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classification cod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3초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의 공종분류코드 통합기준 연구 (Integrated Code Classification System for Work Sections in Standard Method of Measurement and Construction Standard Specifications)

  • 강인석;곽중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80-91
    • /
    • 2001
  • 건설분야 표준분류체계의 코드항목들은 비용정보, 시방정보 등 분류체계가 적용되는 건설산업분야의 모든 정보들에 일관되게 적용될 때 그 효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므로, 토목분야 공종정보들은 하나의 단일화된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동일하게 분류될 필요가 있다. 현행 국내의 토목분야 표준분류체계 중 공종분류체계는 '통합건설정보분류체계',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 및 '공사시방서 작성요령' 내의 공종분류체계가 각각 개별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10여 종의 토목분야 표준시방서 공종분류 또한 각각 상이한 분류방식 및 코드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토목공사 수량산출기준이 국내 토목분야 공종분류 체계로서의 대표성과 표준분류체계로서의 효용성을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수량산출기준 코드체계를 중심으로 하는 시방서 분류코드의 통합기준을 구성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웹기반 활용시스템 시안을 구성하여 제시된 통합기준의 활용방안을 구체화하였다.

  • PDF

예제기반 한국어 표준 산업/직업 코드 분류 (An Example-based Korean Standard Industrial and Occupational Code Classification)

  • 임희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94-601
    • /
    • 2006
  • 통계청에서 실시하는 통계 조사에는 한국 표준 산업/직업 분류 코드를 작성하는 작업이 많이 포함되는데, 현재 대부분의 코드 분류 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막대한 노동력과 비용이 소모되고 작업결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수동 코드 분류 규칙과 예제기반의 자동 학습을 이용하는 한국어 표준 산업/직업 코드 자동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산업과 직업에 대하여 설명하는 자 연어를 입력받아 해당 산업/직업 분류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수작업으로 구축된 규칙을 적용한 후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레코드는 예제 기반의 학습을 이용한 자동 분류 시스템에 의해서 해당 코드를 할당한다. 수작업 규칙 260여개와 40만여개의 예제를 이용하여 학습한 시스템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한 시스템은 직업 코드 분류에서 76.69% 그리고 산업 코드 분류에서는 99.68%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옹벽 구조물의 표준 DB화 방안 및 유지관리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aintenance and Standarization Plan Concerned with DB of Retainging Wall)

  • 이송;심민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29-140
    • /
    • 2000
  • Retaining wall is a constructed structure in order to construct road, rail, building for effective use and obtainments of the limited ground. Recently, many kinds of research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to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bridge, tunnel, road. With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of that, many kinds of data with respect to statistics is cumulated. Database work of retaining wall is wholly lacking and lagged behind in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This paper suggests classification system on inspection data. On the basis of that, code work with classification system was practised and DB program of inspection data of retaining wall was developed. And input work for a data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was pract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kind of statistics data and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using statistic data on retaining wall.

  • PDF

철도터널의 유지관리 DB 프로그램 개발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Database Program for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Railway Tunnel)

  • 이송;구자갑;심민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39-146
    • /
    • 2000
  • Recently, many kinds of research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to the field of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n facilities.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n tunnel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is most important among the things to have a efficientl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on tunnel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and, on the basis of that, code work with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 and input work was pract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kind of statistics data and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using statistic data on railway tunnel.

  • PDF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on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오영찬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181-208
    • /
    • 2019
  •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 대해 '기능적 출처'의 개념에 입각하여 새로운 분류 체계와 분류 기호를 제시하였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기관이므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체계에 부합되고 편입이 가능하도록 문서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기능적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그러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간명한 분류 기호가 부여됨으로써 문서의 검색과 활용에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체계에 맞춰 총독부박물관의 대기능은 학무국으로, 중기능은 학무국 산하의 과 단위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출처' 개념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업무 기능은 서무, 고사사, 명승천연기념물, 고적, 박물관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계별 문서는 업무 내용에 따라 다시 2차 분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 세부기능의 순으로 분류 기호를 설정하였다. 총독부박물관 문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체계에서 'A 학무'에 해당된다. 중기능 분류 기호는 학무국 내 과별 조직의 변천과 기능을 고려하여 학무(01), 편찬(02), 종교(03), 사회교육(04), 박물관(05), 기타(06) 등으로 설정하였다. 소기능은 총독부박물관의 기능을 분석하여 추출하였으며, 2자리 숫자를 부여하였다. 서무(01), 고사사(02), 명승천연기념물(03), 고적(04), 박물관(05)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계별 업무에 해당된다. 세부 기능과 그 아래 하위 기능은 계 내에서 업무 분장과 연결하여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자료 분류현황 분석 및 제언 (Analysis and Suggestion of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 여지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85-304
    • /
    • 2022
  • 이 연구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이 가지는 이중언어 및 한국어 이외의 현지 언어로 발간된다는 특징에 주목하여 도서관의 자료분류에서 문학류의 언어에 의한 분류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국내 대학 및 공공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디아스포라 문학 자료의 분류기호를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 국내 도서관들은 원작품의 언어에 분류하거나 또는 작가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KDC의 문학류 분류규정에는 원작품의 언어에 대한 규정은 있지만, 작가에 대한 규정은 없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 도서관들은 동일한 작가의 작품을 언어에 따라 분산하는 것이 아니라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아스포라 문학작품을 원작품의 언어가 아니라 작가에 따라 다르게 분류하고 있었다. 따라서 국내 도서관이 가지는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작품의 분류의 혼란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KDC에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과 한국문학을 포괄하는 '한민족 문학'을 810에 분류할 수 있는 별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별법은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대한 특별한 요구가 있는 도서관을 위한 시도적 제안이며, 이 별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추가의 조사 및 연구가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의약 정보검색을 위한 ATC코드기반 매핑 스키마 설계 (Mapping Schema Design for Medicine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ATC Code)

  • 김대식;김미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53-59
    • /
    • 2021
  • 의약품 정보검색 서비스를 사용할 때 대표적인 검색방법은 ATC(Anatomic Therapeutic Chemical Classification) 코드를 사용하는 것이다. 기존의 ATC코드 기반 의약정보 검색은 주요 성분이 한가지인 단일제 검색에는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복합제의 경우에는 검색 오류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의 원인은 ATC코드 기반 검색은 단일제 ATC 코드를 패턴매칭하여 진행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ATC코드기반 검색 시 주성분을 기준으로 복합제를 검색하는 요구사항 시나리오를 분석하여 ATC코드기반 매핑 스키마를 설계하였다. ATC코드기반 매핑 스키마는 복합제의 ATC코드와 복합제에 포함된 모든 단일제의 ATC코드를 저장한 스키마를 의미한다. 이 스키마를 사용한 ATC코드기반 검색은 단일제의 주성분으로 복합제를 검색하므로 기존 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 ATC코드기반 매핑 스키마는 의사의 환자 처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의약품 안전 사용 서비스의 정확도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터널의 진단자료 DB화에 의한 유지관리 연구 (Study o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using DB Program of Inspection Data for Tunnel)

  • 이송;심민보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3-510
    • /
    • 2000
  • Recently, many kinds of research has been actively developing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works. These works include the general field of design, construction, supervis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n facilities.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for a standardization and information were chiefly propelled centering around the present conditions related to the design, construction work. The field related to maintenance and management on facilities lags behind in the works of database constructi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classification system(SCS) on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is most important among the things related to maintenance and management to have a efficiently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SCS on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according to that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SCS of facilities and inspection data, code work with classification system and input work for a data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was practis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kind of statistics data and investigate a characteristics of inspection using statistic data on tunnel structures

  • PDF

Cost Effective Image Classification Using Distributions of Multiple Features

  • Sivasankaravel, Vanitha Sivagam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7호
    • /
    • pp.2154-2168
    • /
    • 2022
  • Our work addresses the issues associated with usage of the semantic features by Bag of Words model, which requires construction of the dictionary. Extracting the relevant features and clustering them into code book or dictionary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and requires large storage area. Hence we propose to use a simple distribution of multiple shape based features, which is a mixture of gradients, radius and slope angles requiring very less computational cost and storage requirements but can serve as an equivalent image representative. The experimental work conducted on PASCAL VOC 2007 dataset exhibits marginally closer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with the Bag of Word model using Self Organizing Map for clustering and very significant computational gain.

BIM기반 고속도로 공사 물량산출 신뢰성 검토 및 활용 (Reliability Analysis and Utilization of BIM-based Highway Construction Output Volume)

  • 정국영;우정원;강경돈;신재철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9-18
    • /
    • 2013
  • In case of applying the BIM method in the civil engineering of irregularly shaped structure, BIM method began to be introduced in the current building engineering area compared with the expected effects of the relatively high construction productivity has been recognized. In this paper, I have developed quantity calculation algorithms applying it to earthwork and bridge construction, tunnel constructio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ulvert construction and implemented BIM based 3D-BIM Modeling quantity calculation. Structure work in which errors occurred in range between -6.28% ~ 5.17%. Especially,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the existing 2D-CAD based of quantity calculation through rock type quantity calculation error in range of -14.36% ~ 13.07% of earthwork quantity calculation. It's benefit and applicability of BIM method in civil engineering. In addition, routine method for quantity of earthwork has the same error tolerance negligible for that of structure work. But, rock type's quantity calculated as the error appears significantly to the reliability of 2D-based volume calculation shows that the problem could be. Through the estimating quantity of earthwork based 3D-BIM, proposed method has better reliability than routine method. BIM, as well as the design, construction, maintenance levels of information when you consider the benefits of integration, the introduction of BIM design in civil engineering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for the effectiveness was confirmed. In addition, as the beginning phase of information integration, quantity document autom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activation of BIM. And automatically enter the program code number, linkage and manual volume calculation program, quantity document automation programs, such as the development is now underway, and step-by-step procedures and method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