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duration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33초

납 사업장의 공기 중 납 농도 및 납 노출 근로자들의 납 관련 생물학적 노출 지표의 관련성에 관한 조사 (The Association of Lead Biomarkers of Lead Workers with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Lead Industries)

  • 김남수;김진호;장봉기;김화성;안규동;이병국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3-52
    • /
    • 200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by type of lead industries and type of lead exposure and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 with lead biomarkers of lead workers in 11 lead using industries. Total of 182 lead workers (male: 167, female: 15) from 11 lead industrie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from March, 2004 to August, 2005.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ere measured by representative personal sampling of workers in each unit workplace and applied same concentration value to the workers in the same unit workplace who did not measure their airborne lead with personal air sampling. Tibia lead, blood lead, zinc protoporphyrin in whole blood, ${\delta}$-aminolevulinic acid in urine,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elected as study variables of indices of lead exposure. Information about type of lead exposure (fume or non-fume other), age, work duration, smoking & drinking habit were also coll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means of zinc protoporphyrin, blood lead and tibia lead in lead workers by different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workplace. While blood lead and tibia lead in lead wor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econdary smelting than other types of lead industries, zinc protoporphyrin, ${\delta}$-aminolevulinic acid in urine and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itharge manufacturing. While the mean blood le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lead workers working in fume type unit workplace than those of non-fume lead workers, the mean airborne lead concentration of fume worker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fume lead worker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and the type of lead exposure on tibia lead and lead exposure indices after adjustment of related covariates,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lood lead and tibia lead, but the type of lead exposure was only associated with blood lead. To verify the causal association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on blood lead and tibia lead, further studies are needed.

건설공사에서의 현금흐름 예측 (CASH FLOW FORECASTING IN CONSTRUCTION PROJECT)

  • 박형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5-41
    • /
    • 2002
  • 현금흐름 예측에 대한 많은 자료들은 실제 Tendering Stage(입찰단계) 혹은 Planning Stage(계획단계)의 Model들로서 Feasibility Study를 위한 Cash Flow Forecasting 주였다. 이 Model 들의 기법들은 하나의 Project를 통해서 Cash Flow를 예측하는 Model들이 대부분이고, 예측 방법은 주로 통계적인 접근 방법, 예들 들어 과거 Data를 통해서 Cash Flow 예측 곡선 Model 만들고 Project 유형별 상수나 변수 값을 부여함으로서 예측에 적용하였거나, Fuzzy Technique을 이용하여 Progress와 Cash Flow의 관계를 수식화 한 Model에 관리자의 경험과 판단에 의한 Forecasting Model도 제시되었다. 또한 Cash Flow가 아닌 기성 Flow 및 Cost Flow를 기준으로 한 표준화된 Model이 제시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Schedule과 Cost를 통합한 방법들, 즉, 간단한 주요 Activity와 Cost를 연결한 방법, Activity와 Cost Item과의 연결, 또는 Work Package를 이용한 방법, 마지막으로 좀더 정확도를 기하기 위한 Resource Level까지의 통합을 통해서 Project의 Cash Flow를 예측한 연구들이 이루어 졌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예측 방법은 실제로 Planning Stage에 Forecasting한 Model로서 현재 진행중인 Project에 적용하기에는 그 정확도면에서 상당히 떨어지고, 대부분의 Model들은 Cash Flow 예측에 가장 중요한 Time lags를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Resource까지 연결은 현장 Engineer들의 많은 작업과 관리를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는 시공단계에서의 Project의 현금흐름 예측에 관한 연구로서 매출계획과 건설회사의 실행 예산을 이용하여 현금흐름예측을 할 수 있는 Model을 제시하였다. 특히 건설공사의 현금흐름 예측의 중요한 요소인 Cash-Out에 대하여, 공사비 구성요소인 자재, 노무, 중기, 외주, 경비등 각 Resource의 보할(Weights)을 실 공사원가에 따른 보할의 변화와 Resource들의 Time Lag를 적용 기존 연구자의 Model과 다른 Model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자들의 Model과 비교하여 편리성, 정확도 및 신뢰성이 높은 Model임도 증명하였다.

  • PDF

모유수유에 대한 산모의 의식과 실천 현황 (Current Understanding and Practices of Breast feeding by Mothers)

  • 박은영;조수진;이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1호
    • /
    • pp.1162-1165
    • /
    • 2005
  • 목 적 : 실질적인 모유수유 교육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산모의 모유수유의 실태와 의식을 조사하고 6년 전 시행했던 유사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우리나라 모유수유의 추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동대문병원에서 건강한 신생아를 출산한 127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산모는 출산 후 1일에 면담하였고 1, 2, 3개월에 다시 전화 추적 면담으로 모유수유 상태와 계획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분만 직후 96.1%의 산모들이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이중 73.2%는 완전 모유수유를, 22.8%는 혼합수유를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 기간은 대부분에서 7-12개월을 계획하고 있었다. 모유수유를 주위에서 권장한 사람은 가족이 가장 많았다. 3개월이 경과되면서 완전 모유수유를 하는 산모의 비율은 50%정도로 감소하였고, 혼합 수유하던 산모들은 대부분 인공수유로 이행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1999년에 Jung 등이 시행했던 연구에서와 비슷하나 3개월까지 완전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모유수유 실패 요인은 젖 부족이(35.0%), 직장 복귀가(27.5%)로 의료인의 지지와 교육으로 도와줄 수 있는 원인들이었다. 결 론 : 1999년 Jung 등의 연구와 비교하여 볼 때 생후 3개월까지 완전 모유수유를 유지하는 비율은 27%에서 50%로 증가하였으나, 모유수유를 실패하는 대부분은 생후 1개월에 인공수유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혼합 수유를 시행하는 산모에게 실질적이고 지지적인 교육을 통해서 모유수유 성공률은 증가될 수 있다.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감홍' 사과의 저온저장 중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arvest Sprayable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 Stored 'Gamhong' Apples)

  • 유진기;김대현;이진욱;최동근;한증술;권순일;권헌중;강인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79-283
    • /
    • 2013
  • 본 연구는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Harvista) 처리가 국내 육성품종인 '감홍' 사과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체살포용 1-MCP 처리 후 수확시에 과실의 산 함량은 1-MCP 수확 10일전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높았으나 다른 과실품질 요인들은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저장동안 '감홍' 사과의 품질변화를 보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1-MCP 처리 과실들의 경도와 산 함량이 무처리 과실보다 높게 유지되었으나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내생 에틸렌 발생량은 수확시에는 처리간 차이가 없이 낮은 에틸렌발생을 보였으나 무처리 과실들은 저장 180일에는 $58.3{\mu}L{\cdot}L^{-1}$로 급격히 증가한 반면 1-MCP 처리 과실들은 $18.24{\sim}25.03{\mu}L{\cdot}L^{-1}$로 현저히 낮은 발생량을 보였다. 따라서 '감홍' 사과에 수확전 수체살포용 1-MCP 처리가 저장기간동안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장애에 따른 상실건강년수를 활용한 우리 나라 주요 암질환의 질병부담에 관한 연구 (Burden of disease of major cancers assessment using years of lives with disability in Korea)

  • 윤석준;장혜정;신영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801-813
    • /
    • 1998
  • 우리 나라의 주요사망원인에 해당하는 암질환을 대상으로 YLD를 측정하여 주요암질환간 질병부담의 우선 순위 측정하고 이의 활용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한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우리 나라 남성의 암으로 인한 질병부담의 우선 순위 위암(4081.4년), 간암(3104.2년), 대장 및 직장암(3086.2년), 식도암(1511.9년), 폐암(1166.7년), 췌장암(1093.8년), 방광암(665.6년), 전립선암(421.7년), 백혈병(397.2년), 임파선암(259.7년)으로 계산되었다. 여성의 경우 암으로 인한 질병부담의 우선 순위 위암(2707.1년), 식도암(1536.7년), 간암(1468.5년), 자궁암(1311.8년), 난소암(974.3년), 췌장암(763.5년), 유방암(724.5년), 폐암(689.9년), 백혈병(351.3년), 임파선암(241.1년)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 사용한 연구재료 및 연구 방법의 불완전성에도 불구하고 향후 보건의료정책의 우선순위결정, 즉 한정된 자원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계량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 PDF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Education Needs for Sexuality of the Elderly)

  • 양정임;정미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60-270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의 I, K, J시의 종합병원 2곳과 노인 요양원(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235명이었으며 자가보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12월 1일부터 10일까지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각 변수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DUNCA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지식 평균점수는 $15.91{\pm}6.43$이고, 결혼(p=.024), 근무지(p<.001), 경력( p=.006),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태도 평균점수는 $38.26{\pm}4.41$이고 근무지(p=.03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09),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성교육 요구도의 평균점수는 $35.97{\pm}6.28$이며 연령(p=.023), 노인 가족과 동거여부(p=.014), 성교육 필요여부(p<.001), 성교육 수용여부(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간호사의 노인의 성에 대한 성지식은 성태도(p<.001)와 성교육 요구도(p<.001))가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로 학부과정 및 간호사 대상으로 노인의 성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기초로 임상에서 노인들의 건강 사정 및 간호 중재 시 노인의 성에 대해 좀 더 적극적인 간호가 요구된다.

근근막 동통증후군과 전침(Electric Acupuncture)치료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lectric Acupuncture Therapy on Myofascial Pain Syndrome)

  • 정문봉;이상한;민봉기;윤미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97-903
    • /
    • 1999
  • Many out patients of the rehabilitation center complaint a pain caused by suffering of MPS, and it brings many different kind of social and ecinomical problems such as medical expenses and the reduction in work efficiency. Therefore, we conducted a research to present a fast and effective treatment to the MPS patient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996 to January 1998 with eighteen outpatients who agreed to be the subjects to our reserach. We applied the electric acupuncture on 28 different trigger point on the patients with mostly muscular-skeletal pain and some tender and radiating pain. After the treatment, VRS, VAS, PRI were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pain on the patients third and seventh visits, and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o apply EAP treatment, we acupunctured 6em-Iong needles on Tps region, then the electrodes of pulse generater pg-306 E.S.T were connected on the top of the needles. the electric acupuncture therapy was conducted for 20 minutes with the intensity of 4hz - 60hz(auto wave). The treated electric intensity was the level at which the patients did not feel discomfort. 2. Thirteen out of the 18 participated patients were in their 30s and 40s(72.2%), showing highest frequency. There were more female than male with the ratio of 1 to 1:2. 3. six out of the participated patients (33.3%) had the pain for less then a week, and the average duration of the pain of the participated patients wear 0.8 years. 4. The pain occured mostly in the upper trapezius by 6 part (21.4%), then in the gluteus medius region by 4 part (14.3%). Many of the patients with the pain in the upper back area accompanied varios kind of the referred pains such as radiculopathy, HIVD and Frozen shoulder. 5. MPS occured more frequently on the right side than left side then left side and it seemed to be due to the frequent use of the right hand. 6.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measurement of the intensity of the pain right before and after the EAP treatment. Howerver,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VAS, and a little bit of decrease in the numerical values of the PRI after the EAP treatment. 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resent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EAP can be used for the treating the myofascial pain syndrome with promptness and safety in most cases.

  • PDF

원유의 노출이 담치와 조피볼락의 phase II 약물대사효소 UDP-glucoronosyl transferase 및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Activity Changes in Phase II Drug-metabolizing Enzymes UDP-Glucoronosyl Transferase and Glutathione S-Ttansferase to Crude Oil Exposure in Mussel and Rockfish)

  • 박관하;김주완;박음미;임철원;최민순;최선남;황인영;김정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2호
    • /
    • pp.103-113
    • /
    • 2006
  •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crude oil on the phase II drug-metabolizing enzymes UDP-glucuronosyl transferase (UDPG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in mussel Mytilus edulis and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 representative bivalve and a culture fish, respectively. This work also intended indirectly to evaluate the post impact recovery from the massive oil tanker spillage accidents occurred during the summer of 1995 in the sea area off Yosu City, Chonnam. For these, enzyme activities of UDPGT and GST were examined in the fish and mussel following laboratory exposure to fresh crude oil, weathered oil, field-obtained oil residues, or in the field biota samples. Decreased GST activity was observed in rock fish following exposure to oil-soluble fraction (OSF) of fresh oil. A similar diminished GST activity was also observed after OSF of artificially weathered oil. OSF of field oil residues retrieved from the spillage area approximately 1 year later also exerted a slight inhibition of GST to rockfish. There was neither a change in UDPGT in rockfish, nor were there changes in mussel in both enzymes to any oil fractions. We could not observe any difference in the two enzymes either in rockfish or mussel sampled from the field during $1.5{\sim}2.0$ years post spillage, indicating that their enzyme systems might had been recovered by the sampling time. In conclusion, it seems that the inhibition of GST activity in rockfish is a biomarker response to crude oil exposure. The results, however, must be interpreted with care, as the inhibition nay reflect various factors such as oil concentration, duration and water temperature.

미니돼지에서 허혈성 신장 손상의 조기진단 (Initial Diagnosis of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Ischemia in Miniature Pig)

  • 김세은;고아라;배춘식;박수현;한호재;심경미;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6
    • /
    • 2011
  • Acute renal injury induced by ischemia is a major 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in hospitalized patients and a common complica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Thus, the work with acute renal failure and renal ischemia has been studied for many years. Although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that is widely used as an index of renal function performs fairly well for estimating kidne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kidney disease, it performs poorly in the setting of acute disease. Thus, an ideal biomarker for acute kidney injury would help clinicians and scientists diagnose the most common form of acute kidney injury in hospitalized patients, acute tubular necrosis, early and accurately, and may aid to risk-stratify patients with acute kidney injury by predicting the need for renal replacement therapy, the duration of acute kidney injury, the length of stay and mortality. In this study, renal ischemia and reperfusion were performed by clapming and un-clamping right renal artery in miniature pigs. Plasma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were examined at pre- clamping, after-clamping at 0, 1 and 3 hours. And we searched initial indicators in these samples. Also, renal tissue was collected and searched the initial indicator by PCR and western blotting. As a result, hypoxia inducible factor $1{\alpha}$ ($HIF1{\alpha}$), nuclear factor kappa-B ($NF{\kappa}B$), $I{\kappa}B$, erythropoietin (EPO), erythropoietin receptor (EPOR), angiopoietin-1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ere showed significant changes among the renal protein. $HIF1{\alpha}$, EPO, and EPOR were showed significant changes among the renal gene. Thus, these markers will be used as initial diagnosis of acute renal failure.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수행 시 모듈러 유닛 공장생산계획수립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Planning for Multi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Genetic-Algorithm)

  • 김민정;박문서;이현수;이정훈;이광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54-64
    • /
    • 2015
  • 모듈러 건축공법은 공장 생산, 운송, 현장설치 프로세스를 통해 기존 현장중심 건축공법에 비해 품질향상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모듈러 유닛의 제작과 시공이 분리되어 수행되기 때문에 다수의 프로젝트가 동시에 수행될 경우 각 프로젝트에 따라 생산해야하는 모듈의 크기, 수량, 납기일, 생산 유형 및 과정을 고려하는 SCM(Supply Chain Management) 관점의 공장 생산 공정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계획은 개별 프로젝트 중심으로 수립되고 있어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 수행 시 모듈러 유닛 제작공장의 한정된 자원과 설치 현장별 프로젝트 요구조건들을 동시에 고려한 공장 생산계획을 도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 간 상호 연계성 및 제약조건으로 공정 계획 최적화 결과 도출이 가능한 유전자 알고리즘 방법을 통해 모듈러 유닛 제작공장의 한정된 자원과 설치 현장별 요구사항이 반영된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공정계획 최적화 수립 모델을 제시하며 이를 사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 다중프로젝트의 공장생산계획에 비해 평균 7.9%의 현장설치 공기단축 및 43%의 최대 야적장 이용률 감소가 가능하였다. 향후 본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제약 조건 범위 확장 및 생산성 데이터 추가가 될 경우 다중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의 모듈러 유닛 공장 생산 계획 수립과 현장시공프로세스 구축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