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박주희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8.09.01
  • Accepted : 2018.11.14
  • Published : 2018.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family life stress and family values on marital stability among middle-aged couples. The subjects included a total of 302 men and women aged 45-64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were living in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the SPSS 21.0 Package. First,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at assessed the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The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degrees of family life stress, family values, and marital stability among the subjects. Finally,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ed the subjects' marital stabil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family life stress in middle-aged married men and women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mean value. Of all the sub-scales of family life stress, the sub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the most stress from factors related to financial pressure, followed by family relationships, a sense of loss within a family, and work-family compatibility. Therefore, financial problems were one of the critical stressors for middle-aged married couples. Also, for this demographic, the levels of family values and marital stability were higher than the medians.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tability in middle-aged couples were identified to be family relationship stress, financial stress, subjective economic status, family values, stress related to work-familycompatibility,religion,andage.Thedegreeofmaritalstabilitywashigherinmiddle-agedcouplesa stheirstresslevelsfromfamilyrelationshipsandfinancialproblemswerelower.Moreover,thehigherthes ubjectiveeconomicstatusandthemoretraditionalthefamilyvalues,thehigherthedegreeofmaritalstabili ty.Finally,marriedcoupleswhowerereligioushadalowerlevelofstressfromwork-family compatibility, and the younger the couples, the higher the degree of marital st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양희(2016). 중년남성의 가족지지 및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2), 344-353.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344
  2. 강인(1990),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신.이선미(1998).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 이데올로기. 한국가정과학회지, 1(1), 27-43.
  4. 김귀애.홍창희(2012). 중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03-321.
  5. 김길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5), 256-271.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56
  6. 김득성(1992).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의 관계: 사회 교환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미숙.김명자(1990).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173-183.
  8.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송미(2012). 빈곤결혼이민 여성의 결혼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레질리언스 관점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승권.조애조.이삼식.김유경.송인주(2000).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 김시연.서영석(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03,
  12. 김태현.박주희(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0(3), 79-106.
  13. 김태현.전길량(2002). 노인의 성에 대한 인식과 성생활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33-143.
  14.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 인 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박성은(2010.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안정성 관련변인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박지수(2007).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여가충족, 생활만족도간의 관계: 50세-64세 중년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지현(200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지현.김태현(2011). 중년기의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이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1), 229-257.
  19. 서해정(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결혼안정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선희라(2013). 여성결혼이민자의 자아탄력성과 가족탄력성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현주.전귀연(2008).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2), 195-227.
  22. 신혜섭(2006). 중년기 위기와 가족 스트레스, 생활과학연구, 11, 84-90.
  23. 오명자(2007). 중년기 여성의 주부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옥선화.진미정(2011). 가족가치관과 생활문화의 세대 비교: 가족의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9(4), 67-76. https://doi.org/10.6115/khea.2011.49.4.067
  25. 윤경자(2010).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한국인구학, 33(2), 137-163.
  26. 윤나경(2012). 원가족 정서적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따른 결혼안정성: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비교,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은기수(2005). 미혼에서 결혼으로 이행. 보건복지포럼, 25-35.
  28. 이삼식(2006). 가치관의 변화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보건사회연구, 26(2), 95-140.
  29. 이소영(2010). 결혼 불안정성에 대응하는 가족건강성 요인 연구. 사회복지실천, 9, 5-32.
  30.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107-125.
  31. 이영희.이윤주(2011). 부모의 부부갈등과 원가족분화, 부부친밀감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1), 43-58.
  32.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3), 531-548.
  33. 이현심(2015). 황혼이혼 여성노인에 대한 사례 연구. 노인복지연구, 68, 85-106.
  34. 임은혜(2003). 중년기 기혼남녀의 결혼안정성에 기여하는 요인에 관한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5. 임효영.김경신(2001).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2), 189-203.
  36. 임희섭(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나남출판사.
  37. 장온정(2007).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8. 장은선(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비합리적신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전춘애.박성연(1996).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5). 115-129.
  41. 정선영(2006). 부부갈등과 갈등표출방식의 상호작용이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2. 정연표.이홍직(2011). 노년기 부부의 결혼불안 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 연구논총, 13(2), 151-180.
  43. 정옥분(2008). 성인.노인심리학, 서울. 서울: 학지사.
  44. 정원길(2001). 기혼여성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조은영(2003). 기혼남녀의 결혼의 질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48. 조하.신희천(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 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1011-1026.
  49.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50. 통계청(2017). 장래가구추계(2015-2065년).
  51. 통계청(2018). 2017 혼인이혼통계.
  52. 하은하(2002). 가족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가족개념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한경혜(2013). 베이비부머 삶의 변화와 지속성, 2010-2012.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 연구소. 메트라이프 재단.
  54. 허제은.태영숙(2014). 중년여성의 영적안녕,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6(2), 181-190. https://doi.org/10.7475/kjan.2014.26.2.181
  55. 홍백의.박은주.박현정.박진(2009). 결혼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3), 307-328.
  56. Booth, A., Johnson, D., & Edwards, J. N. (1983). Measuring marital in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387-394. https://doi.org/10.2307/351516
  57. Brim, O.G., Ryff, C.D., & Kessler, R.C.(2004), How healthy are we? A national study of well-being at midlife, Chicago,IL: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Erikson, E. H. (1968). Life cycl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9, 286-292.
  59.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s divorce?. L. Erlbaum, USA.
  60. Havighurst, Robert. T.(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David McKay Company.
  61. Heaton, T. B. (2002). Factors Contributing to Increasing Marital Stabilit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amily Issues, 23, 3, 392-409.
  62. Heaton, T. B., & Albrecht, S. L. (1991). Stable unhappy marriag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747-758.
  63. Lamanna MA, Riedmann A.(2009). Marriages and families: Making choices in a diverse society, 2009, Belmont: Wadsworth.
  64. Lewis, R. A., & Spanier, G. B.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W. R. Burr, R. Hill, FI Nye, & IL Reiss (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pp. 268-294).
  65. Livson. F. B.(1981), Paths to psychological health in the middle years: Sex differences, in Present and post in middle life, (New York: Academic Press, 195-222.
  66. Lye, D. N., & Biblarz, T. J. (1993). The effects of attitudes toward family life and gender roles on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Family Issues, 14(2), 157-188. https://doi.org/10.1177/019251393014002002
  67. Martin, T. C., & Bumpass, L. L. (1989). Recent trends in marital disruption. Demography, 26(1), 37-51. https://doi.org/10.2307/2061492
  68. McCubbin HI, Patterson, J. M., Wilson, L. R. (1982). FILE: Family inventory of life changes.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p. (Olson, D., McCubbin H. I., Barnes, H., Larson, A., Muxen, M., editors. Family inventories).
  69. Park, J., & Liao, T. F. (2000). The effect of multiple roles of South Korean married women professors: Roles changes and factors which influence potential role gratification and strain. Sex Roles, 43(7/8), 571-589. https://doi.org/10.1023/A:1007175601706