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4호
    • /
    • pp.17-3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The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302 men and women aged 45-64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were living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PSS 21.0 Package. First,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at assessed the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The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degrees of family life stress, family values,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he subjects. Finall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ed the subjects' marital st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family life stress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all the sub-scales of family life stress, the sub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most stress from factors related to financial pressure, followed by family relationships, a sense of loss within a family,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herefore, financial problems were one of the critical stressors for middle-aged married couples. Also, for this demographic, the levels of family values and marital stability were higher than the medians.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tability in middle-aged couples were identified to be family relationship stress, financial stress,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values, stress related to work-familycompatibility,religion,andage.Thedegreeofmaritalstabilitywashigherinmiddle-agedcouplesa stheirstresslevelsfromfamilyrelationshipsandfinancialproblemswerelower.Moreover,thehigherthes ubjectiveeconomicstatusandthemoretraditionalthefamilyvalues,thehigherthedegreeofmaritalstabili ty.Finally,marriedcoupleswhowerereligioushadalowerlevelofstressfrom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younger the couples, the higher the degree of marital stability.

미혼 남녀의 향후 일.가정 양립 방안, 부부 성역할 태도,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견해 간 관계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uture Work-Family Compatibility, Gender Attitude of Couples, and Reasons for Low Birth Rate)

  • 엄명용;김효순
    • 한국인구학
    • /
    • 제34권3호
    • /
    • pp.179-209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 조사"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20~44세에 이르는 2,678명의 미혼 남녀(남 1,425명, 여 1,253명)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일 가정 양립 방안, 성역할 태도 및 저출산 원인에 대한 견해 등을 성별 및 교육정도에 따라 알아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미혼 남녀들의 일 가정 양립을 어떻게 지원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미혼 남녀의 성역할 태도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할 것인가를 유추해 보고자 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이상적인 일 가정 양립 방안은 미혼자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교육정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이상적인 일 가정 양립방안과 부부 성역할 태도 및 성별 간 관계에 있어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이 '남성은 직장, 여성은 가사'를 더 찬성했으며, 전일제일 보다 시간제 일을 선호하는 미혼자들이 '남성은 직장, 여성은 가사' 방안에 대한 찬성이 높았다. '남편의 자녀 돌봄 능력'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그리고 2자녀를 두고 전일제로 일하겠다는 미혼자가 1자녀를 두고 전일제로 일하겠다는 미혼자에 비해 높은 평가를 보였다. 셋째, 두 자녀 이상을 두고 전일제로 일하고자 하는 미혼 남녀가 저출산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넷째, 저출산 이유로 가장 높은 동의를 보인 것은 '양육비와 교육비용'이었으며 다음으로 '주택마련의 어려움'과 '취업여성의 증가'였다. "취업여성의 증가"를 저출산의 원인으로 여기는 정도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자녀로 전일제 일하는 것을 원하는 미혼자들에게서 이러한 성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일 가정 양립방안과 성역할 태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높일 뿐만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정책적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출산율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일과 가정 양립을 중심으로- (The Empirical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WLFP and Fertility -Focusing on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 김상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08-5513
    • /
    • 2013
  • 본 연구는 인구주택총조사 자료(1985~2010년)를 이용하여 여성의 경제활동참여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985년을 제외한 1990, 2000, 2005, 2010년에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는 여성의 총 출생아 수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효과의 크기는 1990년부터 점차 커져 2005년에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2010년에는 2005년 대비 그 크기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의 효과는 일부 정부의 일과 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에 따른 효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부의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지원 정책의 확대와 정책 사각지대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현재 추진 중인 정책에 대한 수혜율(take-up rate)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력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on Job Stress and Job Turnover Intension among Female Low-wage Workers :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hesion)

  • 박수경;이선우;배종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41-25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가족응집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월 임금 200만원 이하의 여성근로자 190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장-가정갈등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임금 여성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직장-가정갈등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응집력은 직장-가정갈등,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저임금 여성근로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해서는 직장-가정갈등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일-가정양립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강화, 가족응집력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취업미혼남녀의 결혼지원정책 만족도가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및 수도권 결혼적령기 취업 미혼남녀를 중심으로 -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on Marriage Intention among Unmarried Employed Men and Women - Focusing on Unmarried Employed Men and Women of Marriageable Age Residing in the Seoul City and Metropolitan Area -)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4호
    • /
    • pp.1-1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on marriage intention among unmarried employed men and women. The study subjects included 300 un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aged over 30 years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overall tendency towards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and towards marriage intention, the marriage support policy gained the highest level of support in relation to housing for newlywed couples, which scored 3.29 (sd=.93), followed by improvements in corporate and family culture for the purposes of work-family compatibility at 3.24 (sd=.95), wedding loans at 3.18 (sd=1.01), and the paid leave system for marriage preparation at 3.12 (sd=.88). These variables scored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3 points. Conversely, satisfaction with the availability of marriage-related information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dating scored 2.65 (sd=.88) and 2.78 (sd=.80), respectively, both of which were slightly lower than the median of 3. The overall mean score for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was 3.03 (sd=.95),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n regards to marriage intention, the score was 3.32 (sd=1.15) points out of a perfect score of 5,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This indicated a slightly higher level in terms of the subjects' intention to marry. Seco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on marriage intention among unmarried employed adults.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entered as control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t the first stage, and variables relating to satisfaction in a family-friendly social environment were entered at the second stage. When gender, age, educational level, monthly income, period of employment, working hours, and type of employment were inserted in the first stage of regression as control variables, gender, monthly income, period of employment, and type of employ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arriage intention. Marriage intention was found to be greater in unmarried men with higher monthly incomes and longer periods spent working, and in unmarried working men and women engaged in tenured employment work. When variables relating to satisfaction with the marriage support policy were inserted in the second stage of regression, gender, monthly income, type of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direct marriage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rriage intention. It was found that marriage intention was greater in unmarried men whose monthly income was higher, whose employment type was tenured work, and who showed greater satisfaction with direct marriage support.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Public Social Welfare Officers on Turnover Intentions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haustion and Job Satisfaction -)

  • 정규형;류주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337-344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일가정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노원 구정연구단에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복지 업무 담당 인력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노원구 19개 동주민센터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 146명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가정갈등은 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다. 소진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에 직접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낮추고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에 대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여성의 일-가정양립을 위한 육아문화와 기업의 사회적 공헌 (Childcare Culture for Women's 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Corporate's Social Contribution)

  • 서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73-181
    • /
    • 2008
  • 기존의 기업문화를 고려하면, 여성들이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워 국가나 기업의 측면에서 인력손실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조직내 가족친화적 문화의 하나로 육아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적극적인 의지를 갖게 된다면 전통적 육아의 방식을 탈피하고, 노동시장 내의 직장보육시설 확대를 통한 경쟁력제고와 더불어 사회적 기여를 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분업의 문화가 가정 내에서 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가족중심의 가족친화적 문화로 변화를 이루어야 함을 피력하고, 직장보육시설의 확대를 위해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고 보는 관점에서 정부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지닌 기업을 적절하게 지원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이윤추구와 더불어 사회적 공헌을 하여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밝힌다.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71-94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for social work practice to enhanc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resources (formal and informal support resource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life married couples.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among married men and women aged between 40 and 59 and liv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study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of family stress was 3.06 points (SD=.56), slightly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3 points. Of all subscales of family stress,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most stress from family relationships, followed by financial problems, health and loss of families,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In regard to social support resources, the mean value of all social support resources categories was greater than the median. Among the subscales, informal support (family support and support from other peopl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formal suppor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the median, and the score was 3.21 points (SD=.78). Second, in order to explore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family stress and social suppor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grouping subjects who scored high, middle, and low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less family stress (F=6.25, p<.01). With respect to social support, marital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that received high social support (F=29.68, p<.001).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relationship stress, economic stress, and family suppor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high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the lower the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economic stress level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In addition, the greater the family support,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need to improve family relationships in middle-aged married couples and to distribute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family support resources. For example,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are currently performed, including "Family School for Middle-Aged Baby Boomers" and others as part of the Healthy Family Support Work regarding the promotion of marital satisfaction of middle-aged couples. In addition, continuing effort is warranted to include content on strengthening family support resources,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ograms, and promoting service accessibility.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시대별 유리천장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Study Trend of Glass Ceiling by Period Using Text Mining)

  • 김영만;이진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76-38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유리천장 현상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하는 것이다. 유리천장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유리천장을 깬 역사적 사건인 '박근혜대통령 취임'을 중요 이슈로 설정하고 1기를 박대통령 재임 전, 2기는 재임 중, 3기는 재임 후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1기에는 주요 키워드로 선정된 '공무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2기에는 '여성의 일가정 양립'이 주요 키워드군으로 선정되었다. 3기에는 여성 직업군의 키워드가 다양화되고 있었다.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이외에도 유리천장 요인 해소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및 연구대상 직종의 확대와 실생활에서의 이슈에 대한 해결책 제시를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사회적 시사점으로 제시하였으며, 추후 SNS나 뉴스기사에 나타난 일반대중의 '유리천장' 인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근로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Working Women's Continuance Intention in Economic Activitie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 박순정;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3-176
    • /
    • 2021
  •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대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현재 50% 수준에 불과하여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로 여성의 경제활동에 대한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 등과 같은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대한 영향관계에서 각종 요인들과 가족지지의 조절 효과에 관한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근로여성을 대상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의 근로여성 40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동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및 자아실현 동기 등 경제활동 동기, 여성의 일에 대한 인식, 지원제도는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일 인식이 경제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은 가족지지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지지의 중요성을 통해 여성의 경제활동 지속의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가정 양립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