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rinkle improvemen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3초

광어껍질을 활용한 펩신가수분해물 제조공정 최적화와 피부건강 기능성 (Optimal Processing for Peptic Hydrolysate from Flounder Skin and Its Skincare Function)

  • 강유안;진상근;고종현;최영준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24
    • /
    • 2022
  •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fish collagen exhibit several bio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wrinkle, antimicrobial, antidiabetic, and antihypertension effects. These peptides are also involved in triglyceride suppression and memory improve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for preparing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from flounder skin, and the properties of the hydrolys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peptic hydrolysis were as follows: a ratio of pepsin to dried skin powder of 2% (w/w), pH of 2.0, and a temperature of 50℃. Peptic hydrolysate contains several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below 300 Da. Gly-Pro-Hyp(GPHyp) peptide, a process control index, was detected only in peptic hydrolysate on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of-flight(MALDI-TOF) spectrum. 2,2'-azinobis-(3-3-ethylbenzothiazolline-6- sulfonic acid(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1 mM ascorbic acid,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t pH 5.5, whereas collagenase inhibition was five times higher with the peptic hydrolysate than with 1 mM ascorbic acid at pH 7.5. However, the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lower than that of arbutin,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peptic hydrolysate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ptic hydrolysate derived from a flounder skin is a promising antiwrinkle agent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ood and cosmetic products to prevent wrinkles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s.

Inhibitory Effects of Collagen Coated Coffee Bean Intake on Skin Aging

  • Lee, In-Ah;Ha, Mi-Ae;Shin, Yong-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52
    • /
    • 2019
  •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ollagen peptide-coated coffee extract on skin aging, cell viability was measured with a MTT assay using cultured CCD-986sk fibroblasts, and its effect on wrinkles in the skin of hairless mice induced by UVB-irradiation was examined. In addition, its effect on procollagen synthesis and anti-oxidative, and 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ollagenase, elastase, tyrosinase and MMP-1 were analysed. After the 30-minute topical treatment, the animals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60-100 mJ/cm2) for 4 weeks and its intensit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et in this study, the skin thickness of hairless mice significantly decreased (11.8-21.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olonged oral intake of a collagen peptide mixture with coffee is expecte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ynthesis of procollagen in dermal fibroblast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lleviation of wrinkling and lowered elasticity due to structural damage to the dermal layer caused by UV. The oral intake of collagen-coated coffee contributes to increasing collagen bio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lleviates the symptoms of thickened keratin caused by UV irradiation. However, it did not inhibit the enzymes involved in skin aging, whitening, wrinkle improvement, and antioxidation. Based on the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intake of collagen peptide-coated coffee extract can be utilized as an alternative materia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associated with photoaging.

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phora Japonica L. Flowers, Fruits and Branches on Improvements in Skin Condition)

  • 송행선;장혜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1-3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ophora japonica L. (S. japonica)학명의 콩과 식물 낙엽교목인 회화나무의 꽃, 열매, 가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l,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력 측정 및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저해력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각각 261.37 mg/g, 187.49 mg/g, 81.26 mg/g이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50~1,000 mg/L 농도에서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17.68{\pm}1.59{\sim}51.40{\pm}1.04%$, 열매 추출물은 $27.48{\pm}0.22{\sim}50.89{\pm}0.13%$, 가지 추출물은 $30.79{\pm}0.55{\sim}45.17{\pm}0.83%$ 범위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저해능과 PPE 저해능을 실험한 결과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 $0.27{\pm}0.12{\sim}11.38{\pm}0.57%$, $3.70{\pm}1.23{\sim}7.28{\pm}1.01%$ 열매 추출물은 $0.27{\pm}0.02{\sim}0.82{\pm}0.27%$, $3.06{\pm}2.13{\sim}13.03{\pm}2.99%$, 가지 추출물은 $0.09{\pm}0.16{\sim}0.55{\pm}0.27%$, $6.00{\pm}0.96{\sim}9.71{\pm}0.44%$ 범위로 티로시나제 저해능은 꽃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화나무의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능, 효과를 살펴본 결과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이 각 부위별로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 및 GABA 복합물의 섭취가 피부 및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Peptide Mixture with GABA on Improvement Skin and Sleep Quality)

  • 김정기;임성환;김완기;조창희;하재현;서대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7-284
    • /
    • 2018
  •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 메디컬용 코어-쉘 구조의 Bi0.5(Na0.78K0.22)0.5TiO3계 무연압전세라믹 소재의 개발 (Development of Bi0.5(Na0.78K0.22)0.5TiO3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Material with Core-shell Structure for Biomedical)

  • 윤성준;배준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5-22
    • /
    • 2023
  • BNKT Ceramics, one of the representative Pb free based piezoelectric ceramics, constitutes a perovskite(ABO3) structure. At this time, the perovskite structure (ABO3) is in the form where the corners of the octahedrons are connected, and in the unit cell, two ions, A and B, are cations, A ion is located at the body center, B ion is located at each corner, and an anion O is locat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Since Bi, Na, and K sources constituting the A site are highly volatile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100℃ or high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uniformity of the compos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should be suppression of volatilization of the A site material or additional compensation of the volatilized. In this study, the basic composition of BNKT Ceramics was set to Bi0.5(Na0.78K0.22)0.5TiO3 (= BNKT), and volatile site (Bi, Na, and K sources) were coated in the form of a shell to compensate additionally for the A site ions. In addition, the phys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BNKT and its coated with shell additives(= @BNK)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ystal structure through XRD, both BNKT(Core) and @BNK(Shell) had perovskite phases, and the crystallinity was almost similar. Although the Curie temperature of the two sintered bodies was almost the same (TC = 290 ~ 300 ℃), it was confirmed that the d33 (piezoelectric coefficient) and Pr (residual polarization) values were different.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ditional compensation for a shell additive causes the coarsen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sintering density and Pr(remanent polarization). However, coating shell additives to compensate for A site ion is an effective way to suppress volatilization.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would be the biggest advantage to develop an eco-friendly material (Lead-free) that replaced lead (Pb), which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This lead-free piezoelectric material can be applied to a biomedical device or products(ex. earphones (hearing aids), heart rate monitors, ultrasonic vibrators, etc.) and skin beauty improvement products (mask packs for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입술의 주름, 탄력, 보습 개선을 위한 각질 박리 복합물이 함유된 립밤의 임상 효능 평가 (Clinical Assessment of Lip Balm Containing Exfoliation Complex to Improve Wrinkles, Elasticity, and Hydration of Lips)

  • 박지예;신재영;이진용;안명진;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5-364
    • /
    • 2023
  • 입술은 구조적으로 일반 피부와 다른 특유의 각질, 보습 특성을 갖는다. 특히, 각질의 턴오버 주기가 빠르고 최외곽 각질층이 얇아 비교적 각질의 발생량이 많고, 부속기관이 존재하지 않아 수분 유지에 매우 취약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개발될 립케어 제품의 타겟을 각질-보습-장벽 세 가지로 설정하고 각 맞춤 소재의 개선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각질 박리 효능이 있는 소재 3 종에 대해, 각질, 보습, 장벽 개선 효능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Bacillus clausii extract에 의한 각질 개선, 글루코노락톤에 의한 피부 수분 보유량 개선, 세린에 의한 장벽 기능 강화 효능을 확인하였다. 립케어의 인체 효능 검증을 위해 각 효능 성분의 자극이 없는 범위의 농도를 설정하여 립밤 제조 및 인체 효능 평가를 진행하였고, 입술 각질·보습·탄력·주름 개선의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입술의 각질-보습-장벽 케어를 통해 입술의 미용, 건강 지표가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해당 소재들을 립세린 제품에 적용하였다.

산딸나무(Cornus kousa) 열매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us kousa Fruit)

  • 이은호;이선호;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317-323
    • /
    • 2015
  • 산딸나무 열매로부터 phenolic compounds를 추출 후 생리활성을 검정하여 기능성 소재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딸나무 열매에 함유된 페놀성 물질은 물과 40% ethanol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각각 7.04, 4.47 mg/g 함량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phenolic 농도를 $50-200{\mu}g/mL$로 조절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각각 84, 86%였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decolorization은 $100{\mu}g/mL$ phenolics 농도의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84%, 95%였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1.93와 1.82 PF로 측정되었으며, TBARs값은 $15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이 69%, ethanol 추출물에서 89%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34, 60%로 측정되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29, 87%의 높은 효능을 보였다. Tyrosinase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만 19%의 효능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 저해능 측정 결과 $200{\mu}g/mL$ phenolics 농도에서 물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53, 77%의 높은 저해력을 나타내어 주름개선효과가 높았다. 염증억제효과로서 hyaluronida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200{\mu}g/mL$ phenolic 농도의 물 추출물에서 34%의 염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딸나무 열매추출물은 항산화, 통풍억제, 당분해 억제, 주름개선효과, 염증억제 등의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피부 생물학적 파라미터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 and Skin Biophysical Parameters)

  • 이용직;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1-138
    • /
    • 2019
  • Carbonylated proteins (CPs)은 단백질의 염기성 아미노산 잔기들과 지질 과산화 중 생성되는 알데히드 화합물과의 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CP는 UVA와 청색 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흥분하며, CP의 감광 반응을 통해 superoxide anion radicals ($^{\cdot}O_2{^-}$)이 생성되고 각질층(Stratum corneum, SC)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을 통해 새로운 protein carbonylation이 진행되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superoxide anion radicals이 SC에서 CP를 생성하며 색상과 수분 기능을 포함한 피부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stratum corneum carbonylated protein (SCCP)의 생성량과 피부 탄력 개선의 상관정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46명의 건강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8주간 피부임상실험을 진행하였다. 8주간 진행한 피부임상시험은 피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아무것도 함유하지 않은 크림을 사용하고, 다른 그룹은 탄력개선 원료가 함유된 크림을 사용하였다. 임상시험 측정 항목은 DUB scanner를 이용한 진피 치밀도 측정, Primos를 이용한 주름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탄력 측정은 dermal torque meter (DTM310)와 Balistometer (BLS780)를 통해 진행하였다. SCCP측정은 피험자의 뺨에서cyanoacrylate를 이용한 skin surface biopsy (SSB)방법을 이용하여 각질을 채취한 후, 비침습적인 검출 방법을 이용해 SCCP의 양을 조사하였다. 측정은 0주, 4주, 8주 총 3회에 걸쳐서 진행하였으며 각 주차의 측정값을 각각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SC에 존재하는 CP의 양은 피부 주름 및 피부 탄력성과 관련된 생물학적 인자의 수치가 개선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항노화 효과에 있어서 탄력 개선과 CP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차후 피부 항노화 시험방법에 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Using Polymer Micelle and Liposome Containing Cell Penetrating Peptide)

  • 안규민;박수인;김민기;허수현;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85-699
    • /
    • 2019
  • 세포투과 펩티드를 함유한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흡수 증진 및 화장품 성분으로의 응용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실험 및 제형별 피부 침투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에서 $118.83{\pm}9.39mg/g$,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에서 $106.89{\pm}4.45mg/g$로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500 mg/L의 농도에서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74.39{\pm}7.48%$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다. SOD 유사 활성능은 1,000 mg/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이 $91.62{\pm}0.43%$로 가장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후 실험으로부터 항산화, 주름 개선, 미백 활성이 확인되어 배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균소재로서의 실현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배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한 고분자 미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은 Formulation 2($55.45{\mu}g/cm^2$), Formulation 1($46.43{\mu}g/cm^2$), Formulation 0($34.36{\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배나무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리포좀 피부침투 실험에서는 24시간 동안의 실험 결과, 총 축적된 tannic acid의 투과량이 Formulation 5($75.01{\mu}g/cm^2$), Formulation 4($64.01{\mu}g/cm^2$), Formulation 3($36.60{\mu}g/cm^2$)의 순서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배나무 잎 추출물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 주름개선의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고분자 미셀 및 리포좀을 이용한 배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침투 결과를 통해 향후 화장품 산업에 긍정적으로 이용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Phytosphingosine과 Phytosphingosine-1-phosphate의 화장품 소재 특성 연구 (Study on phytosphingosine and Phytosphingosine-1-phosphate as a cosmetic ingredient)

  • 문지선;김영은;표영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82-39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hytosphingosine(PhS)과 Phytosphingosine-1-phosphate(PhS1P)를 피부 미용 측면에서 생리활성을 연구하여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여부를 규명하고자 B16F10 멜라닌 세포, RAW264.7 대식 세포, HDF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3가지 세포에 대한 독성을 파악하고 항염증, 항 멜라닌, MMP-1 발현 억제, Western blot analysis 실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 하고자한다. 본 실험 결과 B16F10, RAW264.7, HDF 세포에 대한 독성이 낮은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항염증 NO 저해능 실험에서 PhS1P이 PhS보다 더 강력한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MMP-1 발현 또한 마찬가지로 PhS1P이 더 우수했고, 그 기작은 ERK 활성 감소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멜라닌 생성 저해능은 알부틴 보다 우수하였으며, 그 작용은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생리활성물질인 PhS과 PhS1P는 주름개선 및 미백화장품의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