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ld Input Output Tabl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2초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활용한 수상운송서비스 무역 네트워크 분석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Trade of Water Transport Servic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박선율
    • 무역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75-92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of Water transport servic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efining the status of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This study use World Input-Output Table of Asian Development Bank from 2000 to 2020 and build the International trade matrix of Water transport service from tha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Out-degree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Korea and other main countries in the matrix of World Water transport industry. As a result, Korea rank above 10th in the all centralities and the total output also rank 8th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in the world. However, Singapore has the highest centrality in the world, even though China has the largest Total output among 63 countries.

신재생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 Study on the Economic Effects of Renewable Energy Industry)

  • 권승문;김하나;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9-68
    • /
    • 2016
  • The world's major countries have focused o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as the solution to climate change and the energy crisis. Nevertheless, there are no studies o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s renewable energy industry by using the 2010 Input-Output Table. It is estimated that Korea's renewable energy industry made a production-induced effect of 2.0262 won, and a value-added-induced effect of 0.6138 won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won, and an employment-induced effect of 2.3046 labors through an increase in output growth of 1 billion won. Both the effect ratio and the response ratio were greater than 1, which means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an intermediate manufacturing industry whose forward linkage effect and backward linkage effects are large. These results show differences with previous studies that classified electricity sector and renewable energy industry into final primary production indus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economic effects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will become greater in the future. Therefore, research on statistics related to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s needed for more precise analysis.

주요 국가 및 우리나라 수상운송업 간의 상호 연관구조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Interconnection structure between Major countries and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 박선율;박호
    • 무역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5-195
    • /
    • 2023
  • 해상운송은 개별 국가만이 아니라 세계 경제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며, 글로벌가치사슬(GVSc)을 통한 분업 실현에 이바지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분업 활동은 일상화되어 있다. 해상운송업 사이에도 국제분업을 통한 글로벌 가치사슬(GVSs)이 존재하며 국가 간 해상운송업 사이 혹은 관련 산업 사이에도 거래관계가 발생해 상호 연관구조가 긴밀한 국가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1년 단위로 발표하는 국제산업연관표(WIOT)을 이용하여 63개 국가 중에서 세계 30대 선박 보유국 안에 포함되면서 수상운송업의 총 산출액이 높은 14개 국가를 대상으로 수상운송업 간의 상호 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 국가와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투입구조에서 국산 중간재비중이 약 70%로 유럽의 주요 해운 국가 대비 국내산 이용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 꾸준히 국외 중간투입이 증가하면서 국외 산업과 연관구조가 높아졌으며, 발생하는 부가가치는 하락하였다. 줄어드는 부가가치에 비해 국내 산업으로 생산유발계수는 크게 변화가 없어 같은 금액 투자에도 국내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줄어든 것으로 평가되어 해운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 국가는 투입구조 상에서는 미국(USA), 배분구조에서는 싱가포르(SIN), 일본(JPN) 순으로 해당 국가의 생산활동에 높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산유발계수를 통한 연관구조를 보면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 국가의 수상운송업은 싱가포르(SIN)이다. 싱가포르(SIN)는 유럽 항로의 중간지역으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상호 간에 높은 생산유발효과를 주고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conomic Impacts of Korean Climate Industry - Focusing on Renewable Energy Industry -)

  • 홍준석;박성환;박중구
    • 에너지공학
    • /
    • 제21권1호
    • /
    • pp.109-117
    • /
    • 2012
  • 기후산업은 세계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산업으로서 기후변화를 창출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모든 산업군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중 신재생에너지산업에 한정하여, 2011년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2009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2009년 현재 한국 신재생에너지산업은 1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1644원의 생산을 유발하였으며, 0.3544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의 생산량 증가를 통해 10.065명의 취업을 유발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산업구조 전체 속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하는 산업연쇄효과는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신성장동력으로 지정한 신재생에너지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 더욱 활발하게 추진되고, 신재생에너지산업의 부가가치사슬망(value-chain)에 관련된 산업들에 대한 정책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 북방지역의 식량산업 클러스터 및 가치사슬 네트워크 분석 (Analysis of Food Industry Cluster and Value-chain Network in the Nor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 문승운;김의준
    • 농촌계획
    • /
    • 제23권3호
    • /
    • pp.147-161
    • /
    • 2017
  • Climate changes from global warming and reduction in agricultural land result in volatility of prices of agricultural products, causing a imbalance of food mark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nsnational food industry cooperation system among Korea, China and Russia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food industry in terms of the whole industrial network. This study analyzes the value chain and linkage in the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ies in three nations. The unit structure and the industrial patterns of three nations were derived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WIOT) from 2004 to 2014 every five years.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food security coopera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o promote the mutual growth of food industry through industry linkage and cooperation.

Research on Embodied Carbon Emission in Sino-Korea Trade based on MRIO Model

  • Song, Jie;Kim, Yeong-Gil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5권2호
    • /
    • pp.58-74
    • /
    • 2021
  • Purpose - This paper research on the embodied carbon emission in Sino-Korea trade. It calculates and analyzes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and specific carbon emissions in Sino-Korea trade from 2005 to 2014. Design/methodology -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r embodied carbon emission in Sino-Korea trade during the years 2005-2014, using a multi-region input-output model. First, direct and complete CO2 emission coefficient of the two countries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On this basis, combined with the world input-output table, the annual import and export volume and sector volume of embodied carbon emission are determined. The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mpirical results, the reasons for the carbon imbalance in Sino-Korea trade are clarified, and the corresponding suggestions are put forwar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ies being implemented by the two countries. Findings - The results show that South Korea is in the state of net trade export and net embodied carbon import. The carbon emission coefficient of most sectors in South Korea is lower than that of China. However, the reduction of carbon emission coefficient in China is significantly faster than that in South Korea in this decade. The change of Korea's complete CO2 emission coefficient shows that policy factors have a great impact on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proportion of intra industry trad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s relatively large and concentrated in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ducts, chemical products, etc. These sectors generally have large carbon emissions, which need to be noticed by both countries. Originality/value - To the best knowledge of the author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research the embodied carbon emission of ten consecutive years in Sino-Korea Trade. In addition, In this paper, some mathematical methods are used to overcome the error problem caused by different statistical caliber in different databases. Finally, the accurate measurement of carbon level in bilateral trade will provide some reference for trad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Similarity Analysis of Exports Value Added by Country and Implication for Korea's Global Value Added Chains

  • Cho, Jung-Hwan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3권4호
    • /
    • pp.103-114
    • /
    • 2019
  • Purpose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exports across countries in terms of value added. Exports value added is examined under two categories, domestic and overseas. Using a statistical classification method by distance based on these two value added categories, this paper estimates the similarity of exports value added across countries including Korea. Design/methodology - The model of study is to employ a generalized distance function and then derive the Manhattan and Euclidean distances. The paper also performs cluster analysis using the Partitioning Around Medoids (PAM) and hierarchical methods to classify the 44 sample countries considered in this study. Findings -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44 countries can be classified under 5 groups by their domestic and overseas value added in exports. Korea has a sandwich global value chains (GVCs) position between Japan, China, and Taiwan in the East Asian region. Originality/value - Existing papers point out the double counting problem of trade statistics as the intermediate goods trade across borders increases. This paper addresses the double counting problem by using the World Input-Output Table. The paper shows the need to explore the similarity of value added in exports structure across countries and investigate the GVCs position and role of each country.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Automotive Production Network using the OECD Trade in Value Added Data)

  • 정준호;조형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91-511
    • /
    • 2016
  • 본 논문은 세계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2015년판 OECD-TIVA 자료 분석을 통해 구축된 수출품의 해외조달 부가가치 네트워크 특성을 사회네트워크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5-2011년 기간 동안에 생산공정 분업은 EU, NAFTA와 같은 역내 경제블록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세계적인 차원으로 심화되었다. 둘째, 수출품의 부가가치 해외조달 네트워크는 위계적이고 공간적으로 집중되고 평균거리가 짧아지는 좁은 세상 네트워크의 특성들을 보여주었다. 셋째, 자동차산업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주요 공급자는 소수의 국가들에 불과하지만 중간재의 사용자는 다수의 국가들이다. 가장 핵심적인 해외 부가가치의 공급자들인 미국, 독일, 중국 간에 특징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생산공정 분업이 글로벌 수준에서 전개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 이면에 중심과 주변, 국내와 외국자본의 이분법의 긴장이 놓여 있다.

  • PDF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한 주요국가의 산업경쟁력 분석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the Value-Added Exports in the Major Trading Countries)

  • 이창수;정의련;정유미
    • 무역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7-121
    • /
    • 2016
  • 41개국 34개 산업의 부가가치수출 RCA를 계산하고 각국 각 산업의 경쟁력을 평가하였다. 중국의 성장속도가 한국보다 빠른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의 수출을 대체 또는 추월하고 있다는 증거는 미약하다. 수출 주력산업에서의 일본과의 경쟁력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는 주장 또한 설득력이 미흡했다. 전세계 국가-산업의 패널분석의 시사점은, 대 세계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편으로 산업 내 교역 특히 중간재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부가가치 RCA와 총수출 RCA 간에 격차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 PDF

역내외 밸류체인과 부가가치 교역구조 분석을 통한 Asia Decoupling 가설 검증 (A Study on Asia Decoupling through the Analysis of Global Value Chain and Trade in Value Added)

  • 오혁종;곽노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8-512
    • /
    • 2019
  •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외부 선진 경제권과의 디커플링 가설을 최신 부가가치 교역통계를 활용하여 지역과 국가간 교역패턴 변화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부품이나 중간재 교역비중 등을 통한 간접 측정방법이 아닌 실제 부가가치의 역내외 배분 정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는 부가가치 창출능력 지표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첫째, 2000년대 중반까지 동아시아 성장엔진으로 작용했던 최종수요와 수출의 역내 부가가치 창출능력이 국제금융위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정체상태에 머물고 있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내 국가간 부가가치 배분 패턴의 변화에서 GVC 발전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 배양을 기대할 수 있는 후발 개도국의 기부능력이나 수혜능력에 의미 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중심국으로 기능하고 있는 중국의 역내 부가가치 기부능력이 2000년대 중반 이후 현저히 감소한 반면 수혜능력은 크게 늘어나면서 경쟁관계에 있는 역내 선진 경제국의 부가가치 수혜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등 중국의 역내 부가가치 창출능력이 제한적임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