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su Area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8초

여수, 광양항 출입항로의 해상교통환경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s for Incoming and Outgoing Routes on Yeosu, Gwangyang Bay)

  • 김철승;정재용;박영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
    • /
    • 2006
  • 1988년에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설정되어 운영 중인 여수${\cdot}$광양항은 부산항과 더불어 동북아 중심항만(Hub Port)으로서 향후 2011년까지 총 33개의 컨테이너 선석 등이 개발 추진 중에 있다. 또한 해상교통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로 인하여 대형 사고의 발생우려가 상존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cdot}$광양항의 미래 지향적인 안전한 해상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선박안전운항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여수${\cdot}$광양항 입출항 항로에 대한 해상교통환경을 면밀히 분석${\cdot}$평가하여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해상교통안전체제 구축에 필요한 문제점을 도출한다.

Airborne Measurements of Ozone and Its Precursors over Yeosu-Gwangyang Industrial Area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Kim, So-Young;Seo, Seok-Jun;Park, Hyun-Ju;Son, Jung-Seok;Park, Ji-Hoon;Kim, Jong-Choo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3호
    • /
    • pp.139-1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O_3$ and its precursors based on data taken at the southern Korean coast. The average $O_3$ concentration in the high altitude was found to range from 32.3 to 90.8 ppb with a maximum concentration of 132 ppb. The ambient $O_3$ concentration was high at altitudes of 1000 m and 500 m above the southern sea near Gwangyang Bay and an industrial area containing emission sources. The daily mean concentrations of $NO_y$ and CO were 6.7-24.2 ppb and 0.152-0.487 ppm, respectively. During the aerial measurement period, the highest mean concentration of $O_3$ was observed on June 1. The aerial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as observed to be 132 ppb in the high altitude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The measurement of vertical wind fields in the air indicated that $O_3$ formed in the southernmost part of Yeosu was transported by strong southwesterly winds to the northeast of Gwangyang Bay. This led to a ground $O_3$ concentration of over 100 ppb in Jinju, the northeastern part of Gwangyang Bay. On August 9, when the maximum $O_3$ concentration was 50 ppb, the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O_3$ concentrations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days. In particular, low $NO_2$ and TVO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both of which serve to form $O_3$ in photochemical reactions.

서울과 여수지역에 HadCM3를 적용한 냉」난방도일의 변화량 분석 (Analysis of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in the Seoul and Yeosu, where HadCM3 is applied)

  • 유호천;노경환
    • KIEAE Journal
    • /
    • 제9권4호
    • /
    • pp.11-16
    • /
    • 2009
  • To act and respond to the climate changes and to bring about power-saving in buildings, the changes in the atmospheric data in Korea are recorded and assessed. For the two regions representative of Korea, the data obtained from HadCM3 and actual data are compared and analyzed so as to concretely evaluate and confirm the changes taking place in the cooling and heating degree days in Korea. For the past 40 years, from 1996 to 2005, the number of heating degree days was on the decline and in the two representative regions, between 1980's and 1990's, the number of decrease in the heating degree days had been quite large. The number of cooling degree days showed a trend of increase since the 1970's and just as in the case of heating degree days, the extent of increase was quite large between the 1980's and the 1990's.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 number of heating and cooling degree days, one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another from the HadCM3 data (E127.5,N37.5,E127.5,N35), which is one of the ways of predicting the climate, showed similar trends in the number of heating degree days in the Yeosu area. However, in the case of the number of heating degree days in Seoul and the number of cooling degree days both in Seoul and Yeosu,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ranged from a minimum of 300 days to a maximum of 1500 days.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grid points used in the HadCM3,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latitudes and longitudes of these two locations considered in this study, topographical differences, heat island effect caused by population density etc. and while using the HadCM3, these variables factor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여수 ${\cdot}$ 광양항 출입항로의 해상교통환경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Marine Traffic Environments for Incoming and Outgoing Routes on Yeosu ${\cdot}$ Gwangyang Bay)

  • 김철승;정재용;정중식;김현종;윤명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204
    • /
    • 2005
  • 1983년에 교통안전특정해역으로 설정되어 운영 중인 여수 ${\cdot}$ 광양항은 부산항과 더불어 동북아 중심항만(Hub Port)으로서 향후 2011년까지 총 33개의 컨테이너 선석 둥이 개발 추진 중에 있다. 또한 해상교통량이 급격히 긍가하고 있으며,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로 인하여 대형사고의 발생우려가 상존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 ${\cdot}$ 광양항의 미래 지향적인 안전한 해상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선박안전운항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여수 ${\cdot}$ 광양항 입출항 항로에 대한 해상교통환경을 면밀히 분석 ${\cdot}$ 평가하여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해상교통안전체제 구축에 필요한 문제점을 도출한다.

  • PDF

여수 금오열도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ies along the Coast of Geumo Arichipelago, Yeosu)

  • 오현주;문성용;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192-203
    • /
    • 2013
  • 금오열도 연안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계절별 군집의 변동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출현 양상과 환경인자를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4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출현 개체수는 15~$28,183inds.\;m^{-3}$의 범위를 보였으며,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 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를 포함하여 P. parvus s. l., A. omorii, Oithona spp., Aidanosagitta crassa, 십각류 유생, 요각류 전기유생, 요각류 후기유생이었다. 종 다양도 지수는 여름철과 봄철에 낮게 나타난 반면에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금오열도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 Chl. a 농도와 함께 일부 내만종들에 기인하여 변동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수 금오도 연안 이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 Fyke Net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 황재호;유경희;이성훈;한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9-47
    • /
    • 2008
  • The fluctuation in the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as investigated using a fyke net with entrances on both sides in the coastal waters of Geumo-do, Yeosu, Chollanam-do, Korea, from May 2003 to April 2004. A total of 2,379 fishes (392.13 kg) were sampled and classified into 11 orders, 34 families, and 53 species. The dominant orders were Perciformes, Scorpae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which accounted for 67.9% of the collected fishes. The dominant species was Acanthopagrus schlegelii (235 individuals, 19.00 kg), followed by Konosirus punctatus (182 individuals, 9.53 kg), and Apogon lineatus (161 individuals, 1.69 kg).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r in spring and summer than in winter, and the monthly variation may be related to the water temperature. The diversity index was highest in September (H'=2.9) and lowest in December (H'=1.8).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August (J=0.9) and lowest in December (J=0.7).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December (D=0.7) and lowest in August (D=0.2). The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in this area are Acanthopagrus schlegelii, Konosirus punctatus, Lateolabrax maculatus, Argyrosomus argentatus, Trichiurus lepturus, Lateolabrax japonicus, and Sebastes schlegelii.

여수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요인과 어황 변동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Factor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Grounds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 김동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9권2호
    • /
    • pp.94-108
    • /
    • 199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and catch fluctuation of set net fishing ground located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oceanographic observation and catches on the grounds were carried out from Jan. to Dec. in 1990 and 1992.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cause of the surveyed area is a costal shallow water, the fishing ground was influenced largely by atmospheric phenomena such as air temperature. precipitation. etc. and so showed large variations in temperature and salinity yearly. The inner water flowed out mainly between Yeosu ad Namhe-do, and then through Kumo-do between Dolsan-do and Kumo-do. On the other hand, off shore water was supplied into the fishing groun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thus the fishing ground was occupied usually by various sources of water. 2) The water mass in the fishing ground were divided into the inner water(29.0~30.6$\textperthousand$) and the mixed water(31,7~32.2$\textperthousand$) and off shore water(32.3~32.8$\textperthousand$) accou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alinity from T-S diagram plotted all salinity data observed in 1990 and 1992. In summer the inner and mixing water which was formed by river flowed southerly and spread south-easterly in the vicinity of Kumo-do. The off shore water which supplied from the vicinity of Sori-do and Yokchi-do and inner water formed the thermal front and halo front in summer. 3) The fishes caught by the set net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catch amounts as follows: Spanish mackerel>Horse mackerel >Hair tail>Common mackerel> Sardine> Anchovy. The Catches of anchovy and sardine were high in April to May and those of hair tail and horse mackerel in July to September, but spanish mackerel were caught during the whole period of fishing. When inner water and mixing water appeared respectively and inner water and mixing water speared together in the set net fishing ground, the set net showed a high catch.

  • PDF

광양만권 순환자원으로 제조된 배수재용 인공골재의 지반공학적 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zation of Artificial Aggregate made from Recycled Resources of Gwangyang Bay Area as a Drainage Material)

  • 김영상;김원봉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0호
    • /
    • pp.49-57
    • /
    • 2013
  • 전남 여수, 광양지역을 중심으로 한 광양만권 지역의 공업기반 시설은 석유화학단지와 제철소 및 제철연관단지 등 대단위산업단지로 조성되어 있으며, 이중 여수산업단지에서만 발생되는 다양한 산업부산물의 발생량만도 160만 톤이나 이들의 재활용률은 52%에 불과하다. 한편 우리나라의 천연골재의 채취 가능량은 80억$m^3$이며, 연간 수요량 2.4억$m^3$을 고려하면 33년간만 채취가 가능하며, 골재채취로 인한 환경파괴 등으로 정부는 연간 골재 채취량을 제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과 자원의 문제가 국가적인 차원의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각종 산업부산물의 재자원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광양만권 산업부산물의 적절한 대량 처리방안과 광양만권 연약지반 건설현장의 경제적인 골재확보 방안의 일환으로, 인산석고와 슬래그를 이용한 인공골재를 제작하고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배수재로의 활용방안을 검토하였다. 인공골재의 제작 시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인산석고와 슬래그 등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소량의 시멘트를 첨가하였으며 비소성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제조된 인공골재를 배수재용 골재로 사용하기 위해 시방기준의 검토를 위한 입도시험, 정수위 투수시험과 대형직접전 단시험을 실시한 결과, 인공골재에는 #200체 통과량이 15% 이하이며, 투수계수 $1{\times}10^{-3}cm/sec$ 이상인 시방기준을 충분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직접전단시험 결과 건조 시료는 천연 쇄석과 유사한 내부마찰각을 가지며, 24시간 수침조건에서도 해사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연약지반에서 장비주행을 위한 지지력 확보에도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광양만 및 여수해만 표층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오염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Heavy Metal Poll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Gwangyang and Yeosu Bay, south coast of Korea)

  • 현상민;이태희;최진성;최동림;우한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4호
    • /
    • pp.380-391
    • /
    • 2003
  • 광양만 및 여수해만의 중금속 오염과 저서환경에 대한 퇴적학적, 지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기위해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였다. 입도분석 결과 입도의 분포는 사질퇴적물과 점토질 퇴적물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질퇴적물은 주로 POSCO 우측해역과 여수해만수로에 분포하고 있고 그 외 다른 지역에서는 니질퇴적물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유기물(TOC) 함량은 약 0.2∼2.1%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으며 유기물의 C/N비는 육지에서 공급된 유기물과 현장에서 생성된 유기물이 혼합되어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유기물의 C/S 비는 일부 지역에서 저서환경이 무산소 혹은 약한 저산소 상태에 있음을 지시하고 있다. 저질의 건강상태를 검토하기 위해 퇴적물중 황화수소 (H$_2$S) 함량을 측정한 결과 최고 301 ppm 에서 최소 0.7 ppm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묘도 안쪽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값을 보이고 있어 일반적으로 오염된 저서환경을 지시하고 있다. 표층퇴적물에 대한 10종의 중금속 (Co, Ni, Cu, Cd, Pb, Li, Zn, V, Cr, Ba)에 대한 농축비(Ef)와 농집지수(Igeo)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부 지역에서는 평균퇴적 물의 농도에 비해 Pb, Ba는 최고 1∼7배정도 농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금속 원소에 대해서도 0.8∼3.5 배 농축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V와 Cd에 대한 농집지수는 조사지역 전역을 심하게 오염된 지역, 오염된 지역과 오염되지 않은 지역으로 대별할 수 있었다. 금속원소의 농축비 및 농집지수가 높은 곳은 유기물 및 황화수소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세립질 퇴적물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나타났다.

여수 근해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al Study On The Dinoflagellates Of The Coastal Waters In The Vicinity Of Yeosu, Korea)

  • 심재형;신은령;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7-98
    • /
    • 1981
  • 쌍편모조류는 해양생태계에서 규조류 다음으로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중요한 구성요인이다. 따라서 쌍편모조류의 분류는 식물플랑크톤을 연구하는데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연구과제이다. 우리나라에서 해산쌍편모조류에 관한 기록은 박(1956)이 한국해협에서와 하기 남해안에서의 플랑크톤조성을 연구한 결과 Ceratium속 및 Peridinium속의 몇몇 종이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그 이후에 유(1960)에 의해서 용호만에서 이매패인 불통의 식이 연구결과 Dinophysis sp.와 Prorocentrum sp.의 기록을 남겼으며 박 김(1967)에 의해 진해만에서 Gymnodinium sp.와 Noctiluca sp.가 기록되었는데 이때 기록된 Gymnodinium lumura가 Gymnodiniales로서는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기록된 유일한 것이다. 최(1967)는 한국연안수역에서 Pyrophacus sp.를 관찰하였고 김 조(1969)는 금강하구에서 Glenodinium foliaceum을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심 이(1979)에 의해서 천수만에서 Gonyaulax polygramma와 Gonyaulax Polyedra가 기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