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C 분리

검색결과 6,788건 처리시간 0.038초

여수 연안 및 동중국해의 세균상 2. 분리균의 수평분포 (Bacterial Flora of East China Sea and Yosu Coastal Sea Areas 2. Horizontal Distributions of Bacteria Isolated from The Sea Area)

  • 신석우;정규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25
    • /
    • 1996
  • 1992년 8월 6일 부터 8월 14일 까지에 걸쳐 조사한 동중국해와 여수 연안에서 분리한 세균상은 174균주, vibrio spp. 132균주, 대장균군 183균주에 대한 분리 동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동중국해 세균상은 분리균 74균주중 40균주가 Pseudomonas spp. $(54\%)$였고, 여수 연안에서는 분리균 100균주중 60균주가 Enterobacteriaceae $(60\%)$였다. 2. Vibrio spp.는 동중국해에서 분리된 5균주중 V. alginolyticus가 4균주, V. parahaemolyticus가 1균주 밖에 분리되지 않았고, 여수 연안에서는 127균주중 V. alinolyticus가 54균주로 $42.5\%$를 차지 하였으며, V. parahaemolyticus는 21균주로 $16.5\%$를 차지하여 이들 두 균종이 Vibrio의 우점종이였다. 3. 대장균군은 동중국해에서 분리한 27균주중 E. coli I이 3균주, C. freundii I이 1균주였고 여수 연안에서는 분리균 156균주중 E. coli I이 79균주 $(50.6\%)$였고 C. freundii I, II가 각각 1균주였다. 4. 대장균군의 IMViC system, $44^{\circ}C$의 발육, gelatin 액화 실험에 의해 16균형으로 분별 되었고 비동정균은 $8\~16$균형으로 분리 균 183균주중 99균주로 $54\%$를 차지하였으며 5. $5^{\circ}C$ 가능한 저온성 대장균군은 15균주였다.

  • PDF

한국(韓國) 논토양중(土壤中)의 균류(菌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V. 열처리(熱處理)로 분리(分離)한 사상균류(絲狀菌類) (Fungal flora of paddy field in Korea IV. Filamentous fungi isolated by heat treatment)

  • 민경희;이등충의;횡산용부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7-195
    • /
    • 1987
  • 두가지 열처리법에 의한 균 분리방법을 사용하여, 보통균을 제외한 토양균의 분리와 그의 논토양중의 수직 및 계절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역곡동과 신원동의 논토양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42^{\circ}C$에서 2일간 배양후 $37^{\circ}C$로 배양하는 방법과 $70^{\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42^{\circ}C$ 배양법에서는 두 장소에서 분리된 토양균은 거의가 mesophile이었으며 thermotolerant fungi는 Asergillus fumigatus, thermophile로는 Sporotrichum thermophile과 Malbranchea pulchella var. sulfrea이었고, 이들 중 우점종은 Asergillus fumigatus이었다. 두 장소에서 9속, 14종이 분리동정되었으며 Sporotrichum thermophile, Talaromyces ucrainicus, Malbranchea pulchella var. sulfrea는 한국 미기록 종이다. $72^{\circ}C$ 열처리방법으로 분리한 경우 두 장소에서 10속, 20종이 분리동정되었으며, 분리된 균은 거의가 mesophile이었으며 thermotolerant fungi는 Asergillus fumigatus이었고, 우점종은 Talaromyces stipitatus이었다. 또한 Talaromyces helicus var. major, Emericella nidulans var. nidulans, Chaetomium subspirale, Neosartorya fishiri var. fischeri는 한국 미기록 종이다. 두가지 분리방법으로 분리된 토양균의 계절적 분포는 여름과 봄이 가을과 겨울보다 높았으며, 전체 균의 수와 우점종 균수, 그리고 나타나는 종의 빈도는 그 수직분포에 있어서 상층에서 가장 높았으나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Oil Separation from Fry-dried Low-rank Coal

  • Ohm, Tea-In;Chae, Jong-Seong;Lim, Jae-Ho;Moon, Seung-Hyun
    • 청정기술
    • /
    • 제19권1호
    • /
    • pp.30-3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함수율 32.3 wt%인 저등급 석탄을 유중증발 건조한 후 고속 원심분리 장치에서 기름을 분리하여 연료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유중증발 건조시간이 6, 10분일 때 석탄의 함수율은 각각 5.0, 4.2 wt%까지 감소하였다. 유중증발 건조 후 석탄의 고위발열량은 11,442.0 kJ/kg-wet에서 27,816.0 kJ/kg-wet로 증가하였다. 유중증발 건조한 석탄을 상온에서 원심분리장치로 기름을 분리한 석탄의 기름 함량은 15.0 wt%이나 건조 석탄을 80, 100, $120^{\circ}C$로 재가열하여 기름을 원심분리하면 각각 9.7, 9.3, 8.5 wt%로 줄어들었으며 석탄 직경별 기름 함량차이는 미약하였다. 원심분리 장치에서 회수한 기름은 유중증발 건조용 기름으로 재사용한다. 저등급 석탄을 대상으로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을 수행한 결과, 건조 후 $120^{\circ}C$로 재가열한 석탄은 석탄입자 크기에 따른 무게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이것은 원심분리 장치 성능이 석탄입자의 크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미분열중량 분석(derivative thermogravimetry, DTG)을 수행한 결과에 의하면 원시료 석탄은 $400^{\circ}C$에서 휘발분이 가스화되면서 피크가 나타났고 유중증발 건조한 석탄의 경우 $350^{\circ}C$에서 1차 피크, $400^{\circ}C$에서 2차 피크가 발생하였다. 1차 피크는 유중증발 건조과정 중에 석탄내부의 수분과 치환된 기름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80^{\circ}C$, $100^{\circ}C$, $120^{\circ}C$로 재가열하여 기름을 분리한 석탄시료들의 피크가 기름을 분리하지 않은 석탄의 피크보다 작은 것은 원심분리 장치에 의해 기름이 일정량 분리되었기 때문이다.

토양균에서 항생물질 및 효소억제제의 분리와 구조 연구

  • 구양모;이윤영;김경자;최응칠;김범태;주정호;이창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79-179
    • /
    • 1994
  • 새로운 항생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를 액체 및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여 여러 검정균에 대하여 종이디스크법으로 항균효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 G(-), fungi 등에 강한 항균 효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43과 Mycobacterium, fungi에 항균력을 보인 토양균 SNUS 8810-129를 선택하여 각각의 배양액에서 항생물질을 분리하고,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토양균 SNUS 8810-43의 배양액으로부터 항생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양이온 교환 수지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셀룰로오스 관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시료 JJH-II-46-43을 얻었다. 시료 JJH-II-46-43의 IR, $^1$H-NMR, $^{13}$C-NMR, $^1$H-$^1$H COSY, $^1$H-$^{13}$C COSY, FAB-MS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의 구조가 N-methylstreptothricin과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ycobacterium smegmatis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토양균 SNUS 8810-129로 부터 분리하였다. 토양균 SNUS 8810-129를 배양한 V-8 아가판을 메탄올로 추출하여 이를 실리카겔 관 크로마토그래피와 preparative TLC로 시료 LCH-IV-17B, LCH-III-387을 얻었다. 시료LCH-IV-l7B, LCH-III-387의 $^1$H-NMR, $^{13}$C-NMR, FAB-MS, CI-MS, IR등의 스펙트럼을 얻어 분리한 항생물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이 항생물질이 glycolipid계 항생물질이라는 것을 알았다. $^{13}$C-NMR 상의 자료와 화학적인 방법으로 구성당을 조사한 결과 이 항생물질을 이루고있는 당은 rhamnose 임을 알았다. 또 이 항생물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화학적인 방법과 MS 스펙트럼, $^{13}$C-NMR 스펙트럼으로부터 hydroxydecano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항생물질 LCH-III-387와 항생물질 LCH-IV-l7B는 각각 rhamnose를 1, 2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탄소수의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들 항생물질을 이루는 구성당과 지방산간의 정확한 연결및 구조,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수행중에 있다.

  • PDF

Hydrophobic Reagent를 흡착시킨 분리관에서의 양이온 분리 (Separation of Cations on the Hydrophobic Reagent Coated Column)

  • 엄태윤;조기수;김연두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8-333
    • /
    • 1987
  • $C_18$ 역상 충전제에 1-eicosylsulfate($C_{20}H_{41}SO_4^-$)를 흡착하는 조건을 조사하였으며 $1.46{\times}10^{-4}M$의 흡착용액(25% 아세토니트릴 수용액) 1.2l를 통과시켰을 때 흡착평형이 일어났다. 이 분리관은 0.05 M ${\alpha}$-HiBA 용리액 10l까지 안정하였으며 Eu, Nd, Ce , La에 대한 분리관효율은 0.15M ${\alpha}$-HiBA 용리액 1.0ml/min에서 약 0.04 mm의 HETP를 나타내었다. 이 흡착분리관으로 희토류 원소 및 전이원소들을 개별 분리하였다.

  • PDF

소형 정찰 UAV를 위한 연료전지 금속 분리판의 성능 평가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Metallic Bipolar Plates of Fuel Cells for a Small Reconnaissance UAV)

  • 김기인;이종광;권세진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9년도 제33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78-281
    • /
    • 2009
  • 소형 정찰 UAV의 새로운 동력원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의 경량화를 위한 연구로 알루미늄 분리판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흑연 분리판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알루미늄 분리판이 흑연 분리판에 비해 무게 대비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작동온도에 따른 성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40 / 50 / $60^{\circ}C$의 작동온도에서 알루미늄 단위 전지의 성능을 측정한 결과 건조한 반응기체의 경우 일반적인 작동온도 보다 비교적 낮은 $40^{\circ}C$에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기체분리용 고투과선택성 탄소-실리카막 (High Permeability, High Selectivity Carbon-Silica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 이영무;박호범
    • 멤브레인
    • /
    • 제12권2호
    • /
    • pp.107-119
    • /
    • 2002
  • 이번 연구에서 효율적인 기체분리를 위한 탄소-실리카($C-SiO_2$) 분리막이 방향족 이미드 블록과 실록산 블록으로 구성된 공중합체의 비활성분위기에서의 열분해를 통해 제조되었다. 이 탄소-실리카 기체분리막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기체분리, 즉 $He/N_2, O_2/N_2$ 그리고 $Co_2/N_2$의 분리에 있어 매우 뛰어난 기체선택도를 나타내었다. 두 상을 가진 공중합체의 열분해는 600도, 800도 그리고 1000도의 최종열분해온도로서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두 상으로 이루어진 전구체는 탄소막의 제조에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전구체는 두 상의 조성 및 같은 조성에서 중합방법의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모폴로지의 변화가 최종 탄소-실리카막의 기체분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 제조되었다. 이러한 탄소-실리카분리막은 $2.6-3.6{\AA}$의 동력학적 반경을 가진 작은 기체분자(헬륨,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들을 사용한 기체투과실험에서, 탄소-실리카 분리막은 높은 투과도와 함께 뛰어난 분자체 효과를 보였다. 게다가 탄소-실리카분리막의 기체분리특성은 사용한 고분자 전구체의 기체분리특성과 매우 유사하며, 이것은 열적으로 안정한 두상의 사용으로 전구체의 초기 모폴로지가 열처리 후에도 상당히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현재의 연구는 탄소막 전구체의 초기의 모폴로지가 최종 탄소막의 분리특성 및 미세구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암시한다.

연어알에서 분리 정제한 carotenoprotein 지질 성분에 관한 연구 (Analytical Studies on the Lipids in Carotenoprotein purified form Saimo Salar Eggs)

  • 김재웅;이정복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24
    • /
    • 1988
  •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라피와 젤 여과법으로 연어알에서 carotenoprotein을 충분히 정제하였다. CHCls/MeOH (211)용매로 지질 성분을 추출한 후, Sephadex G-25로 정제하고 silicic acid 컬럼으로 분획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 그리고 콜레스테롤의 량을 각각 정량하였다. T.L.C.와 HPLC로 개별 성분을 분리, 정량한 결과 중성지질은 tripalmitate와 cholesteryl oleate로 구성되었고, 당지질은 esterified steryglycoside와 소량의 cerebroside, 인지질은 p.c, co, lp.c 및 p.e로 구성 되었음을 밝혔다. 결합당 성분으로서는 galactose만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은 palmitate와 oleate가 대부분이었으며, 6종류의 sterol성분을 분리 확인하였다. 지질과 결합된 단백질의 아미노산도 분석하여 이들로부터 carotenoprotein의 본성을 추론하였다.

  • PDF

Cellulomonas가 생산하는 균체의 Cellulase의 분리 및 분리된 효소의 작용기작 (Fractionation of Extracellular Cellulase Pproduced by Cellulomonas and Reaction Mechanisms of the Isolated Enzymes)

  • Kim Byung Hong;Wimpenny, J.W.T.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3
    • /
    • 1985
  • Cellulomonas flavigena KIST 321이 생산하는 균체외 cellulose 분해효소를 gel filtration법과 ion-exchange chromatography법으로 3종의 다른 효소를 분리하여 이들을 A, B, 및 C 효소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각 효소를 결정적 기질에 처리하여 일어나는 기질의 구조변화를 적회전 분광법과 X-ray crystallography법으로 측정하여 다음 결론을 얻었다. B효소는 결정성 cellulosem이 구성단위인 glucopyranose의 불안정화로 그 결정도를 감소시키는 $C_1$형의 효소이며 A 및 C 효소는 $C_x$형의 효소로 B 효소의 반응생성물에 작용하여 glucose를 생산하였다. 이들 각 효소의 작용에서 본균의 cellulase의 작용기작을 고찰하였다.

  • PDF

장조림 원료육의 미생물 분포 및 분리 병원성세균의 동정 (Distributions of Microorganisms and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in Raw Beef of Jangzorim)

  • 김혜정;남기진;이동선;백현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83-687
    • /
    • 2004
  • 장조림 원료 쇠고기 우둔살과 가열 처리한 쇠고기 우둔살에서 중온성균, 저온성균 등 11종의 미생물에 대한 분포도를 측정하였고, B. cereus, C. botulinum,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 등과 같은 9종류의 주요 병원성세균의 분리를 시도하였다. 원료육에서 미생물분포는 대부분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가열 처리육에서는 대부분 검출되지 않았다. 원료육에서 저온성균은 오염지표세균 중에서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태낸 반면, 가열처리 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식중독균인 B. cereus, C. perfringens 및 L. monocytogenes 등 3균주가 원료육에서 분리된 반면 C. botulinum,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 aureus 및 Y. enterocolitica는 분리되지 않았다. 원료 쇠고기에서 분리된 B. cereus는 CERT-RPLA 방법에 의해 enterotoxin을 생성한 반면, C. perfringens는 PET-RPLA 방법에 의해 독소를 생성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