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ngdam-dam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62초

용담댐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대청댐 저수량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aily Water Storage Simulation of the Daecheong Dam by Operation Scenario of the Yongdam Dam)

  • 노재경;김현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03-1407
    • /
    • 2005
  • In order to analyze the water storage of the Daecheong dam after constructing the Yongdam dam situated in upstream, a daily cascaded simulation model for analyzing water storages in the Yongdam-Daecheong dams was developed. Operation scenarios of the Yongdam dam were selected to 8 cases with the combinations of downstream outflows and water supplies to the Jeonju region. Daily water storages in the Daecheong dam was analyzed daily by simulating from 1983 to 2004.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ater supplies from the Daecheong dam were analyzed to amount $1,964.2Mm^3$ on a yearly average in case without the Yongdam dam. In case with the Yongdam dam, water supplies from the Daecheong dam were analyzed to amount $1,858.7\~1,927.3Mm^3$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5\;m^3$ is, and were analyzed to amount $1,994.9\~2,017.8Mm^3$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10\;m^3/s $. These values are compared to $1,649Mm^3$ applied in design. Secondly, reservoir use rate which was defined rate of water supply to effective water storage reached $241.3\% in case without the Yongdam dam. In case with the Yongdam dam, reservoir use rate reached $228.3\~236.8\%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5\;m^3/s$, and reached $245.1\~247.9\%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10\;m^3/s$. Thirdly, runoff rate which is defined rate of dam inflow to areal rainfall reached $57.3\% in case without the Yongdam dam. In case with the Yongdam dam, reservoir use rate reached $62.0\~68.4\%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5\;m^3/s$, and reached $64.1\~68.5\%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10\;m^3/s$. Fourth, in case with downstream outflow of $10\;m^3/s$ is from the Yongdam dam, appropriate water supply amounts to the Jeonju region were analyzed to only $0.50Mm^3/day$ from the daily simulation of water storages in the Yongdam dam. Comprehensively, water supply capacity of the Daecheong dam was analyzed to affect in small amounts in spite of the construction of the Yonsdam dam. It is effected to achieve the effective water management of the Yongdam dam and the Daecheong dam by using the developed cascaded model.

  • PDF

용담댐 운영이 하류 기준유량 설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Yongdam Dam Operation to Level of Reference Flows Downstream)

  • 노재경;유재민;오진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72-1776
    • /
    • 2006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determining reference flows and goal water qualities in many stations over all around riverbasin to control TMDL. Reference flow is now defined to 10 years averaged 275th minimum flow$(Q_{275})$. Dam operation takes direct effect on flows downstream. The Yongdam mutipurposed dam was constructed in 2002 and TMDL managing stations between the Daecheong dam and the Yongdam dam are the Geumbon B, C, D, E, and F in main stream of the Geum river. Geumbon F is the Daecheong dam site. Observed flows are ideal to be used to set reference flows, but simulated flows are more practical to be used to set reference flows from the cause of the Yongdam dam's operation. A system for simulating daily storages of the Yongdam dam was constructed and the DAWAST model was selected to simulate daily streamflows. Analysis period was selected for 10 years from 1996 to 2005. Scenario was set as follows; Firstly, observed outflows from the Yongdam dam are used from 2002 to 2005 and the Yongdam dam does not exist from 1995 to 2001. Secondly, the Yongdam dam existed also from 1995 to 2001 and simulated outflows from the Yongdam dam are used from 1996 to 2005 with provision of constant outflow of $7.0m^3/s$ and water supply to the Jeonju region outsided watershed of $900,000m^3/day$. In case of scenario 1 reference flows at the Geumbon B, C, D, E, F are 4.52, 6.69, 7.96, 11.17, and $13.21m^3/s$, respectively. And in case of scenario 2 reference flows at the Geumbon B, C, D, E, F are 6.27, 8.48, 9.58, 12.73, and $15.12m^3/s$, respectively.

  • PDF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가치평가 연구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of Yongdam Dam-wetlan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47-158
    • /
    • 2012
  • 최근 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용담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생태공원 시나리오에 대한 용담댐습지의 총 가치는 약 420억원으로 나타났다.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대청호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ling of Daechung Lake - Effect of Yongdam Dam)

  • 서동일;이은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737-751
    • /
    • 2002
  • 용담댐 건설 후 방류 유량 및 방류 수질의 변화에 따라 계산된 금강상류의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대청호 수질 변화를 예측하였다. 용담댐의 방류수량, 수질 그리고 대청호의 유량 시나리오는 이 은형 등(2002)이 금강의 모의를 위해 사용한 것과 동일하게 보았으며, 각 경우의 결과를 연구기간중의 실측수질과 실측유량을 사용했을 경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용담호 방류량의 변화는 대청호 입구 수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청호댐 부근의 수질에는 영향이 상당 부분 완화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는 BOD, TN 그리고 TP 성분들이 대청호 내부를 이동하면서 분해 또는 침강하여 제거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최대 갈수년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용담댐의 방류량은 TP 농도 기준으로는 최소 8.9 ㎥/sec 이상을, TN 농도를 기준으로 볼 때는 8.9 $m^3$/sec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대청호의 수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정 수준의 용담댐 방류량은 8.9 $m^3$/sec 인 것으로 분석된다. 대청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갈수년에 특히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시에 용담호의 수질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용담댐 방류수의 수질이 일정 수준이하를 유지하는 경우에 한해서 용담호의 방류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청호의 수질에 개선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확보가 가능한 자료와 저자들의 경험에 의해 제작된 시나리오를 근거로 수질예측을 실시하였다. 향후 용담호 및 용담댐 방류수 그리고 금강 상류 및 대청호의 오염원 그리고 수문 및 수리학적 거동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경우 더욱 합리적인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금강의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ling of the Keum River - Effect of Yongdam Dam)

  • 이은형;서동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525-539
    • /
    • 2002
  • 용담댐의 건설에 따른 방류조건의 변화가 대청호의 유입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WASP5 모델을 이용하여 BOD, 총인 그리고 총질소 농도를 예측하였다. 수질 예측 시나리오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금강의 유량이 대청댐의 운영이 시작된 이래 최대 갈수년(1994)과 최대 풍수년(1987)과 같다고 보는 두 가지 조건, 둘째 용담댐에서 방류되는 유량을 연구기간 중(1998년) 실측된 유량과 같다고 보는 경우와 용담댐 방류 계획안에 따라 각각 5.4, 8.9, 12.4, 16.4 ㎥/s로 방류되는 경우 등 다섯 가지 유량조건, 셋째, 용담호에서 방류되는 수질이 1998년에 실측된 수준을 유지하는 경우와 우리 나라 수질기준으로 1급수와 2급수에 해당되는 경우 등 세 가지 수질 조건. 수질 예측 결과 용담댐으로부터의 방류량의 변화는 금강의 수질과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금강의 수량이 적은 경우 용담호의 영향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총질소와 총인 농도의 경우는 각 조건에 대하여 용담댐으로부터의 방류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차로 수질이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BOD 농도의 경우는 실측 수질(98년 환경부 측정자료)이 1급수(1 mg/ι) 보다 양호한 수질을 나타내므로 1급수(1 mg/ι)와 2급수(3 mg/ι)의 수질로 방류되는 것을 가정하는 경우에는 방류량의 증가에 따라 용담호 하류의 수질은 오히려 악화되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호 부근의 현재 수질은 총질소의 경우는 5급수의 기준(1.5 mg/ι)을 상회하며, 총인의 농도는 3급수 (0.03∼0.06 mg/ι) 정도의 수질을 나타낸다. 유역에서 영양염류의 오염부하를 관리하는 것이 기술적, 경제적으로 한계가 있는 것을 감안할 때, 용담호 방류수내의 영양염류 농도는 크게 개선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용담호의 방류량 변화가 대청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용담호와 용담호 하류부의 수질 및 유량조건에 따라 각각 다르며, 합리적인 수자원의 관리를 위해서는 현실적인 자료 및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분석하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ong-term Sediment Discharge Analysis in Yongdam Dam Watershed due to Climate Change

  • Felix, Micah Lourdes;Kim, Joocheol;Choi, Mikyoung;Jung, Kwansu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7-327
    • /
    • 2020
  • Increase in Earth's surface temperature, higher rainfall intensity rate, and rapid changes in land cover are just some of the most evident effects of climate change. Flooding, and river sedimentation are two inevitable natural processes in our environment, and both issues poses great risks in the dam industry when not addressed properly. River sedimentation is a significant issue that causes reservoir deposition, and thus causes the dam to gradually lose its ability to store water. In this study, the long-term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sediment discharge in Yongdam Dam watershed is analyz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SWAT, a semi-distributed watershed model. Bas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n abrupt increase on the annual sediment inflow trend in Yongdam Dam watershed was observed; which may suggests that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higher rainfall intensity,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the sedimentation rate also increased. An efficient sedimentation management should consider the increasing trend in sedimentation rate du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 PDF

용담댐 관리계획이 대청댐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Yongdam dam managment Plan on Daechung dam Storage)

  • 박정남;이재면;김태얼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550-555
    • /
    • 1999
  • yongdam multipurpose is under construction to divert a part fo Geum riverlfow to Mankyung watershed and to supply the domestic water to the Chunju region and produce the hydro-electricity. Generally construction of dam by the method of inther-region water transfer affect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inthe down streams and reservoirs. The impact of operation plan of Yondgam dam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water in the Guem river and Daechung dam was investigate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discharge of water transfer from one watershed to another should be minimized as much as possible.

  • PDF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 김덕길;신한규;김재근;김형수;유병국;안경수;장석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65-675
    • /
    • 2011
  •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용담댐 하류하천의 횡방향 평균 2차원 수리·탁수모델링 (Laterally-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Turbidity Modeling for the Downstream of Yongdam Dam)

  • 김유경;정세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10-718
    • /
    • 2011
  • An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eservoir and river would be required when the quality of downstream river water is affected by the discharge of upstream dam. In particular, for the control of downstream turbidity during flood events, the integrated modeling of reservoir and river is effective approach. This work was aimed to develop a laterally-average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by which water quality can be predicted in the downstream of Yongdam dam in conjunction with the reservoir model, and to validate the model under two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s; wet year (2005) and drought year (2010). The model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simulated data regarding water elevation and suspended solid (SS) concentration are well corresponded with the measured data.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SS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time was effectively simulated along the river stations with the developed model. Consequently, the developed model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the integrate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Yongdam dam and downstream river.

대형댐 하류지역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비교 (An Ecological Comparis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Downstream Region of Large Dams)

  • 김재성;이황구;최준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2-63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6월부터 10월까지 지리적으로 인접하지만 다른 수계로 분류되는 전라북도 무주군 일대의 용담댐 하류역과 경상남도 합천군 일대의 합천댐 하류역에 각각 댐에 의한 방류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대상지점(YE-1, 2, 3; HE-1, 2, 3) 및 대조지점(YC-1, 2; HC-1, 2)을 선정하여 각 지점에서 출현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구성, 군집분석, 섭식기능군 및 서식기능군, 군집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채집은 각 댐의 하류역에서 Surber net($30cm{\times}30cm$)을 이용하여 3회에 걸쳐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총 4문 6강 12목 33과 69종 6,369개체가 출현하였고, 하천의 주요 분류군인 EPT-group(Ephemeroptera, Plecoptera, Trichoptera-group)은 46종(66.7%)을 차지하였다. 합천댐 하류지역에서는 총 4문 5강 13목 44과 81종 5,728개체가 출현하였고, EPT-group은 45종(55.6%)을 차지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용담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27~0.50(Mean${\pm}$SD $0.38{\pm}0.09$), 다양도지수는 2.22~2.97($2.67{\pm}0.29$), 균등도지수는 0.63~0.76($0.72{\pm}0.06$), 풍부도지수는 4.43~7.06($5.69{\pm}0.99$)으로 분석되었고, 합천댐 하류지역에서 우점도지수는 0.40~0.81($0.59{\pm}0.18$), 다양도지수는 1.40~2.39($2.00{\pm}0.43$), 균등도지수는 0.38~0.68($0.56{\pm}0.13$), 풍부도지수는 4.04~5.80($4.95{\pm}0.70$)으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은 용담댐과 합천댐 하류지역 모두에서 filtering-collectors와 gathering-collecto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서식기능군은 burrowers, clingers, swimmers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용담댐 유역의 대상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저항력과 회복력이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집단이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합천댐 유역은 대조하천에서 수환경 변화에 대한 저항력과 회복력이 약한 III특성군에 속하는 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형댐 하류지역의 하천생태계 안정성은 환경 변화 및 오염에 강한 I특성군에 속하는 군집이 좌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