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ven geotextil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토목섬유 보강재에 적용한 스트레인게이지 실측값의 신뢰성 평가 (Evaluation of Reliability of Strain Gauge Measurements for Geosynthetics)

  • 조삼덕;이광우;;김욱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87-96
    • /
    • 2015
  • 토목섬유(Geosynthetics)는 도로, 철도, 항만, 댐, 제방 등의 각종 토목구조물에 보강, 배수, 필터, 분리, 침식방지 등의 용도로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토목섬유는 보강토옹벽이나 사면/지반 보강 등을 위한 보강용도로서의 적용이 활발하며, 최근에는 성토체의 안정성과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성토지지말뚝 상부를 토목섬유로 보강하는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목섬유 보강재를 사용한 토목구조물의 안정성 해석을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이나 현장에 적용된 토목섬유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여 토목섬유의 인장변형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토목섬유의 제조방법과 강성도 및 스트레인게이지 부착방법 등에 따라 측정된 인장변형률 값의 편차가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와 직포, 부직포 등 3가지 형태의 토목섬유를 대상으로 스트레인게이지가 부착된 토목섬유에 대한 광폭인장강도시험을 수행하여 video extensometer를 이용하여 측정된 인장변위로부터 산정한 인장변형률과 스트레인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인장변형률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스트레인게이지 실측값의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스트레인게이지 실측값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지오그리드와 직포의 경우에는 신뢰도가 높으나, 강성이 작은 부직포의 경우에는 신뢰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보강용 지오컴포지트의 장기변형거동 해석 (Analysis of Long-Term Deformation Behaviors of Geocomposites for Reinforcement)

  • 전한용;허대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39-45
    • /
    • 2004
  • 단계 등온법에 의한 장기 크리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직포형 지오텍스타일과 부직포형 지오텍스타일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킨 지오컴퍼지트를 사용하였다. 단계 등온법의 경우 온도구간은 $26^{\circ}C$, $40^{\circ}C$, $54^{\circ}C$, $68^{\circ}C$, $82^{\circ}C$이었으며, 하중구간은 설계강도의 40%, 50%, 60%이었다. GRI GS 10에 의한 10,000시간 크리프 시험결과 10%미만의 변형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크리프 변형률에 대한 위사 위입밀도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사 위입밀도가 0%, 50%, 100%인 경우 모두 크리프 변형률이 10% 미만이었으며, 크리프 변형률은 위사 위입밀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였다.

  • PDF

뒤채움재로 점성토를 사용한 보강토벽의 내적 거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nal Deform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used Clayey Soil as Backfills)

  • 김흥기;김유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9-49
    • /
    • 2005
  • 보강토벽의 안정성을 증명하고, 경제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뒤채움재로 현지 점성토를 사용하고 보강재로 부직포와 직포 그리고 부직포와 지오그리드를 혼합 배치하여 일반적인 한계평형해석으로는 안전율이 1.3미만인 2개의 실물 보강토벽을 얕은 연약지반 상에 구축하여 보강재, 수평토압, 그리고 간극수압 등의 거동을 약 15개월 동안 계측 및 분석하였다. 보강재의 길이를 보강토벽 높이의 30%로 설계하였고, 그에 따라 일반적인 한계평형해석에 의한 보강토벽의 안전율이 1.3미만 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실물보강토벽이 얕은 연약지반 상에 안전하게 구축되었고, 분석결과 보강재의 최대변형은 보강재의 특성에 따라 2.3~6.0%로 안전하고, 간극수압은 강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평토압은 안전율과 부등침하 등의 영향으로 보강토벽의 상 하부에서 주동토압과 정지토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eatherability and Reduction Factor of Geosynthetics under Outdoor Exposure Condition

  • Jeon, Han-Yong;Joo, Yong-Su;Lee, Su-Nam;An, Yang-Nim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106-106
    • /
    • 2003
  • 6 woven geotextiles for reinforcement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weatherability and reduction factor on the tensile properties. Decrease of tensile strength as the tool of these evaluations of woven geotextile was examined.

  • PDF

폐색으로 인한 부직포의 투수능 저하 현상 (Permeability Reduction of Geotextile Filters Induced by Clogging)

  • 이인모;김주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1-488
    • /
    • 2000
  • The mechanism of soil-geotextile system has been studied among researchers since the application of geotextile as a replacement of graded granular filters is rapidly growing. The interaction of soils with geotextile is rather complicated so that its design criteria are mostly based on empiricism. Hence,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transport into geotextile induced by the groundwater flow In this study, the permeability reduction in the soil-filter system due to clogging phenomenon is evaluated. An extensive research program is performed using two typical weathered residual soils which are sampled at Shinnae-dong and Poi-dong area in Seoul. Two separate simulation tests with weathered residual soil are peformed: the one is the filtration test(cross-plane flow test): and the other is the drainage test(in-plane flow test). Needle punched non-woven geotextiles are selected since it is often used as a drainage material in the field. The compatibility of the soil-filter system is investigated with emphasis on the clogging phenomenon. The hydraulic behaviour of the soil-filter system is evaluated by changing several testing conditions.

  • PDF

필터 및 배수용 토목섬유의 장기적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8 on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Geotextiles -for Filter and Drainage-)

  • 권우남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0-139
    • /
    • 1993
  • In order to evaluate the long-term permeability performace of the geotextiles, for five different combination of geotextiles and soils the long-term column test metho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The gradient range of the initial stage of the long-term permeability curves varied with respect to the soil types, while that of the final stage vari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soil/geotextile system. 2.The time required for a given soil/geotextile system to reach a interactive stable stage was measured ahout 100 hours for the standard sand and 150 to 600 hours for the silty content soils, respectively. 3.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plain woven geotextile and the non-geotextile in the long-term permeability performance. 4.As the silt content increased, the long-term performance of the geotextiles decreased, and the limiting silt content was about 15%. 5.The thickness and area density of the geotextiles did not influence on the variation of the seepage quantities. 6.The ayerage slope and the transition time of the long-time flow curve were calculated. 7.In order to evaluate the mechanism of soil/geotextile system more perfectly, the gradient ratio test or the hydraulic conductivity test is required.

  • PDF

원형토조 시험을 통한 반복하중에 따른 부직포의 침하특성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for Non-woven Geotextile through Cyclic Loading Model Test)

  • 최찬용;이진욱;김헌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47-54
    • /
    • 2009
  • 국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자갈 도상궤도는 지속적인 열차반복하중에 의해 마모, 노반으로 관입, 노반표면의 불균질 등에 의해 도상자갈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설계 당초 주요 기능이었던 배수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우가 노반에 체류되고 물로 인해 간극수압이 증가하여 전단강도가 저하되어 점진적으로 노반이 연약화된다. 이 논문에서는 원형모형실험을 이용하여 부직포 3종류에 대하여 0일, 3일, 7일 체수조건으로 하여 반복하중을 재하시킴으로써 부직포의 침하특성과 지지력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0일 체수조건에서 토목섬유 보강과 무보강에 따라 최종 변위는 약 1% 차이가 있으며, 지반의 포화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하량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보강재의 중량이 클수록 소성침하량이 작게 평가되었으며, 임계 함수비를 초과한 경우에는 부직포의 인장강도와 중량에 따라 침하량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무보강과 비교해 볼 때 부직포에 의한 토압 저감효과는 있으나, 부직포의 중량에 의한 토압저감 효과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현장 강우재현시험을 통한 방조제 사면필터층의 필터성능분석 (Evaluation of Filter Capacity for Sea Dyke Slope Filter Layer by In-situ Rainfall Test)

  • 오영인;김서룡;유전용;김현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28-837
    • /
    • 2006
  • Geotextiles consist of three major types of geosynthetic material (woven, non-woven and composite) and the functions of geotextiles are separation, reinforcement, filtration, drainage and as a moisture barrier. Although the many research scholar and engineer developed and established the design criteria and construction methodology, sustainable research still needed for optimum design methodology to the complicate field conditions. In this study, in-situ rainfall test performed to develop suitable filter system for sea dyke upper slope filter layer. In-situ rainfall test conducted for seven different filter system and measured the infiltration flux and pore pressure at various filter layer.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double layered geotextile filter and sand transition system is most suitable for sea dyke upper filter layer because which system is effective for drainage of infiltration flow and minimize the deformation of sea dyke cover stone.

  • PDF

고함수비물질의 탈수에 대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실험적 평가 (Laboratory Assessment of Geotextile Tube for Dewatering High Water Content Material)

  • Mo, Xinghua;Kim Tae-Hyung;Moo-Young. Horace K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261-269
    • /
    • 2002
  • 본 논문에서 고함수비 슬러지나 퇴적물들의 탈수에 지오텍스타일 튜브들의 이용이 연구되었고, 튜브들의 사용에 대한 실용성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도 평가되었다. 개조된 실험기를 사용하여 고함수비물질들과 두종류의 woven지오텍스타일 튜브에 대해서 압력여과시험들이 실험되었다. 실험결과, 1) 지오텍스타일 튜브안쪽에 형성된 필터케익이 튜브안에서 세립자 유지의 주 원인이며, 또한 튜브의 투수율 감수의 원인이고, 2) 필터케익형성을 조정해서 토사유지율과 투수율사이의 균형을 얻는것이 성공적인 지오텍스타일 튜브사용에 가장 중요한 것이며, 3) 지오텍스타일, 슬러지 특성, 여과압력등이 탈수효과 및 탈수율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폐기물매립지용 보강형배수재의 배수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Drainage Geotextile for Waste Treatment System)

  • 정지훈;이재영;이명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31-37
    • /
    • 2008
  • 매립지 건설 시 발생하는 침하는 폐기물매립장의 배수시스템의 손상을 일으킨다. 그리고 막힘 현상은 침출수 집배수시스템의 수리전도도를 감소시켜 매립지 내 침출수 수위 상승을 가져온다. 결과적으로 침출수 차단기능을 감소시킬 것이다. 본 연구의 주목적은 침출수 집수 및 배수시스템에서 배수층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부직포와 지오그리드를 결합하여 새롭게 디자인 된 지오텍스타일 (보강형배수재 : RDG)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강형배수재의 수직투수성 변화를 관찰하고 침출수 집배수시스템에서 보강형배수재를 사용해서 배수능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