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X-밴드

Search Result 453, Processing Time 0.136 seconds

Micro-vibration Isolation Performance of X-band Antenna using Blade Gear (블레이드 기어를 적용한 X-밴드 안테나 미소진동 절연성능)

  • Jeon, Su-Hyeon;Kwon, Seong-Cheol;Kim, Tae-Hong;Kim, Yong-Hoon;Oh, Hyun-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0a
    • /
    • pp.893-899
    • /
    • 2014
  • X-band antenna has been widely used to effectively transmit the high resolution image data from the observation satellite to the ground station. To achieve above mission, X-band antenna is mainly composed of the 2-axis gimbal system using stepping motors and gears. However, the micro-vibration induced by the stepping motor actuation and the imperfect gear teeth alignment during this on-orbit operation is the main source of image quality degradation. In this paper, X-band antenna combined with a blade gear for micro-vibration isolation was suggested and investigated. The structural safety of the blade gear with low rotational stiffness was confirmed by structure analysis based on the derived torque budget. The isolation performance of the X-band antenna with the blade gear was verified through micro-vibration measurement test using the dedicated micro-vibration measurement device proposed in this study.

  • PDF

Introduction of Surface Current Measurement Based on X-band Radar (X-밴드 레이더 기반 표층해류 계측 기법 소개)

  • Na-Yun Kang;Jose Carlos Nieto-Borge;Young-Jun 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424-425
    • /
    • 2022
  • This paper introduces X-band radar-based surface current measurement technique. A marine X-band radar used for navigation was installed at Sokcho Beach to collect surface current data in real time. Based on this, in order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of surface current (Current speed),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Marine observation buoy compared it with the data. Data collected from January 2022 were compared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surface current(Current speed) measurement using radar confirmed.

  • PDF

공정압력에 따른 TaInZnO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 Park, Hyeon-U;Kim, Bu-Gyeong;Park, Jin-Seong;Jeong, Gwo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8a
    • /
    • pp.165-165
    • /
    • 2012
  • 비정질의 Tantalum-indium-zinc oxide (TIZO) 박막 트랜지스터는 RF-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되었으며 소결된 단일 타겟을 사용하였다. 증착당시 반응 가스는 알곤과 산소를 95 : 5로 섞어 반응성 스퍼터링을 진행하였으며, 1 mtorr에서 5 mtorr까지 다양한 공정압력에서 증착한 이 후 Furnace system을 통하여 $350^{\circ}C$의 온도로 1시간 동안 후열처리 공정을 진행하였다. 비정질 TIZO 박막을 활성 층으로 사용하여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공정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높은 이동도와 낮은 subthrehsold gate swing 보였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물리적, 전기적, 광학적 분석을 통하여 공정압력의 변화가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우선 공정압력에 따른 TIZO 박막의 Ta, In, Zn, O 각각의 조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Rutherford back scattering (RBS)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X-선 회절(X-ray diffraction)분석을 통해 열처리된 TIZO 박막은 공정압력에 따라 물리적 구조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며 모든 박막은 비정질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3.3eV의 광학적 밴드 갭은 기존에 보고되었던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InGaZnO, HfInZnO 등)와도 유사한 밴드갭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pectroscopic ellipsometry (SE)분석을 통하여 전도대 이하 밴드 갭 내에 존재하는 결함상태 및 전도대에서 결함상태까지의 에너지 준위 그리고 공정압력에 따라 결함의 양과 발생되는 에너지 준위가 변화하는 현상을 관측하였다. 박막을 제조 할 때의 공정압력은 박막 내의 결함의 양 및 발생되는 에너지 준위의 변화를 야기하고 변화된 결함의 양과 발생된 에너지 준위에 따라 박막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킨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다목적 실용위성 3호 RFC 시험 결과의 이론적 검증

  • Jang, Gyeong-Deok;Kim, Tae-Yun;Jang, Jae-Ung;Mun, Gwi-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6.1-196.1
    • /
    • 2012
  • 인공위성은 지상에서부터 발사 및 궤도 운용까지 다양한 전자파 환경에 노출되며 이러한 환경에서의 위성 운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자파 환경을 모사하는 전자파 환경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궤도내에서 위성의 운용시 지상국과의 교신을 위하여 X 밴드 안테나와 S 밴드 안테나에서 지상국으로 강한 전자기파를 방사하게 되는데, 이 방사에너지가 위성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는 시험을 지상에서 수행한다. 이런 시험을 RFC (RF Auto-Compatibility) 시험이라고 부른다. RFC 시험은 위성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파가 외부에 새어나가지 않도록 전자파 챔버내에서 시험하며, 강한 전자기파를 흡수할 수 있는 고전력 전파 흡수체가 설치된 전자파 챔버가 필요하다. RFC 시험시 X 밴드 안테나와 S 밴드 안테나를 최대 전력으로 방사시키고, 이때 위성 주변에 전자파 센서를 부착하여 전계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위성으로 입사되는 전자기파의 세기가 적정 레벨 이하인지를 검증하고, 동시에 위성의 운용상태를 확인하여 위성에 영향이 없음을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목적 실용위성 3호의 RFC 시험시 측정된 전계강도를 이론적으로 검증하고, RS 시험시 인가하는 레벨과의 상관관계를 설명한다. RS 시험 레벨의 선정은 위성 안테나의 방사레벨과 관련이 있으며 RFC 시험결과를 검토함으로써 RFC 시험 결과의 유효성과 RF 레벨 요구사항의 적절성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Radar QPE Improvement Technique Using Rapid RHI Volume Scan (RHI 볼륨자료를 이용한 레이더 QPE 정확도 향상 기법 연구)

  • Hwang, Seok Hwan;Oh, Byung Hwa;Cho, Hyo Seob;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8-18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수 십분 만에 위험상황에 도달하는 돌발성 도시 집중호우가 빈발하고 이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면서 기존 지상우량계 및 대형레이더 기반 도시홍수 관측체계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게 되었다. 빠르고 정확한 도시홍수의 예측 및 예보를 위해서는 대형레이더 관측범위 이하의 빠른 저고도 관측이 필수이다. 이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소형 이중편파 X밴드 레이더를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활용에 대한 연구가 시작단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소형레이더의 경우 빠른 운용이 가능하고 집중호우 관측과 같은 특정 목적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도시 돌발홍수 예보를 위한 충분한 시간해상도의 자료 생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소형레이더를 이용하여 관측하더라도 고층 아파트나 빌딩이 밀집되어 있는 우리나라 도심 환경에서 관측반경내 전반에 대한 1km 이하 저고도 관측은 물리적으로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로 관측된 다수의 연직 관측자료를 활용하여 호우의 연직 분포를 3차원으로 재생성한 후 이의 평균 단면 추세를 이용하여 관측고도 이하의 관측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2013년, 2014년 주요 호우 사상에 대해 적용하였고, 검토결과 본 방법을 적용한 경우의 QPE가 기존 관측고도각을 이용한 QPE에 비해 정확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ainfall Estimation by X-band Marine Radar (X밴드 선박용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 추정)

  • Kim, Kwang-Ho;Kwon, Byung-Hyuk;Kim, Min-Seong;Kim, Park-Sa;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3 no.4
    • /
    • pp.695-704
    • /
    • 2018
  • The rainfall cases were identified by rainfall estimation techniques which were developed by using X - band marine radar. A digital signal converter was used to conver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rine radar into digital reflectivity information. The ground clutter signal was removed and the errors caused by beam attenuation and beam volume changes were corrected. The reflectivity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rain gauge rainfall. Quantitative rainfall was estimated by converting the radar signal into an cartesian coordinate system. When the rainfall was recorded more than $5mm\;hr^{-1}$ at three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e rain cell distribution on the marine radar was consistent with that of the weather radar opera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The Luminescence Mechanism of ${Sr_{1-x}}{Ca_x}{TiO_3}$$_3$:$Pr^{3+}$,$Ga^{3+}$ Phosphor (${Sr_{1-x}}{Ca_x}{TiO_3}$$_3$:$Pr^{3+}$,$Ga^{3+}$ 형광체의 발광메커니즘)

  • 장보윤;이용제;이현덕;변재동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2
    • /
    • pp.107-111
    • /
    • 2001
  • Sr$_{(1-x)}$Ca$_{x}$TiO$_3$: Pr$^{3+}$ , Ga$^{3+}$ (0$\leq$x$\leq$1) 형광체의 여기 및 발광 스펙트럼과 분광 반사율을 조사하여 발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발광 스펙트럼에서는 611~614nm 사이에서 peak을 가지는 하나의 적색 발광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조성에 따라 발광밴드의 모양이 달랐다. 이는 조성에 따른 모체의 결정 구조 변화 때문으로 생각된다. 여기 스펙트럼 끝단과 분광 반사율 스펙트럼의 흡수단은 서로 일치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모체에 흡수된 에너지가 Pr$^{3+}$ 에 전달되어 적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주된 메커니즘으로 생각된다. 한편 120$0^{\circ}C$에서 4시간동안 열처리하여 합성한 Sr$_{0.4}$Ca$_{0.6}$TiO$_3$:(0.1 mol%)Pr$^{3+}$ , (0.2 mol%)Ga$^{3+}$ 는 우수한 색순도와 휘도를 나타내었다.다.

  • PDF

Estimation of Wheat Growth using a Microwave Scatterometer (마이크로파 산란계를 이용한 밀 생육 추정)

  • Kim, Yihyun;Hong, Sukyoung;Lee, Kyungdo;Jang, Soyeo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6 no.1
    • /
    • pp.23-31
    • /
    • 2013
  • Microwave remote sensing can help monitor the land surface water cycle and crop growth. This type of remote sensing has great potential over conventional remote sensing using the visible and infrared regions due to its all-weather day-and-night imaging capabilities. In this paper, a ground-based multi-frequency (L-, C-, and X-band) polarimetric scatterometer system capable of making observations every 10 min was developed. This system was used to monitor the wheat over an entire growth cycle. The polarimetric scatterometer components were installed inside an air-conditioned shelter to maintain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during the data acquisition period. Backscattering coefficients for the crop growing season were compared with biophysical measurements. Backscattering coefficients for all frequencies and polarizations increased until dat of year 137 and then decreased along with fresh weight, dry weight, plant height, and vegetation water content (VWC). The range of backscatter for X-band was lower than for L- and C-band.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scattering coefficients of each band (frequency/polarization) and the various wheat growth paramete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erent vegetation parameters and backscatter decreased with increasing frequency. L-band HH-polarization (L-HH) is best suited for the monitoring of fresh weight (r=0.98), dry weight (r=0.96), VWC (r=0.98), and plant height (r=0.96).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highest for L-band observations and lowest for X-band. Also, HH-polarization had the highest correlations among the polarization channels (HH, VV and HV).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ackscattering coefficients in each band and wheat growth parameters, we developed prediction equations using the L-HH based on the observed relationships between L-HH and fresh weight, dry weight, VWC and plant height.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ill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optimum microwave frequency and polarizations necessary for estimating vegetation parameters in the wheat.

Change of Refractive Index of Air in X-band due to Atmospheric Humidity, Temperature and Pressure measured by GB-SAR Interferometry (GB-SAR 간섭기법으로 측정된 X-밴드 대기 굴절률의 상대습도, 기온 및 기압에 따른 변화)

  • Lee, Jae-Hee;Lee, Hoon-Yol;Cho, Seong-Jun;Sung, Nak-Hoon;Kim, Kwang-Eu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7 no.2
    • /
    • pp.163-170
    • /
    • 2011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hase change of 5-triangular trihedral comer reflectors by using X-band Ground-Based Synthetic Aperture Radar (GB-SAR) system. Each reflector was set as a stationary target at a different distance from the system. We obtained total 123 full-polarization images during 40 hours continuously at 20 minute interval. Results of SAR interferometric analysis showed phase changes of maximum 2 radians and followed similar pattern with atmospheric data. Through a GB-SAR phase formula that includes refractive index in the air, we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for refractive index as a function of atmospheric humidity, temperature and pressure. As a result, refractive index of air in X-band showed relatively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ith humidity and temperature (0.72 and 0.76 on average, respectively) but not so with pressure (0.34). The refractive index of air in X -band changed by 3.14\;{\times}\;10^{-5}$ during the measuring time with a humidity range of 50% ~ 90% and a temperature range of $-1^{\circ}C$ ~ $9^{\circ}C$. We expect that a total expression of refractive index of air including humidity, temperature and pressure can be calculated when more extensive data would be collected at various atmospheric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