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place Bully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온라인 뉴스기사 댓글에 대한 토픽 모델링 분석 (A Topic Modeling Analysis for Online News Article Comments on Nurses' Workplace Bullying)

  • 강지연;김수경;노승국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36-74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ublic opinion on workplace bullying in the nursing field, by analyzing the keywords and topics of online news comments. Methods: This was a text-mining study that collected, processed, and analyzed text data. A total of 89,951 comments on 650 online news articles, reported between January 1, 2013 and July 31, 2018, were collected via web crawling. The collected unstructured text data were preprocessed and keyword analysis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using R programming. Results: The 10 most important keywords were "work" (37121.7), "hospital" (25286.0), "patients" (24600.8), "woman" (24015.6), "physician" (20840.6), "trouble" (18539.4), "time" (17896.3), "money" (16379.9), "new nurses" (14056.8), and "salary" (13084.1). The 22,572 preprocessed key word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poor working environment", "culture among women", "unfair oppression", and "society-level solutions". Conclusion: Public interest i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public agreed that negative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shortage could cause workplace bullying. They also considered nurse bullying as a problem that should be resolved at a societal level.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hrough gender discrimination perspectives on nurse workplace bullying and the social value of nursing work.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for female workers who experienced workplace bullying)

  • 김은영;왕은자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2호
    • /
    • pp.69-97
    • /
    • 2020
  • 본 연구는 직장 내에서 괴롭힘 피해를 경험한 여성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탐색하여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경험한 여성 직장인 5명을 심층 면접하고 수집된 자료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여성 직장인들은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여성 직장인들이 경험한 직장 내 괴롭힘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걸림돌로 인식되어 교묘하게 괴롭힘을 당함', '괴로움에 발목 잡힌 채 허우적거림', '좌절감 속에서 다시 일어서기 위해 애씀', '여성으로서의 나를 돌아보며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됨', '누구의 잘못인지 분간할 수 없는 미로 속에 남겨짐'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직장인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의 공통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일반적 구조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고갈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원의 역할 (A Study on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Emotional Deple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The Role of Social Support)

  • 정해숙;김현;현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63-476
    • /
    • 2021
  • 본 연구는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고갈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한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적 지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400부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표본 특성에는 SPSS 24를 사용, 확인적 요인 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경로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에는 SmartPLS 3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직장 내 괴롭힘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정(+)에 영향을 미치며, 정서적 고갈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괴롭힘과 조직몰입 사이의 영향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은 부(-)의 방향으로 부분 매개하였고, 정서적 고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원의 조절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직장 내 괴롭힘은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므로 괴롭힘을 예방하는 기업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며, 조직 내 상사와의 의사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제도나 커뮤니티를 활용하여 종사자들의 조직몰입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국내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질적 메타 종합연구 (Workplace bullying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A meta-aggregation of qualitative studies)

  • 박은준;강현욱;고지운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50-46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qualitative synthesis of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among nurses in Republic of Korea. Methods: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seven domestic and three international databases. Studies published in Korean or English from inception to December 31, 2022 were included. A meta-aggregation approach suggested by the Joanna Briggs Institute was used to synthesize the research findings. Results: Fourte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s a result of a data analysis of the selected studies, 199 subthemes and supporting illustrations were identified and grouped into 36 related categories. Based on the subthemes and categories, five synthesized findings were developed: (1)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auses of workplace bullying; (2) the various types of physical violence and psychological harassment; (3) the negative impact of workplace bullying and its effect on self-growth; (4) active and passive coping efforts in dealing with bullying; and (5) strategies for preventing bullying incidents. Conclusion: Based on the synthesized findings, four recommendations were made: (1) improving the challenging working conditions for nurses; (2) enhancing educational programs for new nursing graduates; and (3) promoting proactive responses from nursing managers in conjunction with an expansion of resilience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Finally, to address the issue of workplace bullying, (4) multi-center and multi-level research involving nursing organizations needs to be conducted.

Prevalence and Forms of Workplace Bullying Among Health-care Professionals in Cyprus: Greek Version of "Leymann Inventory of Psychological Terror" Instrument

  • Zachariadou, Theodora;Zannetos, Savvas;Chira, Stella Elia;Gregoriou, Sofia;Pavlakis, Andreas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9권3호
    • /
    • pp.339-346
    • /
    • 2018
  • Background: Workplace bulling is a pervasive phenomenon with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health of victims and the productivity of organiz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prevalence and forms of workplace bullying among employees working at the public health-care sector of Cyprus using the Greek version of Leymann Inventory of Psychological Terror (LIPT) instrument. Methods: A translation process was followed from the French to the Greek version of LIPT questionnaire. Test-retest reliability express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8 indicating excellent reproducibilit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ssessed by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0.87 suggesting high reliability. LIPT instrument was distributed among 403 employees working at the primary health-care setting and at the largest public hospital of Cyprus with response rate of 73.4%. Results: Women comprised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71.4%). Mean age was 43.3 years. Prevalence of workplace bulling according to Leymann's definition was 5.9%. Most common forms of bullying were "Being continuously interrupted" (17.2%) and "continuously being given new work assignments" (13.5%). Women were significantly more often exposed to at least one mobbing behavior than men within the previous year (49% vs. 35.7%, p = 0.038), whereas nurses were significantly exposed to at least one mobbing behavior as compared to physicians (53.3% vs. 31.4%, p = 0.004). Conclusion: This was the first study that examined the preval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the public health-care sector by elaborating the Greek version of LIPT instrument. Results showed that workplace bullying is a common and complex phenomenon among health-care organizations.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Q 방법론적 접근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A Q Methodology Approach)

  • 최진규;이병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62-57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regarding workplace bullying. Methods: Q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the response patterns. Thirty-six Q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Q population of 210 that included literature re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clinical nurses and nursing managers. Participants were 30 nursing unit managers who had experience managing workplace bullying and they classified the Q samples into a normal distribution frame measured on a nine-poi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response patterns were identified: (1) sympathetic-understanding acceleration, (2) harmonious-team approach, (3)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4) passive observation, and (5) leading-active intervention. The preventive-organizational management type was most frequently used by the nursing unit manage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nursing unit managers attempted to prevent and solve workplace bullying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conduct leadership training and intervention programs that appropriately address the response patterns of nursing unit managers, such as those identified in this study.

남녀 사무직 직장인의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 관계: 조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trait anger and social avoidance with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 최소영;전희선;이승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1호
    • /
    • pp.53-7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에 주목하여, 개인적 요인인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가 직장 내 괴롭힘을 예측하는 관계를 조직 분위기(의사소통 분위기, 사회적 분위기)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중소기업, 대기업 사무직 207명(남자: 115명, 여자: 9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성분노는 조직의 사회적 분위기가 나쁠 때에만 남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회피는 직장 내 의사소통 분위기가 좋을 때에만 남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성분노는 의사소통 분위기를 변인으로 투입한 경우에만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일관되게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회피는 모든 경우에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와 관련이 없었다. 다만, 의사소통 분위기와 사회적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과 개입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대처 경험: Q 방법론적 접근 (A Study on Clinical Nurses' Coping to Workplace Bullying: Q Methodological Approach)

  • 이혜진;심원희;이다인
    • 임상간호연구
    • /
    • 제29권3호
    • /
    • pp.283-295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nurses by categorizing nurses' experience of coping with bullying in the workplace through Q methodology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d to induce correct policy measures and interventions to create an atmosphere created in the nursing clinical field to be more advanced and positive. Methods: To form the Q populati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urses working for more than six months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12 nurses introduced to participants who can provide researchers with a wealth of information on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s without filtration. In addition, the Q population was extracted by reviewing the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38 Q statements in total were extracted. Forty clinical nurses were required to classify Q sample statements,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were analyzed using the pc-QUANA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five types of clinical nurses' experiences of coping with bullying in the workplace were identified: 'tense emotion-based tolerance response,' 'positive thinking-based self-effort response', 'individualistic thinking-based passive response', 'support system-based emotional expression response' and 'active response centered on problem-solving'. Conclusion: The derived response types are expected to be guidelines for suggesting strategies to eradicate bullying in the workplac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dividual level, prevention level, and organizational culture level.

패밀리 레스토랑 주방 종사원의 직장 내 따돌림 지각이 직무 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place Bullying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Kitchen Employee in Family Restaurant)

  • 나태균;전인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7-49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종사원의 인적서비스 의존도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지각 정도가 직무 태도인 직무 만족과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패밀리 레스토랑의 주방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25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250부 중 9부를 제외한 총 241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내 따돌림 지각요인의 군집별 직무 만족의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 따돌림, 인간적 따돌림과 심리적 괴롭힘의 지각이 낮은 군집이 높은 군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직무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 따돌림, 인간적 따돌림과 심리적 괴롭힘의 지각이 높은 군집이 낮은 군집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산업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요인이 종사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식산업 총사원의 직장내 집단 따돌림 지각 요인이 직무 만족 요인에 전체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산업 주방 종사원의 직장 내 집단 따돌림 지각 요인이 이직 의도 요인에 전체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20, 30대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 윤정민;이승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1호
    • /
    • pp.1-1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 20,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피해 현황을 살펴보고,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종사자 347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최소 6개월 동안, 주 1회 이상, 한 가지 이상의 부정적 경험이 있는 경우를 피해자 집단으로 규정할 경우, 77.2%에 해당하는 268명이 괴롭힘 피해자로 분류되었다. 매개모형 검증 결과,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의 증가를 직접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조직불공정성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상태분노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으로 유발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은 상태분노의 상승으로 이어져, 전위된 공격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20, 30대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 현황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위된 공격성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