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gsan River estuary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국내 주요 하구역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유기탄소 함량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rain Size and Organic Carbon Content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ajor Estuarine Areas of Korea)

  • 김부근;양주연;최혁;박광규;신경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8권4호
    • /
    • pp.158-177
    • /
    • 2023
  • 하구역은 강과 하천을 통해 육상과 해양을 연결하는 전이수역으로 해양으로 공급되는 많은 물질들은 연안환경의 일차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연안생태계는 생물량에 의해 제거되는 탄소인 블루카본의 탄소 저장소로서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서-남해 하구역(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과 동해 용승해역에서 지난 6년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와 유기탄소 함량의 변화와 두 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2015-2020년) 동안 서-남해 하구역과 동해 용승해역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와 유기탄소 함량은 계절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각 해역의 다양한 해양환경 및 수리역학적 조건에 의해 두 인자들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된 모든 시료채취의 동시성이 없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지역에서 분석된 모든 퇴적물 평균입도들의 평균값과 유기탄소 함량의 평균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각 하구역과 동해 용승해역을 구분한다. 동일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각 하구역에서는 아마도 같은 과정에 의한 퇴적물 점토입자의 퇴적이 유기탄소 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동해 용승해역은 하구역과 다르게 추가적인 유기탄소 축적의 요인이 나타난다. 국내 주요 하구역들이 연안환경에서 중요한 탄소저장소로서 평가되기 위해서는 탄소 저장량 계산을 위한 추가적인 자료(퇴적률, 전밀도 등)가 요구된다.

하구언 담수방류와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환경인자의 장기변동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 윤보배;이어진;강태안;신용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05-214
    • /
    • 2013
  •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 유입이 부유생태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장기자료(1999~2008년)인 클로로필 a와 수질 항목들에 대한 계절적, 공간적 변화와 장기변동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 (8월) 영산강 방조제 인접정점의 염분은 조사기간 중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영양염류와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영산강 담수유입의 지시인자인 표-저층의 염분차 (${\Delta}salinity$)와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지난 10년동안 담수 방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영산강 하구 해역 영양염의 공급원이 담수유입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발달에 따른 점오염원 증가 등의 추가적인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서는 영산강 방조제의 방류와 연관한 수질개선방안 마련과 더불어 인근 지역의 점 오염원 파악 및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연휴양지 방문편익 추정모형의 비교 연구 - 영산강 하구를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stimation Models for the Value of Access to a Natural Recreation Site: Focusing on the Estuary Area of Yeongsan River)

  • 신영철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4호
    • /
    • pp.981-99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영산강 하구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여 자연휴양지의 수요함수를 추정하여 방문 편익을 도출하기 위해 카운트 자료 모형(count data model)을 적용하였다. 여행지 방문객 자료의 속성을 고려할 때, 포와송 모형의 경우 평균과 분산이 동일하다는 제약적 가정에 의한 과도분산(overdispersion) 속성의 왜곡과 더불어 자료의 1에서 절단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의 왜곡이 문제가 된다. 실증 분석 결과에 따르면 방문객 자료의 속성은 반영하는 절단 음이항(truncated negative binomial) 모형이 고려한 모형 중에서 최적이고, 그 모형에 의해 도출된 영산강 하구 1회 방문 편익(즉, 소비자 잉여)는 전라권 거주자들의 경우 89,350원이며, 비전라권 거주자의 경우는 432,526원으로 전라권 거주자의 4.8배 수준이었다. 또한 과도분산의 속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포와송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영산강 하구의 방문 편익(소비자 잉여)은 과소평가되며, 절단의 속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경우의 모형으로부터 추정된 영산강 하구의 방문 편익은 과대평가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단일 휴양지 방문객에 대한 자료로부터 여행수요 함수 및 방문 편익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절단 음이항 회귀모형이 적용되어야 한다.

  • PDF

소독살균제 기인 화학물질의 수생태계 내 생물 전이 특성 연구 (Trophic Transfer of Disinfectant Chemical in Aquatic Ecosystem)

  • 조하은;김도균;원은지;조형욱;안광국;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4호
    • /
    • pp.376-389
    • /
    • 2022
  • 화학물질은 현대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그 종류와 발생량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코로나19 발병 이후 소독제 사용증가로 인해 소독제 함유 화학물질의 사용 및 배출 또한 증가했지만, 환경모니터링이나 생물독성연구 외에 생태계 내 거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20, 2021년 금강, 한강, 영산강에서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생태계 먹이망을 조사하고, 어류의 근육에서 소독제 성분인 6종의 benzalkonium chloride (BACs)와 5종의 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s (DDACs)농도를 분석하여 생태계 내 거동을 살펴보았다. ∑BACs와 ∑DDACs는 한강에 서식하는 어류의 체내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뒤이어 영산강, 금강하구언, 갑천 순서로 검출되었으며 강우 이후 물질의 농도와 검출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BAC는 C12와 C14가, DDAC는 C10과 C14가 가장 빈번하게 검출되었다. BAC와 DDAC가 어류 조직에서 검출된 것으로 보아 물질이 생물과 먹이망 내 축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체내 축적률을 보여주는 biomagnification factor(BMF)가 1 미만의 값으로, 먹이망 내 전달을 보여주는 trophic magnification slope (TMS)이 -0.236에서 0.001의 값으로, trophic magnification factor(TMF)가 0.85에서 1.01의 값으로 도출되어 먹이망을 통해 물질이 확대되기보다는 희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산강, 섬진강 수계 내 주요 저수지에 대한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유사성 분석 (Similarity of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mong Reservoirs in Yeongsan-Seomjin River Basin)

  • 고의정;김구연;주기재;김현우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285-29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섬진강 유역에서 호소 간의 동물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특성이 만수면적에 따라 분류된 소·중·대형의 저수지에서 종 수 및 개체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윤충류보다 지각류에서 민감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두 분류군 모두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지만, 지각류에서 조사지점이 늘어날수록 개체수 증가가 확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 개념을 활용한 고유벡터 중심성 및 그룹화 분석을 사용하여 호소 간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비교했을 때, 만수면적에 따른 대·중·소형 호소 내에서도 지리적 특성과 미소환경 공간의 차이점을 구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볼 때, 네트워크 분석은 담수 동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분석에 있어 만수면적 크기, 지리적 특성, 미소환경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분석은 다양한 군집분석을 간소화하며 시각화를 통한 직관적 이해를 돕는 데 유용할 것이다.

영산강 하구둑 배수갑문 확장 후 시간 변화에 따른 저염수 거동 예측 (The Prediction Of Low Salinity Water Behavior Caused By Tidal Gate Extension In Yeongsan-River Estuary)

  • 권철휘;권민선;강훈;장규상;서정빈;조광우;맹준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4호
    • /
    • pp.553-565
    • /
    • 2012
  •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유입에 따른 저염수의 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EFDC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의 수행은 홍수기 배수갑문 확장 전 후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모델의 마지막 담수유입시점으로부터 16일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기까지 저염수의 확산양상을 시간 경과순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담수유입이 멈춘 후에 저염수는 방류시점으로부터 약 6시간 경과 후에 배수갑문 전면 해역으로부터 해측으로 최대의 확산을 보였으며, 약 2~7일 후 염분의 분포 양상은 담수가 유입되기 전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배수갑문을 확장하기 전보다 배수갑문을 확장한 후에 담수유입 후 해역이 준 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았는데, 이는 시간당 방류량의 증가가 난류혼합을 강하게 하고, 해측으로 더 멀리 확산된 저염수는 외해수에 의해 보다 쉽게 혼합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해역에서 일정한 양의 담수가 유입되는 경우, 저염수의 확산은 시간당 방류량이 크고 방류지속시간이 짧을수록 해역이 준정상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욱 짧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수자원의 계절별 적기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sonal Pre-reserved Planning of Water Resources in Korea)

  • 허준행;송재우;이길춘
    • 물과 미래
    • /
    • 제16권2호
    • /
    • pp.111-122
    • /
    • 1983
  • 오늘날 인구증가와 공업화, 도시화 및 수질오염등에 따라 용수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목표연도인 2001년까지 5개권역에 대한 용수 수요량과 가용수자원량을 비교분석하여 적용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월별 용수증가추세에 대응하여 지표수와 지하수로 공급함을 원칙으로 하되, 부족량에 대해서는 댐 공급량으로써 보충키로 한다. 또한 소요공급량은 공급에 앞서 완전 확보토록 하여야 한다. 2) 각 권역에서 월별 계절별 최대물부족량은 6월과 하계에 발생한다. 3) 물부족량이 댐 공급량을 초과하게 될 시기는 III권역에서 1984∼1990년 및 1994∼2001년이다. 4) III권역의 물부족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영산강 유역의 마산 금호만하구언 완공년도를 2001년에서 1991년으로 앞당겨야 할 것이며, 섬진강 유역에서는 주암댐의 완공년도를 1991년에서 1986년으로 앞당기고 1986년까지는 유역변경에 의하여 섬진강 유역에서 물을 공급 받으면서 지하수 및 소규모 저수지 개발을 행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영산강 하구역 생태.환경 관리를 위한 GIS기반의 통합 DB관리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IS Based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Ecological Environmental Management of Yeongsan Estuary)

  • 이성주;김계현;서정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93-602
    • /
    • 2011
  • 지난 반세기 동안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하구역 생태 환경은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 지구적 요구는 증대되고 있으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은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관별로 산재된 하구역 생태 환경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DB관리시스템을 개발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영산강 하구역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니터링 DB와 공간 데이터 표출에 우수한 GIS DB를 통합하여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였다. 시스템의 개발환경은 VisualBasic.NET과 지도기반의 공간 분석을 위한 ArcObjects 컴포넌트를 이용하였다. 또한 데이터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분석을 통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구성, 모니터링 DB의 표출방안, 레이어의 우선순위, 모듈단위 기능 등을 정의하였고, 최종적으로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통합 DB관리시스템은 영산강의 현 생태 환경을 파악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공유 및 관리환경을 지원할 것으로 예측된다. 향후에는 모델링 시스템과 연계하여 미래 하구역 생태 환경의 종합적인 진단 및 신뢰성 있는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남해역 갯벌에 서식하는 우럭 (Mya arenaria oonogei) (Mollusca: Bivalvia)의 성장 양상 (Growth Pattern of Soft Clam (Mya arenaria oonogai) (Mollusca: Bivalvia) from a Mud Flat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 임현식;이창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5-115
    • /
    • 2004
  • Growth pattern of the soft clam (Mya arenaria oonogei) was estimated based on samples collected from the Yeongsan River estuary on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between August 1996 and September 1997. Mean density of the clam during study period was $55\;ind./m^2$ and varied monthly from 281 to $8\;ind./m^2.$ The clams from the study area ranged in age from one year to seven years, with shell lengths between 40.4 mm and 104.1 mm and biomass between 8.4 and 152.3 g in total wet weight. The spawing season was estimated to occur between September and October based upon a reduced fatness index, an indication of spawning, during these months. Burial depths increased with growth of the clams and most were found buried between 10 and 20 cm in the sediment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shell length and shell height (SH), total wet weight, (TWt), meat wet weight (MWt), meat dry weight (DWt), ash free dry weight (AFDW) and burial depth.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s of the clams were $L_t(mm)=138.98(1-e^{-0.1325(t+0.8853)})\;and\;W_t\;(gTWt)=325.93\;(1-e^{0.1325(t+0.8853)})^{2.6982}.$ These equations suggest that in their first year the clams should reach 31 mm in length with a biomass of 5.7 g in total wet weight.

수질관리 지원을 위한 GIS기반의 EFDC 모델 후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 GIS based Post-processing System of the EFDC Model for Supporting Water Quality Management)

  • 이건휘;김계현;박용길;이성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9-47
    • /
    • 2014
  • 영산강 하구역은 하구둑에 의해 하천의 수체가 정체되어 수질문제가 심각한 지역이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수질변화의 예측은 필수적이며, 주로 EFDC(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모델이 활용된다. EFDC 모델의 모의 결과로는 Binary 형식의 대용량 결과파일이 생성되며, 모의 결과의 공간적인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대표적인 후처리기로는 EFDC_Explorer가 있다. 그러나 EFDC_Explorer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파일은 단순한 캡처 형식의 자료로 다른 주제도와의 중첩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 이는 다양한 GIS자료와의 연계 분석이나 고차원적인 분석에서 제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에서 활용을 고려한 EFDC 모델 모의결과 후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입력파일 수정 모듈과 Binary 형식의 결과 자료를 ASCII 형식으로 변환하는 모듈, GIS기반의 환경에서 활용이 가능한 레이어 형식으로 재구성하는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재구성된 모델결과를 효율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생성되는 결과 레이어는 다양한 주제도간의 중첩 분석이나 다양한 GIS기반의 환경에서 연계분석이 가능하여, 최종적으로 수질관리를 지원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