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Family Conflicts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3초

업무시간 외 SNS를 통해 업무전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 Delivery using SNS out of Duty Hours on Job Performance)

  • 최항항;권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107-116
    • /
    • 2022
  • 중국 직장에서는 소위 '신형 야간근무'라 불리는 WeChat이나 QQ와 같은 SNS를 사용한 업무전달이 보편화되는 있다. 본 연구는 업무시간 외 SNS를 통한 업무전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중국 직장인 3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여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무시간 외에 SNS를 통해 빈번하게 업무전달 연락을 받게 되면 직무스트레스가 커지고, 일-가정 간 갈등을 심화시켜 업무에 대한 열정을 감소시켜 그 결과 직무성과 마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업무시간 외 SNS 활용이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는 기존연구결과와는 다른 견해를 제공해 관련 이론정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반된 견해를 융합하는데 조절효과의 영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중국 서비스 구성원의 직장-가정 갈등과 가정-직장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and Family-Work Confli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ervice Industry Employees in China: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autonomy)

  • 지초;진춘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85-9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시간 근거, 긴장 근거, 행동 근거 갈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 내 서비스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가정 갈등의 하위요인인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과 긴장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직장 갈등의 하위요인인 긴장-근거 갈등과 행동 근거 갈등은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간-근거 갈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직장-가정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자율성은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직장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긴장 근거 갈등, 행동 근거 갈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은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3개 하위요인 중에서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밝혔다.

탈북자 가족 구성원의 가족관계 인식에 관한 조사연구 : 탈북자 가구주 및 그 배우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Family Relationship among North Korean Migrant Families in Early Adaptation : An Empirical Study Centered on Family Members' Perception)

  • 이기영;성향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7권
    • /
    • pp.243-271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family relationship among North Korean migrant families in early adaptation (approximately, up to $5{\sim}6$ years after arrival in the South). Family cohesion, communication, power relationship, and conflicts and domestic violence among family members were examined by the perceptions of 67 male and female householders and their spouses. In the four areas of family relationship, the subjects have quite positive perceptions and shows no cri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perceptions between before and after arrival. However, positive perception on family relationship gradually decreases as the length of time of in the South increases with linear or nonlinear patterns according to subcategories of family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several social work practice implications in resettlement assistance for the North Korean migrant families.

  • PDF

가정폭력 피해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단독으로 상담에 참여한 중국출신 여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Family Therapy for Marriage Migrant Woman who Experienced Family Violence - Focusing on Chinese Woman Who Participated in Counseling alone -)

  • 문정화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5호
    • /
    • pp.91-128
    • /
    • 2017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가족치료에서의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이를 위해 성공적으로 상담을 종결한 전문성 있는 상담자의 상담사례를 수집하여 치료 개입 전략과 효과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총 6회기가 진행된 상담 과정에서 행한이주여성의 진술에서 의미 단위를 구분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상담자는 다음과 같은 개입 전략을 시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미해결 정서문제 탐색을 통한 정서적 분화 돕기, 둘째 가족투사과정과 삼각관계로 인한 미분화 다루기, 셋째 원가족 관계 패턴 및 대처기제의다세대전수과정 다루기를 시도하였고, 넷째 MRI의 의사소통모델을 적용한 정서적 억압에 따른비일치적 의사소통방식의 비효과성 조명, 다섯째 재구성을 통한 내담자의 인식 전환하기, 여섯째 진짜 자기로 이끄는 의사소통방식 제안을 시도하였다. 상담자의 이와 같은 시도로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는데, 치료 효과로는 첫째, 인지적 통찰 및 변화 동기의 촉발, 둘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셋째 불안감소와 자기분화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남편의 상담 참여거부로 보통 혼자서 상담에 참여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가족치료의 효과가 낮을 것으로 우려하는 경향이 있으나 상담자의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면 부인의 갈등해결능력을 향상시켜 가정폭력과 같은 문제 해결에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는 그에 필요한 적절한 치료 개입 전략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융복합 감성지능(EI)과 일-가정 갈등(WFC)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vergence and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나병대;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207-220
    • /
    • 2015
  • 본 연구는 광고 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성지능(EI)과 일-가정 갈등(WFC)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 등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성지능은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 활용의 수준이 높은 직원일수록 직무성과가 높았으며, 감성조절 능력이 높은 직원일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은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로 인한 가정 갈등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다른 산업에 비해 이직률이 높은 광고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의 성과와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 감성지능을 높이고 일과 가정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 및 적절한 제도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of Father)

  • 조설애;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35-456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조사 8차년도의 워킹맘 610명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 워킹맘의 결혼만족도 및 우울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 만족도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결혼 만족도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결혼 만족도를 보호함으로써 워킹맘의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혼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남편의 양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Work-life Conflicts in the AEC Industry - A Comparative Analysis

  • Hu, Wei;Panthi, Kamalesh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8권2호
    • /
    • pp.1-16
    • /
    • 2018
  •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AEC) industry has a culture of long working hours that sometimes extend to weekends. As a result, construction employees find it challenging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ir work and personal live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rarely a clear separation between employees' work and personal life in the AEC industry. This paper suggests that in order to attract and retain a talented workforce, AEC organizations have to cater for the diverse needs of employees with regard to work-life balance.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survey of both professional and managerial employees' perspective on work-life conflict issues in private and public AEC organizations. Perspectives were found to differ, although not significantly, by employees' experience, leadership experience, age and gender. Furthermore, most survey respondents noted that their employers did not have a policy or program in place supporting work-life balance initiatives. Finally, although the AEC industry is making strides to improve work-life balance, the effort is lagging behind other industry sectors in providing policies and programs to promote work-life balance through flexible work hours and various other means.

저소득층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 양육 행동과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 스트레스: 이혼 가정과 양부모 가정 중심으로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Perceived by Children and Mothers' Family Stress in Low Income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 한준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87-97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mothers' family stress by children's sex and parental divorc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with mothers' family stress in low income famil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6 children of 4 to 6 grades and their mothers from low income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OVAs, Pearson's correlations. The result were as follows: Girls perceived more maternal warmth than boys in divorce families, but boys perceived more maternal warmth than girls in intact families. Boys perceived more maternal supervision than girls in intact and divorced families. Mother of divorced families had more childrearing stress than mothers of intact familes. In divorced families, children whose mothers had high levels of childrearing stress perceived less maternal warmth and supervision, and children whose mothers had high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s perceived less maternal warmth. In intact families, children whose mothers had high levels of economic stress perceived less maternal supervision.

소상공인 창업자의 심리적 탈진, 일-가정 갈등, 사업운영 불안에 따른 상담요구 분석 (Analysis of Psychological Counseling Requirement of Small Business Owners according to Psychological Exhaustion, Work-Family Conflicts, and Business-Related Anxiety)

  • 박수경;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209-220
    • /
    • 2016
  • 본 연구는 소상공인 창업자가 겪고 있는 심리적 탈진감, 일-가정 갈등, 사업운영 불안이 상담요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6년 1월 1일부터 1월 30일까지 5주간 충남지역에서 소상공업(도 소매업, 음식 숙박업, 서비스업, 제조업)에 종사하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100부를 배포하고 전량을 회수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 v22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 창업자의 대부분은 상담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심리적 탈진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사업 기간이 짧을수록 상담요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상공인 창업자의 지원을 위한 상담 서비스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섯째, 소상공인 창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정서와 같은 심리 내적 요인에 대한 상담과 함께 배우자와 자녀 관련 갈등에 대한 상담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상공인들이 가정의 건강은 물론 지속적인 사업 성장을 위해 상담 서비스가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하도록 해준다.

  • PDF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in married working women.)

  • 김성국;박수연;이현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67-275
    • /
    • 2017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 요소가 정신건강의 대표적 지표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갈등 요인들을 개인단위, 조직단위에서 파악하여 어떤 요소들을 중심으로 접근해야 할지 고찰하였다. 여성가족패널조사 5차 년도 자료 중 현재 남편과 동거 중인 기혼 유배우 여성이며 임금근로자인 1,29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고, 일-가정 갈등 특성이 포함된 4번째 위계 모형에서 설명력은 12.5%(p<0.001)로 일반적 특성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에서 일에 대한 갈등(${\beta}=.150$, p<0.01)이 우울에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기혼 여성은 성역할 고정관념에서 자유롭지 못하여 가정 내 역할 갈등이 심화되면 이러한 문제가 직장 내 업무수행의 어려움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는 직장 여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가정의 건강과 국가 생산력의 손실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들의 일-가정 갈등을 덜어줄만한 적절한 사회 정책적 대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