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ray unit

검색결과 561건 처리시간 0.033초

Hydroxyapatite와 금(Au)이 혼합된 흡수성 고정판의 방사선비투과성; 예비 실험 (Radioopacity of Absorbable Plate containing Hydroxyapatite and Gold(Au); A Preliminary Report)

  • 김용하;남현재;이준호;김갑중;김연정;최식영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419-422
    • /
    • 2008
  • Purpose: Absorbable bone fixation materials for operation of facial bone fracture are composed of poly- lactic acid(PLA) & poly-glycolic acid(PGA). These materials are absorbed after facial bone healing period. Therefore, these materials are harmless in human body. But because of it's radioopacity, the number and the location of the materials are not checked in follow-up X-ray examination. We studied absorbable bone fixation materials checked radiological examination. So, we made the absorbable plate composed of PLA, Hydroxyapatite (HA) and Gold(Au). Methods: Plate 1 was consisted of pure PLA. Plate 2 was consisted of PLA(50%) and HA(50%). Plate 3 - 7 were consisted of PLA(50%), and variable composition of HA & Au. The ratio of Au was as following. From the plate 3 to plate 7, the Au ratio was 1%, 5%, 10%, 17%, and 25%, respectively. Total 3 examinations were used-naked eye examination, simple X-ray examination, and Haunsfield unit of plate in CT examination. Results: Naked eye examination found out that the color of plate 1 was most white. As the Au ratio increases, the color of plate was getting close to khaki color. the radioopacity of plate 2 was similar cortical bone of face in simple X-ray. The Haunsfield unit of cortical bone of face was 1000 HU. Haunsfield unit of titanium plate was 2900 HU. Haunsfield unit of plate 1 through plate 7 were -242, 1489, 1776, 3052, 3092, 3095, and 3095, respectively. Conclusion: Radioopacity of plate 2 was similar to cortical bone of face. In CT examination, Hanusfield unit of plate 2 was similar to Hanusfield unit of cortical bone of face. Hanusfield unit of plate 4 - 7 were similar to Hanusfield unit of titanium plate. So to trace bone fixation materials after facial bone surgery, the best ratio of Au is about 1 - 5%. If this study is applied to facial bone surgery, radiologic follow up would be easy after facial bone surgery.

방사선촬영실 감염 방지를 위한 에니오설프의 소독효율 연구 (Research on ANIOS Disinfection Efficiency to Prevent Infection in Radiography Room)

  • 정우찬;안기송;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1
    • /
    • 2021
  • 방사선 촬영실은 감염원을 지닌 환자와 간접적인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 2차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부 X선 촬영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와 환자가 빈번하게 접촉하는 부위를 4급 암모늄세정제 중 하나인 에니오설프(ANIOS, ANIOSURF Premium NPC)를 이용하여 소독 전, 후의 미생물을 채z취한 후 비교하였다.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대구광역시 P병원을 대상으로 X-ray tube handle, Chin rsgion, Chest region, Palm region을 수송배지(TransystemTM, Copan Diagnostics Inc., Murrieta, CA, USA) 내의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10×10㎠ 크기로 채취한 후 비색법을 통해 소독 전, 후 동정결과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X-ray tube handle의 경우 Proteus mirabilis, Staphylococcus epidermidis, Bacillus spp., Candida spp이 검출되었고, Chin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 NTM이 검출되었고, Chest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이 검출되었고, Palm region의 경우 NTM, Candida spp.이 검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103 CFU(Colony Forming Unit)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후 Chest region, Palm region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X-ray tube handle에서만 Bacillus spp.이 검출되었으며 102 CFU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전 검출된 미생물은 대부분 기회감염균의 일종으로 소독 후 이러한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거나 제거되는 것을 통해 에니오설프(0.25%)는 에탄올(ethanol, 70~90%)와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70~90%)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경제성과 유사한 소독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독 후 Bacillus spp.가 검출됨에 따라 아포균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검사실 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고하였으며 병원 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바나듐(V)-니크릴로트리아세테이트 착물의 X-선 및 핵자기공명 연구 (X-Ray and NMR Studies of Vanadium(V)-Nitrilotriacetate Complex)

  • 이만호;정우원
    • 분석과학
    • /
    • 제10권3호
    • /
    • pp.196-202
    • /
    • 1997
  • 새로운 바나듐(V) 착물인 $(NH_4)_2[VO_2NTA]$를 합성한 후, 용액 및 고체핵자기공명분광법 및 X-선회절법으로 그 구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단사결정구조(space group=$P2_1/n$)의 이 착물의 단위세포는 4 착물을 가지고 있으며, 그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 $a=6.923(1){\AA}$, $b=8.824(2){\AA}$, $c=19.218(11){\AA}$, ${\beta}=91.60(3)^{\circ}$, 용액 및 고체에서 이 착물의 $[VO_2NTA]^{2-}$ 이온은 시스-$VO_2$ 단위를 가진 찌그러진 팔면체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도 변화에 따른 X-선진단장치의 관전압, 관전류, 조사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x-ray tube voltage, tube current and dose rate depeding on temperature)

  • 전기환;황민선;최면웅;이송이;김민지;양동일;이귀열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64-272
    • /
    • 2011
  • X-ray를 연속하여 촬영함에 따라서 튜브의 내부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거기에 비례하여 mA값과 조사선량이 증가하게 된다. 자연히 X-선 방출량도 많아지게 됨에 따라 임상적으로는 물론이고 환자의 피폭선량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방사선 성능검사에서 합격 혹은 불합격의 오차범위에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 차이에 따른 X-선 진단장치의 관전압, 관전류 및 조사선량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X-선 진단장치 검사 중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관전류의 오차을 막고 환자의 피폭을 줄여 보다 효과적으로 X-선 진단장치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튜브의 수명을 연장시킴으로서 병원의 재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치환된 YIG계의 구조적 및 자기적 특성 (Structur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the Substituted YIG System)

  • 최승한;이영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8-52
    • /
    • 2003
  • The substituted yttrium iron garnet systems $Y_{ 3-x}$/Gd$_{x}$X$0.2_{0.2}$ $Fe_{4.8}$ $O _{12}$ (x = 0.2, 0.4, 0.6)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Mossbauer spectroscopy and SQUID.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at room temperature confirm the samples to have a single phase of the garnet structure over the whole composition range. The lattice constants of all the samples linearly change with increasing x due to the size of substituted ions in the dodecahedral sites. $Y_{3-x}$ $Gd_{x}$ X$Fe_{4.8}$ $In_{0.2}$ $O_{12}$ system which $Y_{3-x}$ ions are substituted with Gd$^{ 3+}$ ions, the Mossbauer spectrum consists of three Zeeman sextets at room temperature, one due to the $Fe^{3+}$ ions on the octahedral(a-) sites and the others due to the $Fe^{3+}$ ions on the tetrahedral(d-, d'-) sites, respectively. From the hysteresis loop measured by means of SQUID over the whole composition range,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M_{s}$ and magnetic moments $\mu_{ B}$ per unit cell have been obtained. The increment of Gd-ion content causes $M_{s}$ and $\mu_{B}$ decrease while the increment of In-ion content does not.

An X-ray Diffraction Study of Na, Ag-A Reduced by Hydrogen. Ag$_3\;^+$and Ag$_3\;^{2+}$ Clusters

  • Kim, Yang;Seff, Kar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5권4호
    • /
    • pp.135-140
    • /
    • 1984
  • The reduction of vacuum-dehydrated $Na_xAg_{12-x}-A, 0 {\le} x {\le} 9.2$, and its reoxidation by O$_2$, have been studied by X-ray powder diffraction. Also, the structure of $Na_6Na_6-A$ treated with hydrogen at room temperature has been studied by single crystal methods in the cubic space group Pm3m at $24{\circ}C (a = 12.221(2) {\AA})$. The diffraction pattern of dehydrated Ag$_{12}$-A reduced by H$_2$ contains only the (111) and (200) reflections of silver metal, indicationg that the zeolite structure has been lost, but the zeolite's diffraction pattern and structural integrity can be fully restored by oxidation with O$_2$ at 100 or 200${\circ}C$. In contrast, the structures of $Na_xAg_{12-x}-A$, x = 4.5 and 9.2, were not destroyed by treatment with hydrogen. Dehydrated Na$_6Ag_6$-A treated with 50 Torr of hydrogen gas at 24${\circ}C$ for 30 minutes has $6\; Na^+\;and\;1.27\;Ag^+$ ions at 6-ring sites. These $Ag^+ ions are associated with 2.54 Ag${\circ}$ atoms to form 1.27 $Ag_3^+$ clusters per unit cell. Also found were 0.7 $Ag_3^{2+}$ clusters per unit cell near the 8-rings. The structure was refined to the final error indices R$_1$ = 0.134 and R$_2$ (weighted) = 0.147, using 168 independent reflections for which $I_0 >3{\sigma}(I_0)$.

X-선 회절을 이용한 기체 저장제의 연구 (A Study on Gas Storage Medium by Using X-ray Diffraction)

  • 박종삼;이준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9권3호
    • /
    • pp.147-155
    • /
    • 2006
  • 기체 저장제로서 제올라이트의 구조와 기체분자의 유출입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완전히 탈수된 $K_3-A$들을 제조하고 $K_3Na_8H-A(R_1=0.0478,\;R_2=0.0458$$a=12.257(1){\AA}$)의 결정구조들을 Pm3m 입방 공간군에서 단결정 X-ray 회절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진공 탈수된 $K_3Na_8H-A$의 결정구조에 있어서, 단위세포 당 3개의 $K^+$ 이온들이 8-ring(0.0, 0.4531, 0.4531) 상에 존재하였고, 단위세포 당 8개의 $Na^+$ 이온들이 6-oxygen ring들의 중앙에 위치하였다. 8-ring상에 존재하는 각 $K^+$ 이온들은 두 가지 종류의 골격산소 원자들로 부터 각각 $2.87(2){\AA}$$2.79(1){\AA}$의 거리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값들은 이미 기존에 알려진 $K_{12}Na-A$의 값들보다 더 짧은 값으로 이들의 이온 반경들을 고려할 때 더 타당한 값들이였다. $K^+$ 이온들의 정확한 위치들은 8-ring들의 중앙으로부터 약 $0.8{\AA}$ 떨어져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제올라이트 골격을 안전화시켜 기체분자들의 효과적인 유출입 통제와 저장을 가능하게 하며, 유효 부피 극대화를 이루어 더 많은 기체 저장을 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산소 저장 용기를 더욱더 소형임은 물론 산소가 필요한 응급환자 들을 위한 휴대하기 간편한 용기를 만들어 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X선 기기의 자동화를 위한 BLDC 모터 제어 장치 (BLDC Motor Control Unit for Automation of X ray Equipment)

  • 김태곤;김영표;천민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833-838
    • /
    • 2011
  • 진단용 X선 기기는 다양한 장치의 개발에 힘입어 보다 효과적이고 정밀한 진단이 가능하게 되었다. 정밀 진단이 가능하게 되면서 X선 기기는 임상의학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진단 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X선을 이용한 영상획득 분야에서는 영상의 획득 시간 단축과 전송이 용이하고, 조사선량의 감소가 가능한 DR(Digital Radiography)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DR은 1개의 디텍터를 이용하는 구조로 되어있어 기존의 X선 장치와는 달리 구조적인 변경이 필요하며 촬영위치에 따라 디텍터를 원하는 위치까지 움직여야하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LDC 모터와 PID 제어방식을 사용해 DR에서 가장 움직임이 많은 디텍터의 상하, 좌우, 회전의 3축 위치자동 제어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고 그 성능을 평가 하였다.

Micro X-ray CT를 이용한 글라스 비드의 3차원 간극 구조 정량화 (Quantification of 3D Pore Structure in Glass Bead Using Micro X-ray CT)

  • 정연종;윤태섭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1호
    • /
    • pp.83-92
    • /
    • 2011
  • 무질서하고 불균질한 형상을 갖는 지반 재료 내 간극 구조는 하중에 의한 재료의 변형 및 간극 내 유체의 흐름 등 물리 역학적 거동에 중요한 영향 인자이다. 최근 들어 X-ray CT에 의한 비파괴 검사를 통해 지반 재료의 내부 구조를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높은 해상도를 통해 평가하는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CT 이미지는 재료의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에도 그에 따른 이미지 해석 기법의 개발이 다소 미흡하여 2, 3차원 이미지의 정성적 관찰 및 간극비와 같은 거시적인 물성치 획득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으로 획득된 글라스 비드의 2차원 CT 이미지에 기반하여 3차원 입자 및 간극 구조를 형성하고, 복잡한 간극구조를 간극셀과 간극채널로 정량적 분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좌표 변환법, 이진화, 들로네 삼각망, 그리고 유클리디안 거리변환법과 같은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을 3차원 CT 이미지에 적용하였고 불균질한 글라스 비드의 간극구조에 대해 정량적으로 간극셀의 분포 및 간극간의 연결도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X선(線)에 의한 광전수율(光電收率) 계산(計算)에 관(關)한 연구(硏究) (Calculation of Photoelectric Yield by X-ray)

  • 송재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1권1호
    • /
    • pp.31-35
    • /
    • 1978
  • X-rays contribute to electron emission from material surfaces primarily through photoelectric interaction. A simple model is described for predicting the yield and energy spectrum of photon and Auger electrons emitted from materials exposed to X-ray with low energy. In this paper, We have calculated the yield of primary, Auger, and secondary, electrons. The results of the photoelectric yield model developed here suggests that. I) The angular distribution of emitted electrons(Per unit angle) is proportional to $sin{\theta}\;cos{\theta}$ for all electron energies and all components(Primary, Auger, or Secondary) II) The shape of the energy spectrum of the photoelectric yield is independent of angle. III) For this targets the forward and backward photoelectric yields are indentic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