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and Life Balance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3초

Medi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 Seong-Uk Baek;Jin-Ha Yoon;Jong-Uk W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1호
    • /
    • pp.100-106
    • /
    • 2023
  • Background: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work-family conflict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Methods: Our study measured the two dimensions of WFC, time-related, and strain-related, which were considered multiple mediators.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anxiety and insomnia was investigated by decomposing the total effect into a 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anxiety or insomnia) and an indirect effect (long commuting time → WFC → anxiety or insomnia). The combined indirect effect (joint indirect effect) of strain-related WFC and time-related WFC was estimated. The effects were presented as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Results: The direct effect of 120 min or longer of commuting time was 1.39 (95% CI: 1.17-1.65)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anxiety and 1.64 (95% CI: 1.41-1.90) times increase in the odds of insomnia than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less than 60 min. In the case of indirect effects, those whose commuting time was 120 min or longer had 1.13 times higher odds of anxiety (95% CI: 1.07-1.18) and 1.12 times higher odds of insomnia (95% CI: 1.07-1.17) via WFC. The joint indirect effects accounted for 26.4% and 18.5% of the total effect on anxiety and insomnia, respectively. The longer the commuting time, the stronger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Conclusions: Our findings highlight the mediating effect of WFC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g commuting times and workers' anxiety and insomnia.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과 가족 양립 관련 가치관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work-family balance values in Korea, Japan and U.K.: Focused on married working women)

  • 손영미 ;박정열;전은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253-277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영국의 기혼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일과 가정의 양립 관련 가치관(일-가족지향성, 맞벌이태도-경력단절태도, 결혼 및 자녀필요성, 일의 가치 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이들 가치관에 대한 세대 간 차이를 발견하고, 한국, 일본, 영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주된 가치관 유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311명, 일본 324명, 영국 322명의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이 일본과 영국에 비해 일지향적이며, 일에 있어서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가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여성이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이 높으나, 일과 가정의 갈등상황에서 여성이 일을 그만두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성도 높은 것으로 드러나, 여성의 일-가정에 대한 이중적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둘째, 영국은 삶의 중심을 가족에 두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여성이 반드시 일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았다. 군집분석결과, 영국은 여성이 가정의 주책임을 맡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 '여성-가족돌봄가치지향'집단과 가족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가족가치지향'집단에 많이 분포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일본은 한국과 영국 중 가족지향성이 가장 낮고, 일지향성도 낮으며, 일에 대해서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는 정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군집분석결과, 일본 조사대상자의 경우 가장 높은 비율이 '가치관약화집단'에 포함되고 있어, 가족의 영역에서도 일의 영역에서도 동기와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소진된 경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본은 맞벌이 태도와 경력단절태도, 결혼 및 자녀필요성이 일관되게 진보적인 성향을 보이고 있어 한국과는 구별된다. 이 같은 결과를 한국, 일본, 영국의 사회경제정책 및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 PDF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모의 경제활동 중단 의향 (Intentions of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o Leave the Labor Force)

  • 손서희;이재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3호
    • /
    • pp.157-17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xts in which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consider leaving the labor force. We used a mixed methods design, which integrates the finding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o better understand the dynamics underlying employed mothers' intentions to leave the labor force. The participants of both quantitative (N = 324) and qualitative (N = 16) data were married mothers who were employed full-time and had at least one child younger than elementary-school age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Bot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logistic regression and the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ild's age, the husband's income, the utilization of child care by relatives, the mother's job involvement, family-to-work role conflict, and other costs and rewards of participation in the work force were the important contexts where employed mothers considered leaving the labor force. The quantitative analysis uniquely found that being employed at a workplace with flexible work hours were associated with lower odds of considering exit from the labor market. The qualitative analysis highlighted that the decision to leave the labor force or to stay in it is a complicated issue that almost all employed mothers potentially face at some point in their care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licy support is warranted to help employe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remain in the workforce when they wish to.

성인의 가족공유시간 유형과 유형별 특성 (A Typology of Family Shared Time of Korean Adults)

  • 김외숙;한영선;이기영;이연숙;조희금;이승미;윤용옥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2호
    • /
    • pp.165-186
    • /
    • 2012
  • Studies on time-use have generally concentrated on the amount of time used by each member of a household in Korea.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amount and types of interactions between family members. This study examined the time that adults spend with their family members on various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typology of family tim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data source was the 2009 Time-Us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people involved in each activity were surveyed for the first time in the 2009 survey in Korea. The data from this study included 10,902 diaries that were filled on weekdays by married adults from ages 20 to 59 years. Data from rural households were excluded. Time use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amily meals, household work and family leisure time. These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squar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Family time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ree categories. The four types were named "leisure sharing", "household work sharing", "overall sharing" and "non-sharing". The most common type was non-sha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depended on gender and paid work time. Based on these results, family and labor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work-life balance. Policies that focus on men over 40 years are especially recommended.

  • PDF

일로부터 추구하는 '재미'의 중요성 - 창의 노동과 내재적 동기의 관계에 대한 고찰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enjoyment' from creative work -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labor)

  • 안채린
    • 문화경제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5-144
    • /
    • 2017
  • 본 연구는 창의 노동자들의 업무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의적 생산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16명의 예능 방송 PD들을 대상으로 반구조적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창의 노동자들의 일에 대한 내재적 동기는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로 해석되었다. 이는 외부적 시각을 바탕으로 한 재미와 창의적 생산자로서 경험하는 재미의 두 가지로 분류되었다. 이어서 창의 노동자들의 내재적 동기는 창의적 업무 과정에서 맞닥뜨리는 여러 충돌과 갈등(시청률, 경제적 안정성, 일-삶의 균형)에 맞서 해당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강한 원동력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창의 노동자들이 창의 노동 과정에 산재해있는 자기 착취적 요소들까지도 자발적으로 감내하도록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이상적이지 않은 창의 노동 조건과 환경을 받아들이고 창의 노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창의 노동자들의 특수한 경향에는 일에 대한 강한 내재적 동기가 기초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생활시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ime Us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 김외숙;박은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4호
    • /
    • pp.119-13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ime u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sources were the '2009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2009 ATUS (American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Labor Statistics Division in the U.S.. 1,734 Korean diaries (1,311 on weekdays and 423 on Sundays) and 321 American diaries (208 on weekdays and 113 on Sundays) from high school students of 15 to 18 years of age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time use patterns of Korean students on weekdays and Sundays were different than those of their American counterparts. On weekdays and Sundays, the sleeping time of Korean students was 2 hours less than the time of their American counterparts. Koreans studied more, nearly double the time of their American counterparts on weekdays and five times more on Sundays. The study-oriented time allocation of Korean students resulted in less leisure time than the American students. Korean students spent their leisure time of more than 30 minutes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media, and hobbies, and their time allocation to volunteer work and religious activities were nil. On Sundays, the time for studying by Korean students was more than five times longer than that spending by their American counterparts. Koreans used their leisure time of 6 hours and 47 minutes mainly for media, hobbies and social activities. The participation rate of volunteering by Korean students was only 0.5%, though it was 31.0% for the Americans. For a study-life balance for Korean students, it was recommended that trends toward time management and social policy should increase the time allocation to sleeping, housework, work, sports, and volunteering and decrease the time use in studying and hobbies.

병원 간호사들의 이직 결정 과정 (Turnover Experience of Hospital Nurses in Korea)

  • 이명선;김원옥;김덕희;고문희;이경숙;김증임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31-54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how hospital nurses decide to quit working as professional nurses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2 hospital nurses who recently resigned from work and it was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Result: The core category that emerged was "in search of new balance with self, work, and family". Three stages were identified: 1) "unconditionally accepting the working situation of itself," 2) "weigh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orking as a hospital nurse", and 3) "redesigning a future". Each stage contains three major strategies. The major strategies of the first stage are "maintaining a learning attitude", "enduring physical burnout," and "enduring unfa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econd stage contains "identifying advantages of working", "identifying disadvantages of working", and "comparing the advantages with the disadvantages". Lastly, the third stage includes "reassessing the aim of life", "beginning to construct an alternative life", and "deciding to quit working at a certain poi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elp nursing administrator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ffective turnover prevention program for nurses by understanding more deeply the process of turnover phenomenon among hospital nurses.

  • PDF

일과 삶의 균형(WLB) 지원제도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Work-Life Balance(WLB) Support Systerm on Employee Engagement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 박순;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49-69
    • /
    • 2015
  • 본 연구는 복리후생적 인사제도로 인식되고 있는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일, 가족, 성장 지원제도)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조직몰입,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수단적, 정서적)의 조절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검증을 위해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회사의 종업원 537명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조직몰입과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의 관계에서는 성장, 일, 가족 지원제도 순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는 성장, 일 지원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일과 삶의 균형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직무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수단적, 정서적 지원 모두 성장지원제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던 일과 삶의 균형(WLB) 지원제도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실증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와 함께 복리후생적 인사제도의 활용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 PDF

여성의 고성장기업 창업이 저조한 원인 (Factors that Explain the Lag in Building High-growth Firms in Women)

  • 천혜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300-308
    • /
    • 2016
  • 우리나라와 OECD국가의 여러 연구에 의하면, 고성장 창업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가장 큰 기여자로서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이들 기업의 창업이 매우 중요하다.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도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여성의 창업률이 남성에 비해 저조하므로 여성의 창업증진이 경제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여성의 고성장 기업창업이 남성 창업에 비해 적은 원인을 찾기 위해서 여러 가지 기업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과 남성기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여성창업은 전체기업의 34%를 차지하고 있으나 고성장 기업일 경우는 6% 이하의 점유율을 나타낸다. 여성기업의 특징은 남성기업에 비해 초기투자자금이 적고, 외부자금조달이 어려워서 소규모기업에 집중되어 있다. 창업을 위한 장애요인은 여성 과 남성기업이 매우 유사하지만, 여성기업의 남성기업과 차별화된 장애요인이며, 또한 여성의 고성장기업 창업을 어렵게 만드는 3가지 요인은, 외부자금 조달의 어려움(고성장 기업인 경우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다른 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남), 창업을 위한 아이디어와 경험 및 기술의 부족, 일 과 가정의 병행 어려움이다. 이 결과는 미국의 연구결과(자금조달의 어려움, 일과 가정의 병행 애로, 여성을 위한 멘토의 부족) 와 비슷한 결과이다. 여성의 고성장기업의 창업은 아이디어와 경험 및 지식의 부족과 관련되어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자녀가 있는 맞벌이가정의 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Scale Development of Family Strength for Dual-Earner Families with Children)

  • 송혜림;고선강;강은주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7권3호
    • /
    • pp.1-19
    • /
    • 2023
  • 이 연구는 가정의 건강성 척도와 관련된 논의 그리고 맞벌이가정의 특성에 주목하여 맞벌이가정에 적용할 수 있는 건강성 척도를 개발하였다. 가정의 건강성은 생활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되어 온 주제로서 이론적 근거와 다양한 내용이 축적되어 있다. 2004년 건강가정기본법 제정을 계기로 가정의 건강성은 현장에서 수행되는 사업에 반영되어, 그 실천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취업과 함께 맞벌이가정이 증가하고 있는데, 맞벌이가정의 특성상 일과 생활의 균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요소에서의 건강성 측정 그리고 건강성 증진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가정의 건강성, 맞벌이가정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이에 대한 예비조사를 거쳐 80개 문항으로 맞벌이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초안을 마련하였다.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영유아기/학령전기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과 남성 80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747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4개 영역 49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신뢰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척도는 기본토대(기본생활, 경제생활, 자원관리), 부모역할(나와 배우자의 부모역할), 사회적 관심과 참여(시민의식과 자원봉사, 여가공유, 지역사회 네트워크) 그리고 일생활균형(일가정 조화, 가족역할공유 및 평등한 역할분담)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건강가정지원센터/가족센터 등 현장에서 맞벌이가정 대상 사업을 실시할 때 초기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기초로 컨설팅, 교육, 상담, 다른 프로그램 연계 등이 이루어져, 현장의 사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향후 여러 다양한 형태의 가정을 위한 맞춤형의 건강성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이 척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담당자 양성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고, 나아가 일상생활의 역동적 변화를 반영, 척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자료의 보완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