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Commitment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콘텐츠 비즈니스 여성기업인의 일/가족 역할갈등과 조정 전략 (Work and Family Role Conflict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Women Entrepreneurs in Contents Business)

  • 전방지;한미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50-165
    • /
    • 2008
  • 본 논문은 여성기업인의 일/가족 정체성을 규명하고, 여성기업인이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 그리고 일/가족 갈등 조정 전략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콘텐츠 비즈니스 분야 창업 여성기업인이며, 연구 방법은 심층면접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일 우선적 몰입>, <일/가족이중몰입>, <가족 우선적 몰입>이라는 세 유형으로 여성기업인의 일/가족정체성이 구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가족이중몰입>의 정체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일/가족정체성은 자신이 처해 있는 일/가족상황과 사업성과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사례 여성기업인의 일/가족조정전략은 <일/가족 역할공유전략>과 <일역할 또는 가족역할축소전략>으로 구분된다. 조정전략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일/가족 정체성, 가족, 배우자 등 외부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유무, 가족구조, 사업의 재정적 성과가 밝혀졌다. 여성이 일/가족 역할공유전략을 선택하는 데에는 ‘남편의 지원’ 여부, 즉 남편이 사업 활동에 대한 지지와 격려를 하는 표현적(정서적) 지원과 가사나 육아를 실질적으로 대신 하는 도구적 지원의 양자가 모두 여성의 일/가족역할 공유전략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일역할 축소전략을 선택에는 ‘매출의 부진’이라는 사업상의 성과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Why Can't We Have Both? A Discussion on Work-Life Balance and Women Career Advancement in Malaysia

  • Mustapa, Nursyamsyul Syifa;Noor, Khairunneezam Mohd;Mutalib, Mahazan Abd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3호
    • /
    • pp.103-112
    • /
    • 2018
  • While the number of women labor force in Malaysia is increasing, only a few of them make it to the top. For many reasons, some women turn down top position offer and some of them refuse to stay working. Commitment to the family, work-life conflict and lack of support from the family and the colleagues are among issues that caused women to have less interest to pursue career advancem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of work-life balance and its relationship to women career advancement, and why both are important in Malaysia. The arguments are arranged based on a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to conceptu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career advancement. It is found that both work-life balance and women career advancement are important to retain women in the working world as well as to motivate them to pursue promotion to a higher position. Even though some researchers agre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career advancement is mostly negative, others fou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th constructs. At the end of the paper,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work-life balance and career advancement are presented as well a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근로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Friendly Corporate Culture on Employees' Behavior)

  • 김정우;김경미;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5-92
    • /
    • 2018
  • 본 연구는 제조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친화적 기업문화가 기업의 경쟁력 강화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행복에 영향을 끼쳐 근로자와 기업이 서로 상생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해 진행하였으며 배포된 설문지 중 295부가 최종 유효한 응답지로 선택되었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기업문화, 근무시간, 직장상사의 지원과 가족친화제도 인지도와의 관계를 도출, 가족친화제도의 인지도가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 이직의사,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첫째, 기업문화가 직원의 가족친화인지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근무시간이 가족친화인제도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직장 상사의 지원이 가족친화인지도에는 무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직장상사의 지원은 근로자에게 일-가족 갈등을 줄여주고,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던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넷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직장만족도 및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다섯째, 가족친화제도 인지도는 근로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여섯째, 가족친화제도인지도는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가족친화적 기업문화는 기업과 근로자에게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침에 따라 기업에서는 가족친화제도가 있음을 적극 알리고 제도를 활용하고자 하는 직원에게 적극 권장 및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족친화제도를 받아들이는 문화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중간관리자급을 중심으로 한 인식전환교육과 기업문화로의 정착을 위한 전사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남자간호사의 성역할 갈등,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Male Nurses)

  • 이경주;김미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6-5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ale nurses' gender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mixed method design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N=162) and a sequential qualitative interviews (N=8) from 2nd October, 2012 to 7th February, 2013. Data analysis included t-test, ANOVA, regression with SPSS/WIN 19.0 program and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Results: Factors affecting participant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tatus which accounted for 36.2% of the total variance. In particular, low job satisfaction was not correlated with low organizational commitment despite lower job satisfaction. Three main themes connoting meanings of ambivalence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desiring for the better future in spite of the current difficulty, strengthening their masculinity in tandem with complementing femininity in the midst of gender role conflict, leading their organization at times, and enduring hard work with responsibility for raising their family as a head of household.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male nurses' adjustment to the organization is controlled by ambivalenc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male nurses as a minority in nursing fields for further research.

치과기공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urnover of Dental Technicians)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89
    • /
    • 1998
  • Having taken as cause of dental technicians separation from their service a variety of individual idiosyncrasies, function-related factors,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functional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remai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mail questionnaire poll and interviews on those dental technicians who are mow in the service with private dental technical workshops and dental technical workshops in general hospitals and private dental clinics. The resultant findings from analysis of the re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use of separation form service were revealed, as follows : 1)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academic career, the considerably higher cause of position commitment among causes of individual idio-syncrasies, reflec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P<0.05) 2) The less the number of working hours as viewed from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hours per day, the higher the positive emotion, reflecting a significant relation(P<0.01) 3) Causes from performing duties among function-related causes diclo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among marital status, career, monthly income, and positions(P<0.01) 4) Causes from wag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hours per day(P<0.01), monthly income(P,0.05), and positions(P<0.05) 5) Causes from supervision exposed a significant relation in workplaces(P<0.01) 6) Causes from promotion represented a significant relation in positions(P<0.001) 7) Causes from opportunnities for taking a job as seen from external environment causes also disclo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workplaces(P<0.05) 8) Reponsibility for family sustenace reflec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sex, age, marital status, career, monthly income, work fields, term of employment, positions, and experience of separation(P<0.001) 9) Functional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marital status, career, monthly income, and the average number of hours a day(P<0.05) 10) Oraganizational commitment disclo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term of employment, positions(P<0.05) and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hours a day(P<0.001) 11) The intention to remain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in age,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monthly income, positions(P<0.001) and term of employment.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hours a day(P<0.01), and in the performing work field(P<0.05)

  • PDF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mily-friendly Community Activity of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Apartment House Residents' Representative Committee)

  • 김선미;김소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1호
    • /
    • pp.73-96
    • /
    • 201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d on two types of livable, family-friendly communities and their activities. The landscaping, the community library, and the Dongbu Apartment Residents' Committee were examined in relationship to the everyday lives of the community's residents through observation and an in-depth interview. The experiences and thoughts of two representatives and four volunteers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activity as well as a visible effort to improve quality of life. Further, it implies the necessity of a long-tenn perspective and commitment to developing a livable community base with strategies consistent with integrity and the values of everyday life. Above all, we researchers emphasiz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livable community is the third sector; a public space based on everyday life located between a structurally separate work space and family space.

  • PDF

노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헌신과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Elderly Volunteering Commitment and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Activity Theory)

  • 김미혜;정진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4권
    • /
    • pp.221-243
    • /
    • 2003
  • 활동이론은 노년기 역할상실 혹은 감소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새로운 사회활동에 참여하게 되어 노년기의 생활만족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이론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활동이론을 기초로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노년기 역할감소에 따른 대체적 역할로서 노인의 생활만족감에 영양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23개 자원봉사센터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55세 이상 노인자원봉사자 192명이다. 활동이론은 직업유무, 가구형태, 봉사활동 성취내용으로 조작좌하였으며, 분석결과, 직업유무는 활동빈도와 활동시간에, 봉사활동 성취내용 중 사회적 성취는 지속기간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가구형태는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지속기간이나 활동빈도, 활동시간 등 자원봉사에 대한 헌신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못했다. 오히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활동이론 변수 이외에 봉사활동에 대한 보상, 건강상태, 교육수준, 성별에 의해 설명될 수 있었으며, 노인자원봉사자의 생활만족도에는 동거가족형태나 경제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활동이론만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전적으로 설명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또한 노인들에게 있어 자원봉사활동은 시간의 투입보다는 봉사활동을 통한 성취감과 이들 활동에 대한 지지 혹은 관심 등의 질적인 측면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 자원봉사 분야에 있어 활동이론을 기초로 한 최초의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가족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Family Volunteering and the Family Health)

  • 이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63-87
    • /
    • 2003
  • 우리 사회에서 여러 사회문제의 예방차원에서 가족생활을 증진시키고, 사회복지의 중요한 자원인 자원봉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 가족자원봉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자원봉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정태적 집단비교설계방법으로 전국에서 가족자원봉사 프로그램에 6개월 이상 정기적으로 참여한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건강성을 조사하고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가족자원봉사 경험을 가진 실험집단(494명)이 통제집단(534명)보다 가족 건강성의 모든 영역(가족의 결속력, 가족원간의 의사소통, 가족의 문제해결능력, 가치체계 공유, 역할 유연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통제집단 중 가족이 정기적으로 함께 하는 활동이 있는 경우에도, 가족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가족과 비교하여 가족 건강성이 낮았다. 따라서 가족자원봉사경험이 여타 다른 가족활동보다 가족 건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족자원봉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족단위의 자원봉사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 융통성있는 가족자원봉사 개념규정, 가족자원봉사를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기관사이의 연계, 가족자원봉사의 시간 활용을 위한 탄력적인 근무제도 도입 등 가족자원봉사의 장애요소의 해결들이 제시되었다.

  • PDF

일개 종합병원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업무환경과 주관적 건강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rated Health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 최은숙;이양선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9-22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self-rated health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Methods: A total of 195 nurses working in one general hospital were eligible for data analysis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was measured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enhagen Psycosocial Questionnaire version II (COPSOQ-K). Self-rated health was recoded as good (excellent/good) and not good (fair/poor/bad) to the question, "In general, how would you rate your health status?" Results: 40% of nurses rated their health positively. Commitment to the workplace (OR=1.27), predictability (OR=1.32), recognition and reward (OR=1.41), role clarity (OR=1.32), and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OR=1.25)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of nurse participants. Work-family conflict (OR=0.82)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psychological work environment predicts self-rated health of hospital nurses. Good psychological work environment may be helpful in improvement of nurses' health.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 - 코로나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Work Arrangements and Work-Life Balance - With a Focus on Working From 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손연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2호
    • /
    • pp.37-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23차 부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유연근무제와 근로자의 일·생활균형의 관계에 대해 코로나 19 이후 재택근로 확산의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택근무제는 근로자의 행복도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일자리 안정성과 관련한 직무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택근무자와 비재택근무자의 코로나19를 전후로 한 시간활용 변화를 수면시간, 자기계발시간, 자녀돌봄, 가사노동, 운동, 친교모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가장 큰 특징은 재택근무자가 비재택근무자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가사노동 시간과 자녀돌봄 시간이 더욱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이며 이러한 경향은 여성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재택근무제의 효과가 자녀돌봄과 일을 병행해야 하는 근로자들에게는 그 효과가 반감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여성에게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자녀돌봄 등으로 인해 일·생활갈등 상황에 놓인 재택근로자들이 업무생산성을 유지하고 일·생활균형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유연근무제도가 전통적 성역할을 강화하는 매개체가 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