9864)). The densities, biomass, daily, annual production, and P/B ratio were 0.069±0.061/m-2, 1.022±0.621 g/m2, 0.005±0.004 g AFDW/m2/day, 1.676 g AFDW/m2/yr, and 1.641, respectively. Monthly variation in production of P. nebulosa peaked during March and April 2006 (0.0139 and 0.0111 g AFDW/m2/day), whereas the lowest value of 0.0005 g AFDW/m2/day was in December. Monthly change in production of P. nebulos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omass and condition factor.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seagrass ecosystems, which are still undisturbed in the study area.

안정동위원소와 위내용물 분석 기법을 이용한 여름과 가을 남해 연안 정어리(Sardinops melanostictus)의 먹이원 평가 (Food Resource of Sardine Sardinops melanostictus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Summer and Autumn Revealed by Stable Isotope and Stomach Content Analyses)

  • 박종혁;김현지;정재묵;이정훈;신동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19-42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the stomach contents, stable isotope signatures (δ13C and δ15N) in muscle tissue, and potential food sources (particulate organic matter, Zostera marina, epiphytes, and zooplankton) of Sardinops melanostictu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evaluate its dietary changes across seasons (summer and autumn 2022). The diet of S. melanostictus predominantly comprised organic detritus (99%) regardless of the season. The isotope results showed that S. melanostictus had mean δ13C and δ15N values of -17.7±0.4‰ and 10.6±0.5‰, respectively and seasonal variations were observed (t-test, P=0.010, P=0.002). However, the isotopic mixing model showed that particulate organic matter was a major nutritional source for S. melanostictus in summer and autumn (88.7% and 90.2%, respectively).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and stable isotope signatures, these results may help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 melanostictus and establish the management measures for their conservation.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희;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2-220
    • /
    • 1997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 잘피밭에서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어류는 총 57종이 채집되었다. 실고기(Syngnathus schlegeli), 베도라치(Pholis nebulosa),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볼락(Sebastes inermis),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채집된 총 개체수의 69.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복섬(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Rudaris ercodes), 농어(Lateolabrax japonicus), 붕장어(Conger myriaster), 감성돔(Acanthogobius schlegeli), 꼼치(Liparis tanakai), 쥐치(Stephanotepis cirrhifer),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청보리멸(Silago japonicus) 등의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15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잘피밭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가을에,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에 높았으며, 겨울에는 어종수 및 개체수 모두 낮았다. 한편 종다양도지수는 가을철에 높았다. 어류 군집의 계절 변동은 수온, 잘피의 현존량 및 먹이생물의 양적 변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있었다. 밤과 낮동안의 채집량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채집된 어종수 및 개체수가 주간에 비하여 많았다.

  • PDF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의 성장과 생산량 (Growth and Production of Aulichthys japonic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Korea)

  • 김하원;허성회;곽석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16
    • /
    • 2013
  • 실비늘치(6.70~5.32 cm TL)의 성장과 생산량에 대한 연구는 동대만 잘피밭에서 2006년도에 실시하였다. 실비늘치 시료는 소형 빔트롤에 의해서 총 888개체가 채집되었다. Bertalanffy 성장식을 이용하여 구한 전장의 성장식은 $L_t=24.8257(1-e^{-0.5583(t+0.4816)})$이었다. 실비늘치의 밀도, 생체량, 일일생산량, 연간생산량, 그리고 P/B ratio는 각각 $0.01{\pm}0.009/m^2$, $0.17{\pm}0.16g/m^2$, $0.00006{\pm}0.00006g$ AFDW/$m^2$/day, 0.02g AFDW/$m^2$/yr, 그리고 0.12이었다. 실비늘치 생산량의 월변화는 컸으며, 7월(0.000182g AFDW/$m^2$/day), 9월(0.000127g AFDW/$m^2$/day) 그리고 11월(0.000123g AFDW/$m^2$/day)에 높았으며, 4월과 5월(0.000003g AFDW/$m^2$/day)에 가장 낮았다. 실비늘치의 생산량의 월변화는 개체수와 생체량, 그리고 성장률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가시망둑(Pseudoblennius cottoides)의 성장과 생산량 (Growth and Production of Pseudoblennius cottoide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Korea)

  • 김하원;허성회;곽석남;이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1-467
    • /
    • 2014
  • 가시망둑(1.80~10.01 cm TL)의 성장과 생산량에 대한 연구를 동대만 잘피밭에서 2006년도에 실시하였다. 가시망둑 시료는 소형 빔트롤로 총 702개체를 채집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시망둑에 대한 전장(TL)의 성장식은 $TL=0.0539d^{0.9105}$, 전장과 체중의 관계식은 $W=0.0079TL^3.1103$이었다. 가시망둑의 단위면적당 밀도, 생체량, 일일생산량, 연간생산량은 각각 $0.06{\pm}0.062/m^2$, $0.10{\pm}0.144g/m^2$, $0.0005{\pm}0.0006g\;AFDW/m^2/day$, $0.1833g\;AFDW/m^2/year$이었으며, P/B의 비율은 1.813이었다. 가시망둑 생산량은 생체량의 높았던 5월과 7월 9월에 가장 높았으며(0.0029, 0.0031, $0.0019g\;AFDW/m^2/day$), 생체량이 낮았던 12월에 가장 낮았다($0.00004g\;AFDW/m^2/day$). 가시망둑의 월별 생산량의 변화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생체량과 수온이었다.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거머리말 이식 및 모니터링 (Seagrass (Zostera marina) Transplantation and Monitoring for Replacement Habitat)

  • 홍성재;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37
    • /
    • 2018
  • 부산시 천성항 내 훼손이 예상되는 거머리말 서식지의 복원을 위해서 기존 서식지의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인근 두문리 해안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4년 1월 항내 자생하는 거머리말은 수심 1.2-3.1 m의 범위에서 출현하였고, 수온은 7.4℃, 염분은 29.1 psu, pH는 8.05를 나타냈다. 거머리말의 서식밀도는 167.1±16.4 shoots m-2로 조사되었고, 총길이 48.5±18.1 cm, 엽초길이 9.1±2.8 cm, 엽폭 4.8±1.1 cm로 조사되었다. 2014년 12월에 이식을 실시한 후 다음해 8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식 초기 서식밀도는 감소하여 1월에 8.5 shoots patch-1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증가하여 4월에 19.0 shoots patch-1 까지 증가하였다. 총 길이는 73.3±2.9-121.3±6.1 cm, 엽초길이는 9.6±0.6-21.0±1.2 cm, 엽폭은 5.7±0.1-6.8±0.2 mm로 조사되었고 측정값은 7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8월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천성항 내 거머리말 서식지와 이식 초기 대체서식지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생식지(flowering shoot)가 2015년 3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 관찰되었으며, 2016년 조사 시 생식지의 씨앗에서 발아한 거머리말을 대체서식지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delta}^{13}C$ 분석에 의한 남해 연안 내만역 어류 영양원으로써 저서생산의 중요성 평가 (${\delta}^{13}C$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Local Benthic Producers to Fish Nutrition in the Inner Bay System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강창근;최은정;김영상;박현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56-62
    • /
    • 2009
  • 남해 연안의 3개 내만역을 대상으로 전체 어류군집이 이용하는 유기물의 기원을 조사하기 위하여 잘피와 부착조류, 저서미세조류, 해조류, 습지식물, 부유입자유기물(식물플랑크톤), 습지식물(갈대) 그리고 육상기원 유기물 등 다양한 유래의 유기물에 대한 탄소안정동위원소 비(${\delta}^{13}C$) 값과 어류 체조직의 ${\delta}^{13}C$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해역에서 채집된 총 31종의 어류들이 가지는 ${\delta}^{13}C$C 값은 -16.2${\sim}$-8.3‰의 범위를 나타내어 잘피(-8.3${\pm}$1.9‰), 부착조류(-12.4 ${\pm}$0.6‰), 저서미세조류(-15.4${\pm}$1.6‰) 그리고 해조류(-16.0${\pm}$1.8‰)가 가지는 ${\delta}^{13}C$ 값에 상당하는 범위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구수역의 어류군집이 가지는 ${\delta}^{13}C$ 값(-12.9${\pm}$1.5‰)은 남해 외양역에서 채집된 어류(-17.3${\pm}$0.8‰)와 낙동강 수계에서 채집된 어류군집(-23.2${\pm}$1.6‰)이 가지는 값에 비하여 뚜렷히 높은 값을 보였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 얻어진 ${\delta}^{13}C$ 분석 결과들은 조사가 수행된 3개 내만역 어류군집은 만 자체의 자생기원 저서생산에서 유래한 탄소원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